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SRv6(IPv6 Segment Routing)
JackerLab
2025. 6. 4. 20:37
728x90
반응형

개요
SRv6(IPv6 Segment Routing)은 IPv6 네트워크 상에서 유연하고 강력한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가능하게 하는 최신 기술입니다. SRv6 Policy는 이러한 SRv6 환경에서 다양한 요구 기반의 경로 설정(Policy-based routing)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5G, 클라우드 네트워킹, 멀티도메인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 항목 | 내용 |
| 정의 | SRv6 Policy는 SRv6의 Segment Identifier(SID)를 활용하여 서비스 정책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법입니다. |
| 목적 | 특정 요구 사항(지연, 대역폭, 보안 등)에 따라 네트워크 경로를 유연하게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 필요성 | 기존 MPLS 기반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복잡성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IPv6 기반 대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2. 특징
| 항목 | 설명 | 효과 |
| 프로토콜 독립성 | MPLS 라벨 없이 IPv6 헤더 내 SID로 경로 지정 | 인프라 단순화 |
| 네트워크 프로그래머블 | 경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 | 자동화 및 정책 기반 관리 가능 |
| 엔드-투-엔드 제어 | 소스 라우팅 기반으로 전체 경로 지정 가능 | 네트워크 가시성 향상 |
기존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대체할 수 있는 고도화된 경로 제어 기술입니다.
3.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설명 | 역할 |
| SID (Segment ID) | 특정 네트워크 기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IPv6 주소 | 경로 구성의 핵심 요소 |
| SR Policy | 하나 이상의 SID List로 구성된 경로 정책 객체 | 목적지까지의 경로 지정 |
| Headend | SR Policy를 적용하여 패킷을 캡슐화하는 지점 | 소스 라우팅 시작점 |
| Endpoint | SID가 지정한 목적지 노드 | 트래픽 종단점 |
구성요소 간의 조합을 통해 복잡한 네트워크 요구사항도 정밀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4. 기술 요소
| 기술 요소 | 설명 | 관련 기술 |
| SRv6 Encapsulation | IPv6 패킷에 SR Header를 삽입 | IPv6 Routing, H.Encaps, H.L2Encaps |
| Control Plane 연동 | BGP, PCEP 등을 통한 SR Policy 배포 | Segment Routing BGP Extensions |
| Network Programming | SRv6 기능으로 가상 서비스 체인 구성 | Service Function Chaining(SFC) |
| Telemetry 및 SLA | 경로별 실시간 상태 수집 및 정책 조정 | In-band Network Telemetry (INT) |
다양한 프로토콜 및 운영 기술과 통합되어 유연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 유연한 경로 제어 | 요구에 따라 맞춤형 경로 설정 | SLA 만족도 향상 |
| 네트워크 단순화 | 전통적 MPLS 제어 요소 제거 | 구축 및 운영 비용 절감 |
| 자동화 적합 | 소프트웨어 정의 정책 기반 운용 | 운영 효율성 향상 |
| 멀티도메인 대응 | 도메인 간 경로 제어 가능 | 글로벌 서비스 품질 유지 |
정책 기반의 지능형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최적화된 기술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 분야 | 활용 예시 | 고려사항 |
| 5G 백홀 | Slice별 트래픽 경로 지정 | 낮은 지연과 고신뢰 필요 |
| 데이터센터 간 통신 | 트래픽 분산 및 보안 우회 경로 지정 | 경로 정책 자동화 필요 |
| 클라우드 엣지 네트워크 | 서비스 체인 기반 처리 경로 구성 | 네트워크 기능 가시성 필요 |
| 글로벌 ISP | BGP 연동 기반 경로 최적화 | 경계 정책 및 라우팅 충돌 주의 |
기술 도입 전 운영 환경과 요구 조건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요구됩니다.
7. 결론
SRv6 Policy는 기존 트래픽 엔지니어링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능형 경로 제어와 네트워크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입니다. IPv6의 확장성과 SR의 유연성을 기반으로, 복잡한 네트워크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며, 5G 및 멀티도메인 환경에서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향후 네트워크 자동화 및 SLA 기반의 정책 중심 운용이 중요해지는 환경에서 SRv6 Policy는 필수적 기술이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