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탄소중립 13

Energy-Proportional Computing (EPC)

개요데이터 센터와 컴퓨팅 시스템의 전력 소비가 급증하면서, 에너지 효율성은 IT 인프라 설계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Energy-Proportional Computing (EPC)**은 시스템의 작업 부하에 따라 소비 전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설계된 컴퓨팅 모델로, 유휴 상태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전체 시스템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글에서는 EPC의 개념, 기술 요소, 장점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형 친환경 IT 인프라의 방향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Energy-Proportional Computing은 컴퓨팅 자원이 실제 부하(load)에 따라 정확히 비례하는 전력을 소비하도록 만드는 설계 철학입니다. 전통적인 시스템은 낮은 부하에서도 ..

Topic 2025.08.28

Carbon-Aware CI Runner (CACI)

개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기술적 접근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 파이프라인에서도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Carbon-Aware CI Runner(CACI)**는 지속적 통합(CI) 프로세스에 탄소 인지(carbon-aware) 기능을 통합하여, 저탄소 시간대나 지역에서 빌드 및 테스트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개발 과정에서의 탄소 발자국을 최소화하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CACI의 개념, 구조, 활용 사례를 통해 탄소 저감형 개발 환경의 실현 방안을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Carbon-Aware CI Runner (CACI)**는 전력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고려하여, 지속적 통합(CI) 프로세스를 최적의 시간과 위치에서 실행하도록 조정하는 시..

Topic 2025.08.28

REF (30134-6)

개요데이터센터는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이자,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에너지 집약 산업입니다. 지속 가능한 운영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단순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ISO/IEC 30134-6은 **REF(Renewable Energy Factor)**를 공식 정의하였습니다. REF는 데이터센터가 총 에너지 중 얼마나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퍼센트로 표현하는 국제 표준 지표입니다.1. 개념 및 정의**REF (Renewable Energy Factor)**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한 전체 에너지 중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공식: REF = 재생에너지 소비량 ÷ 총 에너지 소비량 × 100 (%)정의 기준: I..

Topic 2025.08.27

CUE (30134-3)

개요디지털 경제의 확장과 함께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주요 주체가 되었고, 이에 따른 탄소 배출 영향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지표가 바로 **CUE(Carbon Usage Effectiveness)**입니다. ISO/IEC 30134-3은 CUE를 정의하며, 데이터센터의 IT 서비스당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국제 기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CUE의 정의, 계산법, 활용 사례 및 지속가능성 평가에서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CUE(Carbon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된 에너지의 탄소 배출 집약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공식: CUE = 연간..

Topic 2025.08.26

PUE (30134-2)

개요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전력 소비의 약 2~3%를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 집약적인 시설입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관리 지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지표가 바로 **PUE(Power Usage Effectiveness)**입니다. ISO/IEC 30134-2에 정의된 PUE는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 대비 IT 장비 전력의 비율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표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PUE(Power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 내 전체 전력 소비량 중 실제 IT 장비에 사용된 전력 비율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공식: PUE = 데이터센터 총 전력 소비 / IT 장비 전..

Topic 2025.08.26

ISO/IEC 30134

개요디지털 인프라의 핵심인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을 수반하며,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효율성 관리가 글로벌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것이 바로 ISO/IEC 30134 시리즈입니다. 이 표준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 탄소 집약도, 온수 사용, IT 생산성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정의하고 있으며, 글로벌 친환경 데이터센터 인증과 보고의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30134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가 공동 제정한 데이터센터 주요 운영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관련 표준 시리즈입니다.이 표준은 각 항목별로 물리적 측정 방식과 공식 계산법, 해석 방법까지 제..

Topic 2025.08.26

Carbon-Aware Load Balancer (CALB)

개요Carbon-Aware Load Balancer(CALB)는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트래픽 분산 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량을 고려하여 요청을 동적으로 분산하는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로드 밸런서는 주로 응답 시간, 가용성, 성능 지표만을 고려하지만, CALB는 여기에 탄소 집약도(Carbon Intensity)까지 반영하여 환경 친화적인 컴퓨팅을 실현합니다. 이는 Green IT 및 탄소중립(Net Zero)을 향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arbon-Aware Load Balancer는 서버/지역의 실시간 탄소 배출 계수(carbon intensity)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더 친환경적인 지역 또는 자원으로 우선 분산시키는 지능형 로드 밸런서입니다.이 기..

Topic 2025.07.23

24/7 CFE (Carbon-Free Energy) Matching

개요탄소중립(Net Zero)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구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연간 총량 기준의 RE100 방식에 머무르고 있어, 실제 전력 사용 시간과 재생에너지 생산 시간 간 불일치 문제가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진보된 접근 방식이 24/7 CFE(Carbon-Free Energy) Matching입니다. 본 글에서는 24/7 CFE의 개념, 필요성, 기술적 구성, 장점 및 실제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24/7 CFE Matching은 하루 24시간, 주 7일 동안의 전력 소비를 실시간 또는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해당 시점에 소비한 전력이 탄소중립적인 에너지원(CFE)에서 공급되었는지를 매칭하는 전략입니다.이는 연간 총량의 재생..

Topic 2025.07.15

Carbon-Aware GPU Scheduler

개요AI 연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GPU 자원의 사용량도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막대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이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AI 트레이닝 및 추론 작업에 사용되는 GPU 스케줄링에 대한 에너지 효율화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Carbon-Aware GPU Scheduler입니다. 이 기술은 탄소 배출량 예측 및 저탄소 전력 시간대 인지를 통해 AI 워크로드의 실행 시점과 위치를 최적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rbon-Aware GPU Scheduler는 AI 트레이닝 및 추론 워크로드를 탄소 배출량이 적은 시간대/지역에 우선 배치하거나, 탄소 인식 기준에 따..

Topic 2025.07.11

ISO 50001 (DC Energy Mgmt)

개요ISO 50001은 에너지 성과 향상을 위한 국제 표준 에너지 경영 시스템(EnMS)으로, 조직의 에너지 사용량을 체계적으로 측정·분석하고 개선을 유도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데이터센터(DC, Data Center) 분야에서는 전력 사용량(PUE), 냉각 효율, 운영비 절감, 탄소 배출량 저감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운영을 위한 핵심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ISO 50001은 에너지 정책을 기반으로 에너지 소비 패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PDCA(Plan-Do-Check-Act) 사이클 구조의 관리 시스템입니다.Plan: 에너지 베이스라인 수립 및 목표 설정Do: 에너지 효율 향상 프로젝트 실행Check: 성과 측정 및 내부 감사Act: 이행 성과 기반 재설계 및 지속적 개선데이터..

Topic 2025.06.03

Zero-Carbon Data Center Framework

개요Zero-Carbon Data Center Framework는 데이터 센터 운영에서 탄소 배출을 ‘제로(0)’로 만들기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에너지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사용, 폐열 회수, 스마트 냉각 기술, 탄소 상쇄 프로그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되며, 클라우드 및 디지털 인프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 목표 달성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Zero-Carbon Data Center Framework는 운영 중 직접 및 간접적인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거나 상쇄하여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데이터 센터 운영 전략입니다.목적: 탄소중립 목표 실현 및 ESG 경영 강화필요성: 디지털 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 소비 확대 및 기후 변화 대응범위: 에너지 공급, 인프라 설계, 운영 및 폐기..

Topic 2025.05.20

PEC 기술 (PEC: Photoelectrochemical Cell)

개요PEC(Photoelectrochemical Cell) 기술은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활용하여 물을 분해하고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입니다. 태양전지와 전기화학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별도의 전기 없이도 빛 에너지만으로 물(H₂O)을 수소(H₂)와 산소(O₂)로 분해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에너지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EC는 태양빛이 특정 광전극(Photoelectrode)에 조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이 전하가 물 분해 반응을 유도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 수소 생산 방식인 전기분해 대비 직접 광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공정 단순화, 에너지 효율 증대,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합니다.PEC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광양극(photoanode), ..

Topic 2025.04.26

가트너 전략 기술(2025) - 지속 가능한 기술(Sustainable Technology)

개요지속 가능한 기술(Sustainable Technology)은 환경보호, 에너지 절감, 자원 효율성 등 지속가능성(E.S.G) 원칙을 충족하면서도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적 기술 접근입니다. Gartner는 2025년 전략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이를 선정하며, 디지털 전환이 환경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해야 함을 강조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기술 시스템이 환경적·사회적 책임을 고려해 설계·운영되는 전략적 기술 체계목적탄소중립(Net Zero), 자원 절약, 사회적 책임 이행, 비용 효율화관련 개념그린IT, ESG 기술, 친환경 설계, 지속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2. 구성 요소 및 적용 기술구성 요소설명적용 기술에너지 효..

Topic 2025.04.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