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Decentralized Identifier Resolution Service (DID-RS)

JackerLab 2025. 8. 19. 12:00
728x90
반응형

개요

Decentralized Identifier Resolution Service(DID-RS)는 분산 신원 식별자(DID)를 블록체인 또는 분산 원장 상에서 해석하여, 해당 주체의 메타데이터(공개키, 서비스 엔드포인트 등)를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DID-RS는 Web3, SSI(Self-Sovereign Identity), DIDComm과 같은 탈중앙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에서 신뢰 가능한 ID를 확인하고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 분산 신원 식별자(DID)를 해석하여 DID 문서를 제공하는 서비스 W3C DID 표준 기반
목적 DID → DID Document 해석 상호 운용 가능한 신원 참조 시스템 구축
필요성 DID 사용자의 신원 정보 확인, DIDComm 메시지 송수신 기반 제공 탈중앙 환경에서의 ID 검증 필수

DID-RS는 탈중앙 구조의 ID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주체의 연결 정보와 권한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체인 독립성 다양한 블록체인/원장에 저장된 DID 해석 가능 단일 신뢰기관 기반 X.509와 대조적
모듈화 구현 Resolver, Parser, Caching Layer 분리 가벼운 확장 및 DID Method 추가 용이
JSON 기반 반환 W3C 규격의 JSON DID Document 형식 제공 RESTful API와의 연동 용이

DID-RS는 블록체인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DID Method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기능 설명
Resolver Core DID → DID Document 해석 예: did:ion, did:key, did:ebsi 등 지원
DID Parser 특정 Method의 DID 구조 해석 메타데이터, 키, 서비스 해석 포함
Document Cache 자주 요청되는 DID 정보 캐싱 성능 최적화 및 응답 속도 향상

구성 요소들은 HTTP API 형태로 외부 서비스 또는 신원지갑과 통합이 가능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예
Universal Resolver 다양한 DID Method를 해석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DID-RS 백엔드 모듈로 활용 가능
JSON-LD 의미 기반 메타데이터 기술 방식 DID Document 구조 정의에 사용
Content-addressed Resolution IPFS 등에서의 DID 문서 주소지정 분산 저장소 기반 신뢰성 확보

DID-RS는 블록체인 외에도 IPFS, DHT 등 다양한 분산 저장소와 연동 가능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탈중앙 신원 보장 중개자 없이 신원 정보 자체 신뢰 확보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상호 운용성 강화 여러 DID Method 간 통합 가능 글로벌 ID 교환에 적합
개발자 접근성 용이 REST API 기반 제공 Web3, SSI 앱 통합 쉬움

DID-RS는 탈중앙 신원 기반 서비스가 실제 운영되기 위한 핵심 해석 계층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설명 고려사항
SSI 신원지갑 DID 기반 사용자 신원 검증 및 연결 신뢰도 높은 DID Method 선택 필요
Web3 인증 DApp 로그인 시 DID 검증 활용 체인/Method 호환성 확보 필요
VC(Verifiable Credential) 발급 DID-RS로 발급자/수신자 신원 확인 만료, 갱신 관리 체계 포함 필요

DID-RS를 구축할 때는 캐시 갱신 정책, 체인별 노드 접근성, 응답 보안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7. 결론

Decentralized Identifier Resolution Service는 DID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신원의 중심 축으로,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신뢰 가능한 신원 확인을 실현합니다. 향후 DID-RS는 DIDComm, ZKP(Zero-Knowledge Proof), 스마트 계약 등과 연계되어 Web3 및 디지털 인증 체계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