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BPE (Byte-Pair Encoding)

JackerLab 2025. 10. 18. 12:38
728x90
반응형

개요

BPE(Byte-Pair Encoding)는 데이터 압축에서 유래한 알고리즘으로, 자연어 처리(NLP)에서 서브워드(subword) 기반 토크나이제이션(tokenization)에 널리 사용됩니다. 희귀어나 신조어를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OOV(Out-of-Vocabulary)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 언어 모델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기법입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 가장 자주 등장하는 문자 쌍을 병합해 서브워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데이터 압축 기법에서 확장
목적 희귀어 처리 및 어휘 집합 최적화 NLP 토크나이제이션 활용
필요성 단어 기반 토크나이저의 한계 극복 다국어·희귀어 처리 강화

OOV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 기법입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비교
빈도 기반 병합 자주 등장하는 문자 쌍을 반복 병합 규칙 기반 분할과 차별화
서브워드 단위 생성 단어보다 작고 문자보다 큰 단위 사용 Word-level보다 유연함
언어 독립성 언어 규칙에 의존하지 않음 형태소 분석기 불필요

언어 불문 적용이 가능한 단순하면서 강력한 방식입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초기 어휘 개별 문자로 시작 "l o w e r"
병합 규칙 가장 자주 등장하는 문자 쌍을 결합 (l,o) → "lo"
최종 어휘 서브워드 집합 형성 "low", "er"

단순한 규칙 반복으로 서브워드 집합이 구축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영역
서브워드 분할 텍스트를 서브워드 단위로 토크나이즈 GPT, BERT 등 LLM
병합 규칙 학습 코퍼스 기반으로 빈도 높은 쌍 학습 사전 구축
디토크나이제이션 서브워드를 원래 단어로 복원 "lo" + "wer" → "lower"
다국어 적용 다양한 언어 문자 처리 가능 Unicode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 학습의 기반 기술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효과
OOV 최소화 희귀어나 신조어 분해 가능 모델 범용성 확보
어휘 크기 최적화 지나치게 큰 단어 집합 방지 메모리 효율성 향상
단순성과 효율성 구현과 학습 과정이 단순 대규모 학습 데이터에 적합

NLP 성능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대규모 언어 모델 GPT, BERT 등 서브워드 토크나이저로 활용 병합 규칙 품질이 성능 좌우
기계 번역 희귀어와 다국어 번역 지원 언어별 데이터 분포 고려
음성 인식 발화 텍스트 전처리 특수 기호 처리 필요

토큰화 품질과 데이터 분포에 따른 튜닝이 중요합니다.


7. 결론

BPE는 자연어 처리에서 필수적인 서브워드 토크나이제이션 알고리즘으로, 희귀어 처리와 어휘 최적화를 통해 대규모 언어 모델의 학습을 지원합니다. 단순성과 효율성을 갖춘 이 기법은 기계 번역, 언어 모델,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sper  (0) 2025.10.19
Canary Deployment  (0) 2025.10.18
SentencePiece  (1) 2025.10.18
Apache Pulsar  (0) 2025.10.18
Apache Beam  (0)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