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ISO 18013
JackerLab
2025. 10. 5. 18:22
728x90
반응형
개요
ISO 18013은 운전면허증(Driving Licence)과 모바일 운전면허증(mDL, mobile Driving Licence)의 설계, 발급, 사용, 보안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 표준이다. 특히 ISO/IEC 18013-5는 모바일 운전면허증(mDL)의 상호운용성과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되어, 디지털 신원 인증(Digital Identity)과 전자 신원 확인(eID)의 글로벌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 내용 | 설명 |
정의 | ISO 18013 | 운전면허증 및 모바일 운전면허증(mDL) 국제 표준 |
목적 | 상호운용 가능한 디지털 신원 인증 | 국가·기관 간 호환성 확보 |
필요성 | 글로벌 디지털 신원 인증 체계 | 보안, 개인정보 보호, 신뢰성 강화 |
ISO 18013은 디지털 신분증의 안전한 사용과 글로벌 상호운용성을 위한 핵심 표준이다.
2. 특징
특징 | 설명 | 비고 |
모바일 기반 신원 인증 | 스마트폰 앱 기반 신분증 사용 | 오프라인·온라인 인증 지원 |
국제 상호운용성 |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 | 국경 간 인증 가능 |
개인정보 보호 중심 | 최소 정보 공개(Selective Disclosure) | GDPR 등 규제 준수 |
강력한 보안성 | 암호화·전자서명 기반 | 위·변조 방지 |
ISO 18013은 기존 플라스틱 카드 기반 운전면허증을 넘어, 디지털 신원 인증의 미래를 정의한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역할 |
ISO/IEC 18013-1 | 물리적 운전면허증 설계 규격 | 카드 디자인, 데이터 요소 정의 |
ISO/IEC 18013-2 | 기계 판독 운전면허증(MRDL) | 자동화된 판독 장치 호환성 |
ISO/IEC 18013-3 | 보안 기능 요구사항 | 위조 방지, 보안 설계 가이드 |
ISO/IEC 18013-5 | 모바일 운전면허증(mDL) | 디지털 신원 인증, 모바일 상호운용성 |
특히 ISO/IEC 18013-5는 디지털 신원 인증의 핵심으로 각광받고 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활용 |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 암호화·전자서명 기반 인증 | 신뢰성 있는 발급 및 검증 |
NFC, QR 코드 | 비접촉식 인증 수단 | 오프라인·모바일 인증 지원 |
Selective Disclosure | 최소 정보 제공 기능 | 개인정보 보호 강화 |
표준 API | 기기·플랫폼 간 호환성 | 글로벌 상호운용성 보장 |
ISO 18013은 PKI와 모바일 인증 기술을 결합해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글로벌 호환성 | 국제 표준 기반 설계 | 국경 간 신뢰할 수 있는 인증 |
개인정보 보호 |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 공개 | 프라이버시 보장 |
보안성 강화 | 위조·변조 방지 | 디지털 신원 신뢰성 향상 |
편의성 제공 | 모바일 기기 기반 | 물리적 카드 대체 가능 |
ISO 18013은 전 세계 디지털 신분증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촉매제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분야 | 사례 | 고려사항 |
국가 신원 인증 | 미국, EU에서 mDL 시범 운영 | 국제 규제 조율 필요 |
교통·운송 | 공항·렌터카 인증 | 오프라인 환경 인증 필요 |
금융 서비스 | 은행 계좌 개설·KYC | 보안 규제 준수 필수 |
디지털 ID 플랫폼 | eID, 디지털 지갑 연계 |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 |
ISO 18013은 국가 신분증과 민간 서비스 전반에서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7. 결론
ISO 18013은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운전면허증(mDL)을 아우르는 국제 표준으로, 보안성과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신원 인증의 미래를 정의한다. 개인정보 보호 중심의 설계와 글로벌 호환성 덕분에,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