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DTDL (Digital Twins Definition Language)

JackerLab 2025. 10. 10. 18:05
728x90
반응형

개요

DTDL(Digital Twins Definition Language)은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정의하기 위해 Microsoft가 개발한 언어로, IoT 및 스마트 환경에서 자산, 장치, 시스템을 디지털로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JSON 기반의 직관적인 스키마를 통해 센서 데이터, 속성, 관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1. 개념 및 정의

DTDL은 디지털 트윈을 설명하기 위한 표준화된 언어로, 자산의 속성(Properties), 명령(Command), 관계(Relationship), 원격 측정(Telemetry) 등을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물리적 자산의 가상 표현을 일관되게 모델링할 수 있다.


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표준성 JSON-LD 기반 W3C 표준 확장
유연성 다양한 산업 자산 모델링 가능 IoT·클라우드 연계
상호운용성 Azure Digital Twins와 통합 개방형 생태계

DTDL은 디지털 트윈 생태계에서 핵심 언어로 자리 잡고 있다.


3. 구성 요소

요소 설명 예시
Telemetry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정의 온도, 습도 센서
Property 자산 상태 속성 장치 배터리 잔량
Relationship 트윈 간 관계 정의 공장-로봇 연결
Command 외부 제어 명령 밸브 열기/닫기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트윈의 동작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표현한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사례
JSON-LD 구조화된 데이터 표현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링
Azure Digital Twins Microsoft 플랫폼 연계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IoT Hub 연계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엣지 장치 데이터 관리

DTDL은 클라우드-엣지-디지털 트윈을 연결하는 핵심 기술이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표준화 일관된 모델링 가능 개발·운영 효율성 증대
확장성 다양한 자산과 도메인에 적용 스마트팩토리·헬스케어 활용
통합성 클라우드 서비스와 원활한 연계 디지털 전환 가속화

DTDL은 기업의 디지털 트윈 전략을 실현하는 데 필수적인 언어이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설명 고려사항
스마트 빌딩 건물 내 센서와 장치 모델링 에너지 효율성 확보
스마트 시티 교통·환경·인프라 디지털 표현 대규모 확장성 필요
제조 공정 장비·로봇 연결 및 최적화 표준 모델의 일관성 유지

도입 시 보안, 데이터 거버넌스, 상호운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7. 결론

DTDL은 디지털 트윈 모델링의 표준 언어로, IoT와 클라우드 환경을 연결해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향후 글로벌 디지털 트윈 표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