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동화보안 6

OSV Schema & DB

개요OSV Schema & DB(Open Source Vulnerability Schema & Database)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취약점 정보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한 스키마와 데이터베이스이다. Google이 주도하는 OSV 프로젝트는 SBOM, 보안 자동화, 취약점 탐지 도구와 긴밀히 연계되어,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설명 정의OSV Schema오픈소스 취약점 정보를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표준 스키마정의OSV DB표준 스키마 기반으로 구축된 취약점 데이터베이스목적오픈소스 취약점 관리 및 공유개발자·보안팀이 동일한 데이터 활용OSV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버전·패키지·플랫폼과 연계된 취약점 정보를 명확히 기술하여,..

Topic 2025.10.05

BAS (Breach & Attack Simulation)

개요사이버 공격의 정교화와 빈도가 증가하면서, 보안 체계의 실제 효과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이 바로 **BAS(Breach & Attack Simulation)**입니다. BAS는 실제 공격 시나리오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기업의 방어 체계를 점검하고,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보완할 수 있도록 합니다.1. 개념 및 정의**BAS(Breach & Attack Simulation)**는 조직의 보안 체계에 대해 실제 공격과 유사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방어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자동화 보안 검증 도구입니다.주요 목적은 실시간 보안성 점검과 지속적인 개선으로, 레드팀(공격)과 블루팀(방어) 활동을 보완하는 자동화된 '퍼플팀' 접근법이라 할..

Topic 2025.09.10

BizDevSecOps (BDSO)

개요소프트웨어 개발의 속도와 품질이 비즈니스 경쟁력과 직결되는 시대에, 개발과 운영의 협업을 강화한 DevOps는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보안(Security)과 비즈니스 전략(Biz)이 여전히 분리된 체계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보다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BizDevSecOps(BDSO)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전략적 프레임워크로, 비즈니스 목표, 개발 효율성, 보안 강화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프로세스를 지향합니다. 본 글에서는 BDSO의 개념, 구성 요소, 적용 기술, 실무적 장점 등을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BizDevSecOps(BDSO)는 비즈니스(Biz), 개발(Dev), 보안(Sec), 운영(Ops)을 하나의 연속된 파이프라인으로 통합하는..

Topic 2025.08.09

MLSecOps(Machine Learning Security Operations)

개요MLSecOps(Machine Learning Security Operations)는 머신러닝 시스템의 개발, 배포, 운영 단계 전반에 걸쳐 보안 리스크를 식별하고,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안 중심 운영 전략이다. 이는 DevSecOps의 개념을 AI/ML 시스템에 확장 적용한 형태로, 데이터 보안, 모델 공격 방어, 무결성 검증, 정책 준수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보안 프레임워크다.1. 개념 및 정의MLSecOps는 머신러닝 모델과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보안을 위해 MLOps에 보안(Security)을 통합한 운영 철학이다.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훈련, 배포, 모니터링, 폐기까지 전 과정에 보안 관점의 자동화된 검증, 정책 적용, 탐지 및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특징 항목 ..

Topic 2025.06.23

D3FEND

개요D3FEND는 MITRE가 개발한 사이버 보안 방어 기술에 대한 지식 그래프 기반 프레임워크입니다. 공격 기술을 체계화한 ATT&CK 프레임워크에 대응하여, D3FEND는 **방어자(Defender)가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전술, 절차(TTPs)**를 표준화하여 제공합니다. 이는 사이버 공격을 예방, 탐지, 방어, 복구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술적 조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이버 보안 아키텍처 및 방어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사이버 방어 기술(TTPs)을 표준화하고 관계 기반으로 정리한 지식 그래프형 보안 프레임워크목적방어 기술의 체계화, 상호 참조성 확보, 효과적인 보안 조치 매핑필요성방어 관점의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보안 전략 수립 필요D3FEND는 A..

Topic 2025.04.30

가트너 전략 기술(2025) -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fault)

개요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fault)는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설계 시점부터 보안 기능을 기본값으로 포함시키는 보안 전략입니다. 단순한 보안 기능 추가가 아니라, 시스템 전 생애주기에서 ‘보안이 기본 상태’가 되도록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Gartner는 이를 2025년 전략 기술 트렌드로 선정하며, 보안의 선제적 통합이 디지털 혁신의 핵심 조건이 된다고 강조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소프트웨어·인프라가 설치와 동시에 기본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작동하도록 보안을 설계 단계부터 내장하는 접근 방식목적설정 오류 감소, 사용자 기반 보안 향상, 예방적 보안 강화유사 개념보안 기본값(Security by Design), 제로트러스트, DevSecOps2. 주요 원칙원칙설명최소 권한 원칙..

Topic 2025.04.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