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ful Routing Protocol
개요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은 IP 주소의 클래스(A, B, C 등)에 따라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던 초기의 라우팅 방식이다. 이 방식은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별도로 전달하지 않아도 되는 단순함이 장점이었지만, 유연성이 부족하고 주소 자원의 낭비가 심해 이후 Classless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본 글에서는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의 개념, 구성 요소, 한계점과 실제 적용 사례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1. 개념 및 정의
Classful 라우팅은 1980~1990년대 초까지 사용되던 라우팅 방식으로, IP 주소를 A, B, C 클래스 단위로 분류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이 방식에서는 네트워크 주소의 클래스에 따라 자동으로 서브넷 마스크가 지정되므로, 라우팅 업데이트 시 마스크 정보를 따로 전송하지 않는다.
목적은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고, 빠른 라우팅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2. 특징
항목 | 내용 | 비고 |
주소 구분 방식 | A, B, C 클래스 기반 | 클래스별 고정 마스크 사용 |
라우팅 업데이트 | 서브넷 마스크 미포함 | 자동 해석됨 |
주소 낭비 | 심함 | 고정 블록으로 할당됨 |
단순하고 빠르지만 현대의 복잡한 네트워크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3. 구성 요소
요소 | 설명 | 관련 예시 |
IP 클래스 | A, B, C에 따라 네트워크 구간 구분 | A: /8, B: /16, C: /24 |
라우팅 테이블 | 클래스 기반으로 경로 저장 | 목적지 네트워크만으로 판단 |
라우팅 프로토콜 | RIPv1, IGRP 등 | Classful 프로토콜 사용 |
구성 요소들은 서브넷 마스크 없이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비교 대상 |
RIPv1 | Distance Vector 기반, Classful 프로토콜 | RIPv2와 비교 시 기능 부족 |
IGRP | Cisco에서 개발한 독자적 Classful 프로토콜 | EIGRP의 전신 |
CIDR 미지원 | 클래스 기반으로만 네트워크 주소 판단 | CIDR(Classless) 방식과 대조됨 |
Classful 방식은 확장성이나 보안성 측면에서 제약이 있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한계 |
설정 용이 | 서브넷 마스크 설정 필요 없음 | 유연성 부족 |
단순성 | 라우팅 정보 간결 | 복잡한 네트워크엔 부적합 |
하위 장비와 호환 | 초기 네트워크 장비에 적합 | 최신 장비엔 비효율적 |
초기 네트워크 구축에는 적합했으나, 현재는 비효율적이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초기 인터넷 구조 | ARPANET 시절 사용됨 | 대규모 네트워크엔 부적합 |
소규모 폐쇄망 | 단순 구성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 | 유지보수 어려움 |
Cisco 장비 학습 | IGRP 관련 실습용 | 실제 서비스 환경엔 부적절 |
현대 네트워크에서는 Classless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 사용이 권장된다.
7. 결론
Classful 라우팅 프로토콜은 IP 주소 클래스에 기반한 단순한 라우팅 방식으로, 한때는 주요한 표준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유연성과 확장성 부족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는 RIPv2, EIGRP, OSPF, BGP 등의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이 대세다. 다만, 네트워크 기초 학습이나 과거 프로토콜 이해를 위해서는 여전히 중요한 개념으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