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Remote Browser Isolation(RBI)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세션을 로컬 환경이 아닌 원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에서 실행하고, 그 결과(렌더링된 화면)만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안 기술이다. 이를 통해 악성 웹사이트로부터의 감염, 피싱, 제로데이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1. 개념 및 정의
| 항목 | 내용 | 비교 |
| 개념 | 웹 콘텐츠를 원격 환경에서 격리하여 실행하는 보안 기술 | 로컬 브라우징 대비 높은 보안성 |
| 목적 | 악성코드, 스크립트, 피싱 링크 등으로부터 사용자 보호 | 클라이언트 무결성 유지 |
| 필요성 | 제로데이 및 공급망 공격 급증 | 기존 AV/Proxy 한계 보완 |
2. 특징
| 특징 | 설명 | 비교 |
| 완전한 격리 | 웹 콘텐츠가 사용자 장치에 직접 도달하지 않음 | Sandbox보다 강력한 보호 |
| 스트리밍 방식 | 렌더링된 이미지/픽셀 정보만 전송 | 네트워크 효율적 사용 |
| 클라우드/온프레미스 지원 |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 | 하이브리드 보안 지원 |
| 무정지 탐지 | 실시간 URL, 파일 분석 | 사용자 경험 저하 최소화 |
3.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Isolation Server | 브라우저 세션을 원격에서 실행 | 클라우드 기반 가상 브라우저 |
| Rendering Engine | 웹페이지를 픽셀 단위로 렌더링 후 전송 | HTML → 영상 변환 |
| Policy Manager | URL 필터링 및 접근 정책 설정 | 화이트리스트 기반 제어 |
| Logging System | 세션 활동 및 위협 탐지 기록 | SIEM 연동 가능 |
4. 기술 요소
| 기술 | 설명 | 예시 |
| Pixel Streaming | 렌더링된 화면만 사용자에게 전송 | Citrix, Cloudflare RBI |
| DOM Mirroring | 안전한 요소만 복제하여 표시 | Safe DOM Rendering |
| Containerization | 각 세션을 분리된 컨테이너로 격리 | Docker, K8s 기반 격리 |
| AI URL Classification | 악성 URL 자동 탐지 및 차단 | ML 기반 Threat Intelligence |
5. 장점 및 이점
| 구분 | 설명 | 예시 |
| 악성코드 차단 | 실행 전 단계에서 격리 | 제로데이 차단 |
| 데이터 유출 방지 | 사용자 단말에 코드 실행 없음 | 웹 스크립트 공격 방지 |
| 생산성 유지 | 지연 없이 원활한 브라우징 | 사용자 UX 최적화 |
| 보안 통합 | CASB, SWG 등과 연계 | 클라우드 보안 강화 |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 활용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 금융기관 | 내부 사용자 피싱 사이트 접근 방지 | 지연 최소화 필요 |
| 공공기관 | 행정망 내 외부 웹사이트 안전 접근 | 인증 연동 필요 |
| 교육기관 | 학생의 안전한 인터넷 사용 환경 제공 | 콘텐츠 필터링 설정 |
| 글로벌 기업 | 이메일 링크 클릭 시 자동 격리 | RBI 정책 자동 적용 |
7. 결론
RBI(Remote Browser Isolation)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사용자 환경을 공격으로부터 완벽히 분리하여 안전한 웹 경험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보안과 통합하여 미래형 보안 아키텍처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orkload Identity Federation (WIF) (0) | 2025.11.02 |
|---|---|
| Customer-Managed Keys (CMEK) (0) | 2025.11.01 |
| External Key Manager (EKM) (0) | 2025.10.31 |
| Key Management Interoperability Protocol (KMIP) (0) | 2025.10.31 |
| WireGuard (WG) (0)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