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Validating Admission Policy (VAP)
JackerLab
2025. 9. 13. 18:00
728x90
반응형
개요
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에서 보안과 일관성은 핵심 과제입니다. 기존에는 Validating Admission Webhook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검증했지만, 외부 웹훅 서버를 구축·운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Kubernetes 1.26부터 도입된 기능이 바로 **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입니다.
1. 개념 및 정의
**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는 Kubernetes 네이티브 리소스로, 클러스터 내부에서 직접 객체 생성·수정 요청을 검증할 수 있는 정책 프레임워크입니다.
주요 목적은 보안 정책 내재화, 운영 단순화, 일관된 규칙 적용입니다.
2. 특징
특징 | Validating Admission Webhook | Validating Admission Policy |
운영 방식 | 외부 웹훅 서버 필요 | 네이티브 리소스 기반 |
복잡성 | 서버 운영 및 인증 관리 필요 | 단순, 선언형 관리 |
성능 | 네트워크 왕복 비용 존재 | 클러스터 내부 처리 |
적용성 | 개발자·운영자 주도 | 정책 중심, 보안팀 주도 |
VAP는 운영 단순화와 성능 최적화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역할 |
Validating Admission Policy | 정책 정의 리소스 | 검증 규칙 선언 |
CEL(Common Expression Language) | 조건식 작성 언어 | 정책 로직 구현 |
Validating Admission Policy Binding | 정책과 네임스페이스·사용자 매핑 | 적용 범위 지정 |
Audit Annotations | 요청 평가 기록 | 감사·추적 기능 |
이 구성 요소들은 VAP의 정책 기반 검증 프레임워크를 형성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관련 스택 |
CEL(Common Expression Language) | Google이 개발한 경량 표현식 언어 | Kubernetes 정책 검증 핵심 |
Kubernetes Admission Control | 객체 생성·수정 요청 검증 단계 | VAP 내장 |
RBAC 연계 | 사용자·그룹별 정책 적용 | 접근 제어 강화 |
Audit Logs | 정책 적용 기록 | 규제·컴플라이언스 대응 |
VAP는 기존 Kubernetes 생태계와 유기적으로 결합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운영 단순화 | 외부 서버 불필요 | 관리 부담 감소 |
보안 강화 | 일관된 정책 적용 | 규제·컴플라이언스 충족 |
성능 최적화 | 네트워크 비용 절감 | 요청 처리 속도 향상 |
유연성 | CEL 기반 조건식 작성 | 다양한 정책 구현 가능 |
VAP는 특히 대규모 클러스터 운영에서 보안 표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보안 정책 적용 |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보안 정책 강제 | CEL 정책 복잡성 관리 |
리소스 제약 관리 | CPU·메모리 제한 정책 검증 | 성능 영향 최소화 |
컴플라이언스 준수 | GDPR, HIPAA 등 규제 대응 | 정책 설계 및 감사 추적 필요 |
도입 시, CEL 표현식 학습 곡선과 정책 충돌 관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7. 결론
**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는 Kubernetes 운영에서 보안과 정책 준수를 단순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혁신적 기능입니다. 외부 의존성을 줄이고, 클러스터 네이티브 정책 검증 프레임워크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