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Zero-Trust Network Access 2.0 (ZTNA 2.0)
JackerLab
2025. 7. 1. 20:04
728x90
반응형
개요
ZTNA 2.0은 기존 ZTNA 1.0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적이고 지속적인 신뢰 검증 기반으로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행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통제하는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다. 본 글에서는 ZTNA 2.0의 핵심 개념, 차별점, 구성 요소, 적용 전략 등을 설명한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 설명 |
정의 | ZTNA 2.0은 접속 시점의 사용자/디바이스 상태뿐 아니라, 접속 이후 행위까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정책 적용을 지속하는 진화형 Zero Trust 접근 모델이다. |
목적 | 동적 리스크 기반 접근 제어, 사용자/애플리케이션 보안 경계 강화 |
차별점 | ‘One-time check’ 방식이 아닌 ‘Always-on trust validation’ 구조 |
2. ZTNA 1.0과의 차이점
항목 | ZTNA 1.0 | ZTNA 2.0 |
인증 방식 | 초기 인증 기반 | 지속적 신뢰 검증 기반 |
가시성 범위 | 애플리케이션 단위 | 사용 행위/데이터 수준까지 |
정책 적용 | 정적 액세스 제어 | 동적 위험 점수 기반 제어 |
공격 탐지 | 제한적 (북-남 트래픽 중심) | 동-서 트래픽까지 포함한 실시간 위협 감지 |
ZTNA 2.0은 사용자·디바이스·앱 간의 컨텍스트를 중심으로 작동한다.
3.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기능 |
Identity Engine | 사용자 및 디바이스 신원 검증 | SSO, MFA, UEM 연동 |
Policy Engine | 동적 리스크 기반 접근 정책 결정 | 실시간 컨텍스트 평가, Role/Device 상태 기반 |
Enforcement Point | 트래픽 라우팅 및 정책 적용 지점 | 클라이언트, 에이전트, Cloud PoP 형태 |
Monitoring & Analytics | 사용자 행위 모니터링 및 이상 탐지 | UEBA, DLP, Threat Intelligence 연동 |
ZTNA 2.0은 SASE/SSE 아키텍처와 긴밀하게 통합된다.
4. 기대 효과 및 적용 사례
항목 | 설명 | 기대 효과 |
내부자 위협 차단 | 권한 있는 사용자도 실시간 행위 분석 | 비정상 사용 감지 및 자동 차단 |
SaaS 접근 보안 | Google Workspace, O365 등 SaaS 접근 보호 | 앱별 동적 조건 접근 제어 가능 |
BYOD 보호 | 비관리 디바이스에 대한 조건부 접근 적용 | 디바이스 상태 기반 허용/차단 |
분산 사용자 환경 대응 | 재택근무, 글로벌 사용자 보안 적용 | VPN 없이 글로벌 접근 보호 가능 |
클라우드-엣지-본사 모두 동일한 정책으로 제어 가능하다.
5. 도입 전략 및 고려사항
항목 | 설명 | 고려사항 |
정책 설계 | 역할·리스크 기반 접근 정책 수립 | Static Role + Dynamic Score 병행 |
클라이언트 배포 | 디바이스 식별/보호 위한 에이전트 운영 | OS 호환성, MDM 통합 필요 |
SASE 연계 | SSE, SD-WAN 통합을 통한 전체 경계 보호 | 정책 통합 및 PoP 전략 필요 |
통합 가시성 | 네트워크 + 앱 + 사용자 로그 통합 분석 |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연동 고려 |
SecOps 및 네트워크팀 간 정책 통합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6. 결론
ZTNA 2.0은 사용자와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클라우드·온프레미스·SaaS를 아우르는 보안 경계를 재정의하며, 진정한 Zero Trust 보안 모델을 실현하는 핵심 아키텍처다. 지속적 신뢰 검증과 컨텍스트 기반 통제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