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VNet(Virtual Network)

JackerLab 2025. 4. 18. 08:42
728x90
반응형

개요

VNet(Virtual Network)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로, 사용자가 정의한 범위 내에서 IP 주소, 서브넷, 라우팅, 방화벽 규칙 등을 설정하여 클라우드 상에서도 온프레미스와 유사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Microsoft Azure에서 주로 VNe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AWS(VPC), GCP(VPC Network) 등에서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됩니다.


1. 개념 및 정의

VNet은 클라우드 내에서 사용자 정의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논리적 단위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자원을 네트워크 단위로 격리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내부 서브넷 구성, 가상머신(VM) 간 통신, 온프레미스 연결 등 다양한 네트워크 시나리오를 유연하게 지원합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네트워크 격리 테넌트별 고유 가상 네트워크 생성 가능 멀티 테넌시 보안 강화
IP 주소 지정 사용자 정의 IP 범위 사용 가능 RFC 1918 사설 IP 지원
네트워크 정책 제어 방화벽, NSG(Network Security Group) 설정 가능 접근 제어 세분화
온프레미스 연결 가능 VPN, ExpressRoute를 통한 연동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

VNet은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이자 보안과 연결성 제어의 핵심입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서브넷(Subnet) VNet 내 트래픽을 세분화하는 논리 구역 프론트엔드, 백엔드, DB 서브넷 분리
IP 주소 범위 CIDR 표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범위 지정 10.0.0.0/16, 192.168.0.0/24 등
NSG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위한 ACL 정책 포트 허용/차단,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제어
가상 네트워크 피어링(VNet Peering) 다른 VNet 간의 연결 구성 리전 간 데이터 통신 구현
게이트웨이 서브넷 온프레미스 또는 다른 클라우드 연결을 위한 경로 VPN Gateway, ExpressRoute Gateway 등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보안성과 확장성 높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서비스
VNet Peering 두 VNet 간 저지연 통신 구현 Azure 리전 간 서비스 연결
VPN Gateway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간 IPsec 터널 생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
Bastion Host 공개 IP 없이 내부 VM에 보안 접속 RDP/SSH를 웹 콘솔로 지원
NSG & ASG 보안 그룹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 접근 제어 계층적 보안 정책 적용

Azure, AWS, GCP 모두 유사한 구조를 제공하나, 구현 및 서비스명은 상이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네트워크 격리 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 환경 구현 보안 위협 최소화
하이브리드 구성 용이 온프레미스 연동 유연성 클라우드 이전 및 확장 간편
유연한 보안정책 적용 NSG, UDR 등으로 정밀 제어 컴플라이언스 대응 가능
확장성 및 이중화 다중 서브넷 및 리전 구성 가능 고가용성 아키텍처 설계 가능

VNet은 클라우드 인프라를 안전하게 통제하고 연결하는 기반 기술입니다.


6.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서브넷별로 서비스 격리 NSG 간 통신 정책 정밀 설정 필요
데이터베이스 보호 DB 서브넷에 외부 접근 차단 적용 Bastion 또는 전용 게이트웨이 사용 권장
다중 리전 애플리케이션 리전 간 VNet Peering 통한 통합 운영 대역폭 및 요금 정책 고려 필요
보안 강화 클러스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기반의 AI/ML 환경 구성 NSG, Private Link 등 필수 적용

보안과 네트워크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아키텍처 설계가 중요합니다.


7. 결론

VNet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를 안전하고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클라우드 보안, 하이브리드 연결, 리소스 격리, 마이크로서비스 분리 등 다양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현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며, 각종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NSG, Bastion, VPN 등)와의 연동을 통해 완성도 높은 네트워크 보안 모델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