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보안 22

dNSTIC (DNS Transaction Integrity Check)

개요dNSTIC(DNS Transaction Integrity Check)는 DNS 응답의 위변조를 감지하고 트랜잭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경량화된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DNS는 인터넷의 핵심 인프라지만 여전히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며, dNSTIC는 DNSSEC보다 구현이 간편하면서도 유효성 검사를 가능하게 하여, 중소규모 환경이나 IoT 기반 시스템에서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NSTIC는 DNS 요청-응답의 경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변조, 캐시 오염, 스푸핑 등을 탐지하고, 각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둔 보안 모듈입니다.주요 목적DNS 응답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경량 암호 기반 무결성 검사 구현DNS 트래픽에 대한 실시간 검증 기능 제공2. 특징 항목..

Topic 2025.06.27

SCION(Scalable, ControlleD, and IsolatEd ON-path routing)

개요SCION(Scalable, ControlleD, and IsolatEd ON-path routing)은 오늘날의 인터넷 구조가 가진 경로 제어 부족, 보안 위협, 장애 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차세대 인터넷 아키텍처입니다. 특히 경로 투명성(path transparency), 자율적 경로 제어, 도메인 간 격리성을 기반으로, 금융, 국가 인프라, 글로벌 기업 등 고신뢰성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 이상적인 네트워크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CION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라우팅의 근본적 재설계를 통해 다음을 실현합니다:경로 제어: 송신자가 경로를 직접 선택경로 검증: 수신자가 실제 경로를 검증 가능격리된 도메인(ISD): 자율 시스템을 격리 관리 SCION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 ..

Topic 2025.05.08

KSPM(Kubernetes Security Posture Management)

개요KSPM(Kubernetes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 및 워크로드에 대한 보안 구성 최적화, 취약점 관리, 정책 준수 등을 자동화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접근 방법입니다. 빠르게 확산된 쿠버네티스 환경은 복잡성과 함께 새로운 보안 위험을 수반했으며, KSPM은 이러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보안 거버넌스를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쿠버네티스 인프라, 클러스터 구성, 워크로드, 네트워크 설정의 보안 상태를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관리 체계목적구성 오류, 권한 남용, 네트워크 노출, 취약 컴포넌트 문제를 사전에 식별 및 수정필요성컨테이너화와 DevOps 확산으로 동적이고 복잡한..

Topic 2025.05.01

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

개요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신뢰성을 관리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EIR은 단말기의 분실, 도난, 불법 복제 여부를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여 이동통신망의 보안성과 서비스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IMEI 상태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장비 식별 데이터베이스목적불법 단말 통제, 도난 단말 차단, 통신망 보안 강화필요성단말 신뢰성 확보 및 사용자 보호, 사기 방지 목적EIR은 주로 3GPP(3rd Generation P..

Topic 2025.04.30

SDP(Software Defined Perimeter)

개요Software Defined Perimeter(SDP)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을 기반으로, 인증된 사용자만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경계를 소프트웨어로 정의하는 보안 프레임워크다. 기존의 IP 기반 접근 제어 방식과 달리, SDP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며, 접속 전 철저한 인증과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여 **'보이지 않는 인프라'**를 구현한다.1. 개념 및 정의SDP는 사용자와 리소스 간 연결을 동적으로 설정하며, 접속 시점까지 해당 리소스의 존재를 네트워크 상에서 보이지 않게 만든다.목적: 내부/외부 위협으로부터 리소스를 보호하고, 사용자 기반 접근 제어 실현기반 모델: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 Need-to-Know 원칙핵심..

Topic 2025.04.27

망연계(Network Separation)

개요망연계는 내부망과 외부망 간의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보안 기술입니다. 주로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처럼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도입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전환과 재택근무 확산으로 인해 망연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망연계는 보안이 필요한 내부망(업무망)과 상대적으로 개방된 외부망(인터넷망)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제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안 아키텍처입니다.목적: 사이버 공격이나 정보 유출로부터 내부 시스템을 보호함과 동시에, 업무 효율성을 해치지 않기 위한 균형 추구필요성: 보안 위협이 고도화되고, 내부망까지 침투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망분리 환경에서도 안전한 자료 교환을 위한 기술적 수..

Topic 2025.04.19

NOS(Network Operating System)

개요NOS(Network Operating System)는 여러 컴퓨터와 네트워크 자원(파일, 프린터, 애플리케이션 등)을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용 운영체제 또는 소프트웨어 계층입니다. 일반 운영체제와 달리, NOS는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간의 자원 공유, 보안, 통신을 중심으로 작동하며, 기업용 서버,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환경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Network Operating System은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장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자원을 제어하며, 사용자 간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중앙 집중식 NOS: 서버 기반 구조, 예: Windows Ser..

Topic 2025.04.19

SD-WAN(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

개요SD-WAN(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은 전통적인 WAN(광역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능적으로 제어하여 멀티 클라우드, SaaS, IoT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차세대 WAN 기술입니다. MPLS, 인터넷, LTE, 5G 등 다양한 링크를 가상화하여 비용 효율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전 세계 기업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D-WAN은 다양한 네트워크 회선을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기반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의 WAN입니다. 물리적 인프라가 아닌 **논리적 제어(Software-Defined Control)*..

Topic 2025.04.05

Kerberos

개요Kerberos는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와 서비스 간 안전한 인증을 제공하기 위한 티켓 기반 인증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네트워크에 직접 노출시키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제3자(TGS, Ticket Granting Server)를 통해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자격증명과 암호화된 통신을 제공합니다. 특히 Microsoft의 Active Directory, Unix/Linux 시스템,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인증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Kerberos는 MIT에서 개발된 인증 프로토콜로, 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하면 다양한 서비스에 티켓(Ticket)을 통해 재인증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SSO(Single Sign..

Topic 2025.04.05

NGFW(Next Generation Firewall)

개요NGFW(Next Generation Firewall, 차세대 방화벽)는 전통적인 L3/L4 기반 방화벽 기능에 애플리케이션 인식, 사용자 식별, 위협 탐지, 침입 방지(IPS) 등의 고급 보안 기능을 통합한 보안 솔루션입니다. 클라우드, 모바일, IoT 등 복잡하고 분산된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NGFW의 개념, 주요 기능, 기존 방화벽과의 차이점, 적용 사례 및 선택 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NGFW는 기본적인 IP/포트 기반 필터링을 넘어서 애플리케이션 레벨(L7)의 가시성 확보 및 제어, 지능형 위협 탐지, 통합 정책 관리, 컨텍스트 기반 보안을 제공하는 통합 보안 플랫폼입니다.2..

Topic 2025.04.02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Network Security Protocols)

개요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암호화, 인증, 무결성 보장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규약입니다. 정보 유출, 위·변조, 스푸핑, 중간자 공격 등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SSL/TLS, IPsec, SSH, HTTPS, RADIUS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주요 보안 프로토콜의 개념, 기능, 작동 방식, 적용 사례 등을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필요성보안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인증, 무결성 검증하여, **기밀성(C), 무결성(I), 가용성(A)**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인터넷, 사설망, VPN, 무선 환경 등에서 보안 프로토콜은 사이버 위협을 방어하는 핵심..

Topic 2025.04.02

IDS/IPS

개요IDS(침입 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와 IPS(침입 방지 시스템, Intrusion Prevention System)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상 행위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하거나 경고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방화벽이 정적인 정책 기반의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면, IDS/IPS는 실시간 트래픽을 분석하여 알려지지 않은 공격까지 탐지할 수 있는 동적 보안 기술로 작동합니다. 본 글에서는 IDS/IPS의 개념, 차이점, 구성 방식, 탐지 기술, 도입 사례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용어 정의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네트워크 또는 호스트 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행위를 탐지하고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Topic 2025.04.02

방화벽(Firewall)

개요방화벽(Firewall)은 네트워크 내부와 외부 간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비인가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 자산을 보호하는 핵심 보안 장비입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보안 솔루션으로, 인터넷 연결이 필수인 현대 IT 환경에서 서버, 네트워크, 클라우드, 개인 단말기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방화벽의 개념, 종류, 동작 방식, 주요 기능, 실무 적용 사례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방화벽은 네트워크 경계에서 데이터 패킷을 검사하여 허용 또는 차단하는 트래픽 필터링 장치입니다. 보안 정책에 따라 특정 IP 주소, 포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을 통제하며, 네트워크 보안 아키텍처의 중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2. 방화벽의 주요 기능 기능 설명 ..

Topic 2025.04.02

취약점 스캐닝 (Vulnerability Scanning)

개요취약점 스캐닝(Vulnerability Scanning)은 시스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과정입니다. 기업과 조직은 취약점 스캐닝을 통해 보안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고, 보안 강화 및 침해 대응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취약점 스캐닝의 개념, 주요 유형, 활용 사례 및 방어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취약점 스캐닝이란?취약점 스캐닝(Vulnerability Scanning)은 보안 도구를 이용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평가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개념 설명 취약점(Vulnerability)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해커가 악용할 수 있는 보안 결함취약점 스캐닝보안 스캐너를 활용해 취약점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

Topic 2025.03.24

SSRF (Server-Side Request Forgery)

개요SSRF(Server-Side Request Forgery, 서버 측 요청 위조)는 공격자가 서버를 악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외부 시스템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취약점입니다. SSRF는 클라우드 환경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특히 위험한 보안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본 글에서는 SSRF의 개념, 주요 공격 유형, 실제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SRF란?SSRF는 공격자가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원격 서버에 임의의 요청을 보내게 만드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개념 설명 SSRF 공격공격자가 서버를 이용해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리소스에 악성 요청을 보내는 공격 기법취약한 입력 처리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입력값을 검증..

Topic 2025.03.24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개요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공통 보안 취약점 및 노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보안 취약점 식별 시스템으로, 보안 연구원과 조직이 보안 위협을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CVE의 개념, 주요 원리, 취약점 관리 프로세스 및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VE란?CVE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보안 취약점을 고유한 식별자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보안 연구원과 기업이 같은 보안 취약점을 동일한 기준으로 다룰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념 설명 CVE ID보안 취약점이 공식적으로 등록되면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 (예: CVE-2023-12345)CVE 목록공개된 취약점들의 데이터베..

Topic 2025.03.24

Steganography (스테가노그래피, 은닉 기법)

개요Steganography(스테가노그래피, 은닉 기법)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숨겨 감추는 기술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스테가노그래피의 개념, 주요 원리, 활용 방법 및 보안 관련 고려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스테가노그래피란?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는 데이터를 다른 형태의 데이터 내에 숨겨서 메시지를 은밀하게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개념 설명 암호화 (Encryption)데이터 자체를 변환하여 보호하는 기술 (예: AES, RSA)스테가노그래피데이터의 존재 자체를 숨기는 기술 (예: 이미지, 오디오 파일 내 데이터 삽입)워터마킹 (Watermarking)디지털 콘텐츠에 특정 정보(저작권 보호 등)를 삽입하는 기법스테가노그래피는 단순히..

Topic 2025.03.24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챌린지-응답 인증)

개요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챌린지-응답 인증)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보안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챌린지-응답 인증의 개념, 동작 원리, 장점,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챌린지-응답 인증이란?챌린지-응답 인증(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은 사용자와 인증 서버 간에 임의의 질문(Challenge)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이에 대한 적절한 응답(Response)을 제공해야 하는 방식으로, 비밀번호 노출을 방지하는 강력한 인증 기법입니다. 용어 설명 Challenge (챌린지)서버가 사용자에게..

Topic 2025.03.24

RBAC/ABAC/PBAC (역할·속성·정책 기반 접근 제어)

개요RBAC(Role-Based Access Control), ABAC(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PBAC(Policy-Based Access Control)은 정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주요 접근 제어 모델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접근 제어 모델의 개념과 차이점, 활용 사례 및 구현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RBAC/ABAC/PBAC란? 접근 제어 모델 개념 특징 RBAC (역할 기반 접근 제어)사용자에게 특정 역할(Role)을 부여하고, 역할에 따른 권한을 부여사용자의 직책이나 업무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구조ABAC (속성 기반 접근 제어)사용자의 속성(Attribute)에 따라 접근 권한을 결정위치, 시간, 기기 유형 등..

Topic 2025.03.24

SOC (보안 운영 센터, Security Operations Center)

개요SOC(Security Operations Center, 보안 운영 센터)는 기업과 기관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조직으로,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SOC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적 요소, 구축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C란?SOC(Security Operations Center)는 기업 및 조직의 IT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 이벤트를 감시하고 분석하며, 위협이 탐지되면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하는 보안 전담 조직입니다. SOC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기업 데이터를 보호하고, 보안 사고를 예방하며, 신속한 대응을 지원합니다. 개념 설명 주요 역할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네트워크 및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

Topic 2025.03.24

NAC (네트워크 접근 제어, Network Access Control)

개요NAC(Network Access Control, 네트워크 접근 제어)는 조직의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기술로, 인증되지 않은 장치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NAC의 개념, 주요 기능, 기술적 구현 방법, 그리고 실제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NAC란?네트워크 접근 제어(NAC)는 조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사용자 및 장치를 식별하고, 정책에 따라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NAC는 기업, 정부 기관, 금융 및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인증(Authentication):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사용자 및 장치의 신원을 확인인가(Authorization): 사용..

Topic 2025.03.24

AAA 보안 모델(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개요AAA 보안 모델은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회계(Accounting)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AAA 모델의 개념과 주요 원칙, 기술적 구현 방법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AAA 보안 모델이란?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모델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인가(Authorization):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회계(Accounting): 사용자의 활동을..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