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친환경it 8

WUE (30134-9)

개요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절약이 중요해진 오늘날, 데이터센터는 전력뿐 아니라 물 사용 측면에서도 환경 영향을 받는 시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양의 물을 사용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글로벌 지표가 **WUE(Water Usage Effectiveness)**입니다. ISO/IEC 30134-9는 WUE를 공식적으로 정의하며, 데이터센터의 IT 부하당 연간 물 사용량을 수치화하여 지속가능성 평가의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WUE (Water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가 **IT 장비를 운영하는 데 소비한 단위 에너지(kWh)당 물 사용량(Liter)**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지표입니..

Topic 2025.08.27

ITEE (30134-4)

개요데이터센터의 지속 가능한 운영은 단순히 전체 에너지 사용량(PUE)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IT 장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정량 지표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국제 표준이 바로 **ITEE (IT Equipment Energy Efficiency)**입니다. ISO/IEC 30134-4에 정의된 ITEE는 데이터센터 내 IT 부하가 수행한 계산량 대비 소비된 전력량을 측정함으로써, IT 장비의 실질적 에너지 효율을 나타냅니다.1. 개념 및 정의**ITEE (IT Equipment Energy Efficiency)**는 데이터센터의 IT 장비가 사용하는 에너지 대비 처리량을 수치화한 지표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공식: ITEE = 유용한 계산량 / IT 장비..

Topic 2025.08.27

CUE (30134-3)

개요디지털 경제의 확장과 함께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주요 주체가 되었고, 이에 따른 탄소 배출 영향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지표가 바로 **CUE(Carbon Usage Effectiveness)**입니다. ISO/IEC 30134-3은 CUE를 정의하며, 데이터센터의 IT 서비스당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국제 기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CUE의 정의, 계산법, 활용 사례 및 지속가능성 평가에서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CUE(Carbon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된 에너지의 탄소 배출 집약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공식: CUE = 연간..

Topic 2025.08.26

PUE (30134-2)

개요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전력 소비의 약 2~3%를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 집약적인 시설입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관리 지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지표가 바로 **PUE(Power Usage Effectiveness)**입니다. ISO/IEC 30134-2에 정의된 PUE는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 대비 IT 장비 전력의 비율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표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PUE(Power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 내 전체 전력 소비량 중 실제 IT 장비에 사용된 전력 비율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공식: PUE = 데이터센터 총 전력 소비 / IT 장비 전..

Topic 2025.08.26

ISO/IEC 30134

개요디지털 인프라의 핵심인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을 수반하며,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효율성 관리가 글로벌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것이 바로 ISO/IEC 30134 시리즈입니다. 이 표준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 탄소 집약도, 온수 사용, IT 생산성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정의하고 있으며, 글로벌 친환경 데이터센터 인증과 보고의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30134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가 공동 제정한 데이터센터 주요 운영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관련 표준 시리즈입니다.이 표준은 각 항목별로 물리적 측정 방식과 공식 계산법, 해석 방법까지 제..

Topic 2025.08.26

Dynamic Carbon Intensity Scheduling (DCIS)

개요Dynamic Carbon Intensity Scheduling(DCIS)은 전력의 탄소 집약도(Carbon Intensity)를 실시간으로 고려하여 컴퓨팅 자원 및 운영 작업의 실행 시점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은 에너지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IT 운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DCIS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실시간 탄소 집약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 실행을 최적화하는 스케줄링 기법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저감 목적목적탄소 배출이 적은 시간대에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여 친환경 IT 달성ESG 경영 실현 수단으로 활용필요성디지털 탄소 발자국 증가, 각국..

Topic 2025.07.26

Cloud Carbon Footprint(CCF)

개요Cloud Carbon Footprint(CCF)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컴퓨팅 자원 소비로 인한 탄소 배출량을 추정·시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툴킷입니다. AWS, Azure, GCP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 소비, 탄소 배출량, 지역별 재생에너지 사용률 등을 분석해 기업과 개발팀이 보다 친환경적인 클라우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1. 개념 및 정의Cloud Carbon Footprint는 IT 인프라 운영에서의 전력 사용량과 이로 인한 탄소 배출을 추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보고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주요 목적클라우드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 가시화지속가능성 목표 수립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제공탄소 감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2. 특징 항..

Topic 2025.06.28

그린 소프트웨어(Green Software)

개요그린 소프트웨어(Green Software)는 에너지 효율성과 탄소 배출 저감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방식을 의미한다. IT 인프라의 전력 소비 증가와 데이터 센터 탄소 발자국이 글로벌 환경 문제로 부각되면서, 소프트웨어 차원에서의 친환경 전략이 기업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1. 개념 및 정의그린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생애주기 전반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자원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기술과 프로세스를 통합한 개념이다.목적: 디지털 전환 속에서도 환경 영향을 최소화범위: 코드 작성, 빌드, 테스트, 배포, 실행, 폐기 등 전 과정 포함관련 원칙: 에너지 효율, 탄소 최적화, 기기 수명 연장, 지속 가능성 설..

Topic 2025.04.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