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ETF 10

GENEVE (Generic Network Virtualization Encapsulation)

개요GENEVE(Generic Network Virtualization Encapsulation)는 다양한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VXLAN, NVGRE, STT 등)의 장점을 통합하고,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차세대 네트워크 캡슐화 프로토콜이다. IETF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 간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네트워크 가상화 트래픽을 캡슐화하여 L2 프레임을 L3 네트워크로 전송VXLAN, NVGRE의 통합 진화형목적가상화 환경의 유연성과 상호운용성 확보SDN/NFV 인프라 최적화필요성멀티벤더 환경에서의 호환성과 확장성 확보클라우드 네트워크 표준화2. 특징특징설명비교유연한 옵션 필드가변 길이 메타데이터 지원VXLAN은..

Topic 2025.11.06

IOAM (In-situ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개요IOAM(In-situ OAM)은 네트워크 패킷 내에 운영/관리/유지보수 정보를 삽입하여, 네트워크 장비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성능 측정과 문제 진단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IETF 표준 기술입니다. 패킷이 이동하면서 수집되는 정보는 트래픽 흐름에 대한 심층적 가시성을 제공하며, SDN, 5G,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고성능 인프라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정의네트워크 패킷에 운영 정보를 실시간 삽입하는 OAM 기술IETF RFC 9197 등 기반목적트래픽 경로에서 성능 및 장애 정보 실시간 수집에이전트 불필요한 경량 모니터링적용 분야데이터센터, ISP 백본망, 5G, 클라우드, SDN 등고성능 네트워크 필수 기술2. 특징항목설명비고실시간 수집네..

Topic 2025.10.23

BIER (Bit Indexed Explicit Replication)

개요전통적인 멀티캐스트 라우팅은 PI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이나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와 같은 복잡한 제어 프로토콜과 상태 유지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확장성과 효율성이 요구되면서, 새로운 방식의 멀티캐스트 전달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BIER(Bit Indexed Explicit Replication)**입니다.1. 개념 및 정의BIER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할 때, 각 패킷에 수신자 집합을 비트맵(Bitmask) 형태로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상의 상태 유지 없이 직접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주요 목적은 상태 없는 멀티캐스트 전송과 네트워크 단순화입니다.2. 특징 특징 기존..

Topic 2025.09.13

ASPA (AS Provider Authorization)

개요인터넷 라우팅의 핵심 프로토콜인 BGP(Border Gateway Protocol)는 신뢰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어, 라우트 하이재킹(Route Hijacking)이나 잘못된 경로 전파와 같은 보안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RPKI(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다양한 보안 확장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 **ASPA(AS Provider Authorization)**는 BGP 경로 검증을 강화하는 최신 표준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ASPA(AS Provider Authorization)**는 특정 자율 시스템(AS)이 어떤 상위 제공자(Provider) AS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는지 명시적으로 인증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RPK..

Topic 2025.09.13

YANG (Yet Another Next Generation)

개요네트워크 장비와 서비스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YANG(Yet Another Next Generation)**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화한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링 언어로,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Configuration)과 상태(State)를 구조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YANG은 네트워크 장비 및 서비스의 구성 요소, 속성, 동작을 계층적(Tree) 구조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링 언어입니다. NETCONF, RESTCONF 등의 관리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며, 벤더 중립적인 모델을 제공하여 멀티벤더 환경에서도 상호운용성을 보..

Topic 2025.09.12

KEMTLS (Key Encapsulation Mechanism for TLS)

개요인터넷 보안의 핵심 프로토콜인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데이터 암호화와 안전한 통신을 보장합니다. 그러나 양자 컴퓨터의 발전으로 RSA, ECC 기반의 TLS 핸드셰이크는 장기적으로 안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차세대 접근 방식이 바로 **KEMTLS(Key Encapsulation Mechanism for TLS)**입니다. KEMTLS는 양자 내성(Post-Quantum) 암호화 기반으로, 미래 인터넷 환경에서도 안전한 통신을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KEMTLS는 전통적인 키 교환 방식을 대체하여, KEM(Key Encapsulation Mechanism) 기법을 TLS 프로토콜에 적용한 보안 핸드셰이크 방식입니다.목표는 양자..

Topic 2025.09.11

MLS (Messaging Layer Security)

개요메신저, 협업 툴, 화상 회의 플랫폼 등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다자간 메시징 환경에서의 보안은 점점 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단일 세션 암호화 방식은 그룹 통신 환경에서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가 진행 중인 프로토콜이 바로 **MLS(Messaging Layer Security)**입니다.1. 개념 및 정의**Messaging Layer Security(MLS)**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그룹 메시징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엔드투엔드 암호화(E2EE)를 확장하여 다자간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메시지 보호를 지원합니다.목표는 확장성, 강력한 암호화, 실시간 보안을 동..

Topic 2025.09.11

IETF SCITT

개요SCITT(Supply Chain Integrity, Transparency, and Trust)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추진하는 디지털 공급망의 무결성,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아티팩트(artifacts)에 대한 메타데이터, 서명, 증명 등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검증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오픈소스와 상용 소프트웨어 모두에 적용 가능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합니다.본 포스트에서는 SCITT의 개념, 필요성, 구성 요소, 기술 메커니즘, 활용 사례, 도입 시 고려사항을 중심으로 디지털 공급망 보안을 위한 최신 표준의 흐름을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CITT는 다양한 발행자(..

Topic 2025.09.01

RIFT (Routing In Fat-Trees)

개요RIFT(Routing In Fat-Trees)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Fat-Tree 아키텍처에 최적화된 라우팅 프로토콜로, IETF에서 정의된 차세대 분산 라우팅 기술입니다. 데이터센터의 대규모 확장성과 자동화를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경량성, 계층적 정보 전파, 북-남/동-서 트래픽 최적화를 통해 OSPF, BGP 등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정의Fat-Tree 기반의 Clos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라우팅과 최적 경로 학습을 위한 계층형 분산 라우팅 프로토콜주요 구조Leaf-Spine 구조 기반, Northbound/Southbound 방향성 인지표준화 기관IETF - RFC 9135 (2021년 기준)RIFT는 토폴로지 인지 범위를 계층화하여 ..

Topic 2025.06.12

Multipath QUIC (MP-QUIC)

개요Multipath QUIC(MP-QUIC)는 기존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프로토콜을 확장한 형태로, 하나의 연결에서 여러 네트워크 경로(path)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송 계층 기술입니다. MP-QUIC는 모바일 환경, 고속 네트워크, IoT 등에 적합한 고신뢰·고성능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TCP나 단일 경로 QUIC의 한계를 극복합니다. 본 글에서는 MP-QUIC의 개념, 동작 방식, 기술 구조, 장점과 실제 적용 사례를 포함한 통찰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MP-QUIC는 QUIC 프로토콜 위에서 여러 네트워크 경로(예: Wi-Fi + LTE)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IETF 표준화 확장 프로토콜입니..

Topic 2025.05.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