Topic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기간 산정 가이드
JackerLab
2025. 8. 3. 06:00
728x90
반응형
개요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기간 산정 가이드는 공공정보화 및 민간 IT 프로젝트에서 SW 개발 소요 기간을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발주기관과 사업자의 일정 협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 지침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제시한 본 가이드는 기능점수(FP), 인력 공수, 복잡도 계수 등을 기반으로 예산과 연계된 실현 가능한 일정 계획 수립을 돕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 설명 | 비고 |
정의 | SW 프로젝트의 개발 범위와 난이도에 따른 적정 사업기간을 산정하는 기준 | SW 대가산정 가이드와 병행 적용 |
목적 | 무리한 일정 계획 방지 및 납기 지연 리스크 최소화 | 사업자와 발주처 간 계약 기반 마련 |
적용 대상 | 공공기관, 지자체, 민간기업의 SW개발 프로젝트 | 제안요청서(RFP) 작성 시 활용 |
2. 특징
특징 | 설명 | 연계 가이드 |
기능점수 기반 산정 | SW 기능 수와 복잡도에 따라 일수 환산 | FP×복잡도 계수→공수→일정 |
인력 구성 고려 | 기술등급별 인원수와 투입기간을 반영 | 정보화 사업 인건비 기준과 연계 |
단계별 일정 제시 | 요구분석→설계→구현→시험→검수 단계 구분 | 산출물별 작업일 수 제시 가능 |
정량적 산정 기반 + 경험 기반 조정 요소를 함께 고려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활용 예시 |
기능점수(FP) 계산 | 기능 수(입력/출력/파일 등)와 복잡도 평가 | 복잡한 입력폼 다수 포함된 시스템 등 |
공수 변환율 | FP 1점당 평균 투입 인력 공수 적용 | 예: 1 FP = 1.4 인월 등 |
일정 산정 식 | 총 공수 ÷ 투입인력 수 = 사업기간 | 인력 병행 투입 가능 시 병렬처리 고려 |
예외 가중치 | 기술 난이도, 외부 연계, 사용자 수 등 고려 계수 | AI·블록체인 등 고난도 기술 적용 시 활용 |
4. 기술 요소 및 도구
요소 | 설명 | 활용 도구 |
FP 자동 계산기 | 기능점수 입력 시 공수 및 기간 자동 출력 | NIPA FP 계산기, KFPMS 등 |
일정관리 Gantt 도구 | 계획 수립 후 일정 트래킹 가능 | MS Project, Jira, Notion 등 |
Agile 방식 대응 | 스프린트 단위 일정 산정 가이드 | 스토리포인트×스프린트 수 기준 |
난이도 계수 적용 시트 | 표준산정표 외 별도 계수 적용 Excel 시트 | 기관별 커스터마이징 가능 |
기술 요소는 프로젝트 유형과 방법론(Agile/Waterfall)에 따라 조정 가능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계약 리스크 감소 | 납기 미준수·과도한 일정 단축 방지 | 사업자와 발주자 간 신뢰 형성 |
일정 현실성 확보 | 기능 기반 정량 산정 + 경험 기반 조율 | 일정과 품질의 균형 달성 |
프로젝트 관리 효율화 | 개발 단계별 목표 설정과 점검 용이 | 예산, 인력, 일정 연계 가능 |
정확한 일정 산정은 SW 품질과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 변수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내용 | 고려사항 |
공공포털 재구축 사업 | 600 FP 기준, 고급 개발자 3인 투입 | 약 5~6개월 이상 기간 필요 추정 |
모바일앱 고도화 프로젝트 | 소형 기능 추가 중심의 단기 과업 | 단축일정 대비 리스크 완충 계획 필요 |
민간 SaaS 구축 과제 | 초기 MVP 수준 중심 구성 | Agile 반복 적용 시 시간산정 유연화 필요 |
산정 결과는 제안서, 계약서, 진행보고서 등에 반영되어야 실효성이 확보됩니다.
7. 결론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기간 산정 가이드는 실현 가능하고 품질 중심의 일정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추정과 감(感)이 아닌 기능·공수·인력 기반의 정량적 접근을 통해 불합리한 납기 문제를 예방하고, SW 프로젝트의 성공률과 신뢰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