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Digital Product Passport (DPP)

JackerLab 2025. 5. 2. 18:21
728x90
반응형

개요

Digital Product Passport(DPP)는 제품의 제조, 구성, 환경영향, 수리 가능성, 재활용성 등 전체 수명 주기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저장·공유하는 전자 문서 체계입니다. 유럽연합(EU)이 추진하는 순환경제 패키지(Circular Economy Package) 전략의 핵심 요소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과 지속가능한 소비 및 생산 촉진을 목표로 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 제품의 전 수명 주기에 걸친 주요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데이터 플랫폼
목적 지속 가능한 제품 설계, 책임 있는 소비 촉진, 폐기물 감소, 공급망 투명성 강화
필요성 자원 고갈, 탄소 중립, 소비자 권리 강화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대응 필수성 증가

DPP는 Eco-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ESPR) 아래 EU 내 주요 제품군에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2. 주요 특징

특징 설명 기존 대비 차별점
전체 수명 주기 기반 데이터 수집 제조-사용-유지보수-재활용까지 포괄 생산 단계 정보만 제공하던 방식 한계 극복
상호운용성 확보 다양한 기업, 시스템 간 데이터 연동 표준화 고립된 EPD(환경제품성적서)와 차별화
소비자 접근성 강화 QR 코드, RFID 등을 통한 실시간 정보 조회 지원 소비자가 제품 지속가능성 직접 확인 가능

특히 블록체인 기반 DPP 솔루션이 투명성·불변성 강화를 위해 검토되고 있습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제품 정체성(Product Identity) 고유 식별자 및 기본 사양 등록 제품 모델, 제조사, 인증번호 등
원자재 및 구성요소 정보 주요 소재, 부품 출처 및 재료 정보 제공 재활용 원자재 비율, 위험물질 포함 여부
환경 영향 데이터 탄소 발자국, 에너지 소비, 자원 사용량 등 기록 제품당 탄소 배출량(gCO₂e) 표시
수명 주기 이벤트 기록 수리, 업그레이드, 리콜, 재활용 이력 관리 수리 가능성 지수, 재활용 경로 제공
접근 및 제어 모듈 사용자·감사기관별 권한 제어 및 감사 로깅 GDPR 준수 개인정보 보호 적용

DPP는 **Global Data Standards(GDSN, EPCIS)**와 연계하여 글로벌 확장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4. 주요 기술 요소 및 운용 방식

기술 설명 적용 사례
Blockchain 기반 데이터 신뢰성 강화 분산원장으로 제품 이력 데이터 불변성 보장 지속가능성 인증, 위조 방지 강화
IoT 및 스마트 센서 통합 제품 사용 및 환경 데이터 자동 수집 스마트폰, 가전제품 내 센서 연동
Semantic Data Standards 적용 온톨로지 기반 데이터 표현 및 질의 지원 W3C RDF, JSON-LD 포맷 활용
API 기반 DPP 연동 플랫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합 연계 지원 제조사-리사이클러-소비자 간 데이터 교환

DPP는 Self-Sovereign Product Identity(제품 자체 주권 ID) 모델로도 진화할 전망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효과
지속가능성 가시성 강화 제품 수준에서 환경 성과 투명하게 공개 친환경 소비 및 브랜드 가치 향상
공급망 투명성 향상 전체 밸류체인 이력 추적 가능 윤리적 조달 및 컴플라이언스 대응 강화
수리·재사용·재활용 촉진 제품 수명 연장 및 자원 순환 활성화 순환경제 전환 가속화 및 폐기물 감소

특히 패션, 전자제품, 자동차, 배터리, 건설 자재 분야에서 DPP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설명 고려사항
스마트폰 제조사 지속가능성 공개 제품당 탄소 발자국, 수리 가능성 지수 제공 민감 데이터 보호 및 지식재산권(IP) 고려 필요
자동차 부품 공급망 추적 재활용 소재 사용률 및 생산 이력 기록 OEM-Tier 간 데이터 공유 표준화 필요
패션 리테일 친환경 라벨링 강화 의류 소재 출처, 제조 공정 환경 영향 공개 소비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설계 필요

DPP 구축 시 데이터 정확성, 업데이트 주기, 상호운용성 표준 준수가 핵심입니다.


7. 결론

Digital Product Passport(DPP)는 지속 가능한 제품 생태계, 책임 있는 소비 및 생산, ESG 경영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입니다. 기업은 DPP 전략 수립을 통해 EU 규제 대응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뢰와 경쟁력을 강화하고, 순환경제 전환을 선도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BM(Technology Business Management)  (0) 2025.05.03
GAIA-X Federated Trust Services  (0) 2025.05.02
Data Clean Room v2  (1) 2025.05.02
Processing-in-Memory(PIM) DRAM  (0) 2025.05.02
CXL 3.0 Fabric Security  (0)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