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DPR 42

Customer-Managed Keys (CMEK)

개요Customer-Managed Keys(CMEK)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제공하는 기본 암호화 키 대신,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접근 통제와 보안 수준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주권 강화, 규제 준수, 보안 감사 대응을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 및 제어하는 클라우드 보안 모델Provider-Managed Key와 대비목적데이터 보호의 통제권을 고객에게 부여보안 책임 분담 모델 강화필요성기업의 데이터 주권 및 규제 준수 요구 증가금융, 공공, 의료 분야 중심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키 통제권사용자가 직접 키 생성·회전·폐기 가능CSP 내부 접근 제한클라우드 통합 지원주..

Topic 2025.11.01

ISO 31700 (Privacy by Design for Consumer Goods and Services)

개요ISO 31700은 소비자 제품과 서비스 설계 단계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Privacy by Design(PbD) 개념을 제도화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단순한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 설계 요소로 반영하도록 규정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소비자 제품 및 서비스 설계 단계에서 프라이버시를 내재화하는 국제 표준2023년 ISO 발행목적개인정보 보호를 제품·서비스 수명 주기 전반에 내재화설계 기반 접근필요성GDPR, CCPA 등 글로벌 규제 대응규제 준수 및 소비자 신뢰 확보국제 표준 기반의 프라이버시 설계 프레임워크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Privacy by Design설계 단계부터 프라이버시를 고려사후 보완보다 효과적소비자 중심사용자 권리와 통..

Topic 2025.10.20

t-closeness

개요t-closeness는 k-anonymity와 l-diversity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입니다. 데이터셋에서 특정 그룹의 민감 속성 분포가 전체 데이터 분포와 일정 수준 이상 유사하도록 보장하여, 민감 정보 노출을 최소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각 그룹의 민감 속성 분포가 전체 데이터 분포와의 거리가 임계값 t 이하여야 한다는 기법l-diversity 확장목적민감 속성의 과도한 편중 방지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필요성l-diversity에서도 발생 가능한 속성 유출 방지분포 기반 접근데이터 분포의 유사성을 보장하는 고급 기법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분포 기반 보호그룹 내 민감 속성이 전체 분포와 유사l-diversity보다 정교함정보 유출 방지민감..

Topic 2025.10.20

l-diversity

개요l-diversity는 k-anonymity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입니다. 동일한 준식별자 그룹 내에서 민감 속성 값의 다양성을 보장함으로써, 특정 속성이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고 데이터 비식별화 수준을 강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각 k-익명 그룹 내 민감 속성이 최소 l개의 다양한 값을 가져야 하는 기법k-anonymity 확장목적민감 속성 노출 방지 및 데이터 재식별 위험 감소데이터 다양성 확보필요성k-anonymity만으로는 특정 속성 유출 방지 불가프라이버시 강화 필요데이터 보호의 강도를 한 단계 높인 기법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속성 다양성 보장동일 그룹 내 민감 속성의 분포를 다양화k-anonymity보다 강력공격 방어동질성 공..

Topic 2025.10.20

k-anonymity

개요k-anonymity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셋에서 개별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도록 보장하는 데이터 비식별화 기법입니다. 동일한 속성을 가진 레코드 그룹이 최소 k개 이상 존재하도록 만들어 재식별 위험을 낮추며,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간의 균형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데이터셋의 각 레코드가 최소 k-1개의 다른 레코드와 동일한 속성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법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목적개별 데이터 주체의 재식별 위험 최소화통계·연구 데이터 활용필요성개인정보 보호 법규(GDPR, HIPAA 등) 준수빅데이터 활용 가속데이터 활용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동시에 충족하는 기술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그룹화최소 k개 이상의 동일한 속성 그룹 형성단일 사용자 특정 불가비식별화준..

Topic 2025.10.20

OpenDP

개요OpenDP(Open Differential Privacy)는 하버드와 Microsoft가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데이터 분석과 공유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차등 프라이버시(DP, Differential Privacy)를 구현한다. 데이터 활용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현대적 개인정보 보호 기술이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설명 정의OpenDP차등 프라이버시 구현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목적데이터 분석 시 개인정보 보호안전한 데이터 활용 가능필요성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 강화GDPR, HIPAA 등 대응OpenDP는 민감한 데이터 보호와 동시에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2. 특징특징설명비고오픈소스누구나 활용·확장 가능투명성과 검증 가능수학적 보장차등..

Topic 2025.10.09

Sensitive Information Disclosure

개요Sensitive Information Disclosure(민감 정보 노출)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의 개인정보, 비밀 데이터, 또는 내부 시스템 정보를 의도치 않게 출력하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이는 AI 응답의 예측 불가성과 데이터 관리 미비로 인해 발생하며, 사용자 신뢰와 규제 준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민감 정보 노출은 LLM 출력에 개인정보, 기밀 데이터, 내부 운영 정보 등이 포함되는 보안 취약점입니다.목적민감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고 안전한 LLM 활용 환경 조성필요성LLM은 학습 및 프롬프트 처리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민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이는 OWASP LLM Top 10의 여섯 번째 주요 보안 위험으로 ..

Topic 2025.09.21

Data Protection by Design (DPbD)

개요Data Protection by Design(DPbD)은 유럽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제25조에 명시된 핵심 원칙 중 하나로, 개인정보 보호를 정보시스템 및 서비스의 기획·설계·개발 단계부터 구조적으로 내재화하는 접근 방식이다. 단순한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 예방적 통합 설계를 통해 프라이버시 위험을 최소화하고 법적 책임을 줄일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개인정보 보호 조치를 시스템 개발의 모든 단계(기획~운영)에 내재화하는 설계 전략목적사전 예방적 프라이버시 보장과 GDPR 등 규제의 기술적 준수 달성필요성개인정보 유출, 무단 접근, 과잉 수집 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기업의 법적 리스크 완화2. 특징특징설명일반 보안 설계와 차별점..

Topic 2025.07.19

ISO/IEC 27557 – Privacy Engineering

개요ISO/IEC 27557은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전반에 걸쳐 프라이버시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엔지니어링(Privacy Engineering)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GDPR, ISO/IEC 27701 등 기존 개인정보 보호 규정과의 연계뿐 아니라, 개발자, 설계자, 제품 관리자 등 기술 중심 인력에게 구체적인 구현 지침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7557은 개인정보 보호를 단순한 법적 컴플라이언스가 아닌 설계단계에서부터 시스템 전반에 반영하는 접근 방식을 권장합니다.Privacy by Design 원칙을 기술적으로 내재화개인정보 흐름, 제어 메커니즘, 거버넌스 요구사항을 설계 사양으로 구현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에 통..

Topic 2025.06.26

LINDDUN

개요LINDDUN은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요소를 식별하고 예방하기 위한 위협 모델링 프레임워크다. STRIDE가 보안 위협에 초점을 맞춘 반면, LINDDUN은 데이터 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설계 단계부터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리스크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둔다.1. 개념 및 정의LINDDUN은 다음 7가지 범주의 프라이버시 위협을 식별하고, 각각에 맞는 프라이버시 강화 설계(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PETs)를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위협 범주 설명 예시 Linkability사용자의 여러 데이터가 연결될 수 있는 위협위치 추적 이력 연동Identifiability익명 사용자의 실체가 드러날 수 있는 위협IP 주소로..

Topic 2025.06.23

Privacy by Design 7 원칙

개요Privacy by Design(프라이버시 설계)는 개인정보 보호를 사후 보완이 아닌 사전 예방적 방식으로 시스템, 정책, 제품, 서비스에 내재화하는 접근입니다. 이는 캐나다 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인 앤 캐벌룩(Ann Cavoukian)이 제안한 국제적 개인정보 보호 프레임워크로, GDPR을 비롯한 글로벌 규제 기준의 핵심 철학이기도 합니다. 이 원칙은 정보 시스템의 기획, 개발, 운영 전 과정에 걸쳐 프라이버시를 기본값으로 설계하는 ‘기본권 중심’의 접근을 의미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Privacy by Design은 개인정보 보호를 기술·조직·정책에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개인의 프라이버시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기술 혁신과 서비스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필요..

Topic 2025.06.06

소버린 클라우드(Sovereign Cloud)

개요소버린 클라우드(Sovereign Cloud)는 데이터의 저장, 처리, 접근 제어가 특정 국가나 지역의 법률, 규제, 주권 아래에서 보장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클라우드의 편의성과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 보안, 프라이버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아키텍처로, 유럽(EU), 한국, 중동 등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특정 국가 또는 지역의 법률과 정책 하에서 데이터 보관·처리·접근이 이루어지는 독립적이고 통제 가능한 클라우드 환경목적데이터 주권 확보, 국가안보 보장, 규제 준수, 디지털 자립성 확보관련 용어데이터 로컬리제이션(Data Localization), 디지털 주권(Digital Sov..

Topic 2025.04.24

ISO/IEC 27701 (개인정보관리체계)

개요ISO/IEC 27701은 ISO/IEC 27001과 27002의 확장 표준으로, 조직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체계(PIMS: 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국제 인증 프레임워크입니다. GDPR, CCPA 등 전 세계 주요 개인정보 보호 법규와의 정합성을 고려한 이 표준은, 개인정보 처리자 및 위탁자 모두에게 법적·기술적 보호조치를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27701은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에 ‘개인정보 처리’ 관점을 추가한 형태로, PII(개인식별정보,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의 수집, 저장, 처리, 전송,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리스크를 식별하고..

Topic 2025.04.03

개인정보 비식별화(Data De-identification)

개요개인정보 비식별화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거하거나 대체함으로써,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를 실현하는 기술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 GDPR, HIPAA 등 글로벌 규제 환경에서 데이터 처리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으며, AI 학습데이터, 통계 분석, 공공 데이터 개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비식별화의 개념, 기술, 절차, 활용 사례 등을 실무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개인정보 비식별화는 특정 개인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개인정보에서 식별자를 제거하거나 변형하는 기술적·관리적 처리 방식입니다. 식별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가명처리, 익명처리, 집계처리 등 다양한 형태로 나뉘며, 법적으로는 비식별 조치가 충..

Topic 2025.04.01

사이버 보험(Cyber Insurance)

개요사이버 보험(Cyber Insurance)은 해킹,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공격 등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를 보장하는 보험 상품이다. 디지털 경제가 확대됨에 따라 기업들은 점점 더 많은 사이버 위협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버 보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글에서는 사이버 보험의 개념, 주요 보장 범위, 장점과 한계, 적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사이버 보험이란?사이버 보험은 기업이 사이버 공격, 데이터 침해, 랜섬웨어 및 기타 디지털 위협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정적 손실을 보장하는 보험 상품이다. 이는 기존의 기업 보험이 포함하지 않는 디지털 리스크 관리를 지원하는 중요한 수단이다.1.1 사이버 보험이 필요한 이유사이버 범죄 증가: 해커, 피싱 공격, 랜섬웨어 등의 위..

Topic 2025.03.23

ISO/IEC 19086-4 (클라우드 SLA 법적 준수 및 계약 요건)

개요ISO/IEC 19086-4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법적 준수 및 계약 요건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법적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GDPR, CCPA, ISO/IEC 27001 등의 글로벌 규제 준수를 보장할 수 있도록 SLA 내 법적 조항을 체계적으로 정의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ISO/IEC 19086-2(SLA 성과 측정 메트릭), ISO/IEC 19086-3(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과 연계하여, 클라우드 계약의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4의 개념, 법..

Topic 2025.03.18

ISO/IEC 19086-3 (클라우드 SLA의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 정의)

개요ISO/IEC 19086-3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에서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보안 기대치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항을 포함하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및 원칙), ISO/IEC 19086-2(SLA 성과 측정 메트릭)**과 연계하여, 클라우드 SLA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3의 개념, 주요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3이란?I..

Topic 2025.03.18

ISO/IEC 19086-2 (SLA 성과 측정을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

개요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 및 평가 기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성능, 가용성, 보안, 지원 수준 등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ISO/IEC 19086-1(클라우드 SLA 개요 및 원칙)**과 연계하여 SLA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계약 이행을 명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2의 개념, 핵심 메트릭, 평가 기준 및 적용 방법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2란?ISO/IEC 19086-2는 클라우드 SLA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Topic 2025.03.18

ISO/IEC 19086-1 (클라우드 SLA의 개요, 기본 개념 및 원칙 정의)

개요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개념과 원칙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계약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서비스 품질(QoS) 및 성능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SO/IEC 19086 시리즈(1~4) 중 첫 번째 표준으로, 클라우드 SLA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1의 개념, 핵심 원칙,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1이란?ISO/IEC 19086-1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수준 계약(SLA)을 정..

Topic 2025.03.18

ISO/IEC 19086 시리즈

개요ISO/IEC 19086 시리즈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서비스 품질, 성능, 보안 및 법적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9086 시리즈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SLA 평가 기준 및 기업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19086 시리즈란?ISO/IEC 19086 시리즈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협약(SLA)을 표준화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명확한 성과 기준을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

Topic 2025.03.18

ISO/IEC 29190 (개인정보 보호 규제 준수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요ISO/IEC 29190은 개인정보 보호법 및 규제 요구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국제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체계를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GDPR, CCPA, ISO/IEC 27701 등의 글로벌 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ISO/IEC 29184(온라인 프라이버시 정책 및 동의 관리), ISO/IEC 29105(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 등과 연계하여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90의 개념, 주요 요소,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90이란?ISO/IEC 29190은 개인정보 보호 규제 준수를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

Topic 2025.03.18

ISO/IEC 29184 (온라인 프라이버시 정책 및 동의 관리 지침)

개요ISO/IEC 29184는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정책을 수립하고 동의(Consent)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서비스에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명확하게 제공하고, 사용자 동의를 투명하게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ISO/IEC 29103(개인정보 보호 기술), ISO/IEC 29105(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 등과 연계하여 종합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84의 개념, 주요 원칙,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84란?ISO/IEC 29184는 디지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사용..

Topic 2025.03.18

ISO/IEC 29115 (신원 인증 및 인증 관리 가이드라인)

개요ISO/IEC 29115는 디지털 환경에서 신원 인증 및 인증 관리(Authentication Assurance Framework, AAF)를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전자 거래, 온라인 서비스, 기업 네트워크 등에서 신원 확인 및 보안 수준을 설정하는 지침을 제공하며, 다양한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다층적 인증 방식을 정의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15의 개념, 주요 인증 관리 원칙,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15란?ISO/IEC 29115는 신뢰할 수 있는 신원 인증을 위한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표준으로, 조직이 디지털 환경에서 안전한 인증 및 접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계정 도용,..

Topic 2025.03.18

ISO/IEC 29110 (개인정보 보호 영향 평가 모델)

개요ISO/IEC 29110은 개인정보 보호 영향 평가(Privacy Impact Assessment, PIA)를 수행하기 위한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ISO/IEC 29103(개인정보 보호 기술), ISO/IEC 29105(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와 연계하여 개인정보 보호 프레임워크를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10의 개념, 주요 평가 모델,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10이란?ISO/IEC 29110은 개인정보 보호 영..

Topic 2025.03.18

ISO/IEC 29105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 모델)

개요ISO/IEC 29105는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 리스크를 분석하고, 보안 위협을 사전에 식별하여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및 ISO/IEC 29103(개인정보 보호 기술 및 절차)**과 연계하여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5의 개념, 주요 평가 모델,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5란?ISO/IEC 29105는 조직의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개인정보 보호법(GDPR, CCP..

Topic 2025.03.18

ISO/IEC 29104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평가 및 감사를 위한 지침)

개요ISO/IEC 29104는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의 평가 및 감사를 수행하기 위한 국제 표준 지침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 조치를 효과적으로 검토하고, 법적 규정을 준수하며, 지속적인 보안 개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SO/IEC 29104는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및 ISO/IEC 29103(개인정보 보호 기술 및 절차)**와 연계하여 개인정보 보호 프레임워크의 실효성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4의 개념, 주요 평가 및 감사 요소,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4란?ISO/IEC 29104는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법적 규제 및 보안 정책 준수를 보장하..

Topic 2025.03.18

ISO/IEC 29103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및 절차 가이드)

개요ISO/IEC 29103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 조치 및 절차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법(GDPR, CCPA 등)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ISO/IEC 29101(프라이버시 아키텍처) 및 ISO/IEC 29102(보안 기법)과 연계하여 개인정보 보호 프레임워크를 구성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3의 개념, 주요 기술 및 절차,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3이란?ISO/IEC 29103은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구현해야 하는 기술적·관리적 절차를 정의하는 표준으로, 개인정보 수집, 처리, 저장 및 전송 과정에서 보호 조치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기업 및 기관이 데이터 보호 전략을 ..

Topic 2025.03.18

ISO/IEC 29102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 내 인증 및 보안 기법)

개요ISO/IEC 29102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인증(Authentication) 및 보안(Security) 기법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는 ISO/IEC 29101의 프라이버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인증 기술과 보안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2의 개념, 주요 인증 및 보안 기법,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2란?ISO/IEC 29102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인증 및 보안 기술을 설계하고 운영하기 위한 표준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 및 기관이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Topic 2025.03.18

ISO/IEC 29101 (프라이버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요ISO/IEC 29101은 개인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를 위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 원칙, 기술적 요소를 정의하여 조직이 개인정보 보호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1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적용 방법 및 준수의 필요성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1이란?ISO/IEC 29101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표준으로, 개인정보 보호 원칙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관리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이는 기업과 기관이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1.1 주요 목적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 개인정보의 무..

Topic 2025.03.18

ISO/IEC 29100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원칙과 개념 정의)

개요ISO/IEC 29100은 개인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를 위한 국제 표준 프레임워크로, 조직이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프라이버시 원칙을 정의하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된 보안 및 규제 준수를 위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9100의 개념, 주요 원칙,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 및 기업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29100이란?ISO/IEC 29100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개인정보 보호 표준으로,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글로벌 기준을 제공합니다.1.1 주요 목적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글로벌..

Topic 2025.03.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