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ubernetes 63

Bottlerocket OS

개요Bottlerocket OS는 Amazon Web Services(AWS)가 개발한 오픈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컨테이너 기반 워크로드 실행을 위해 설계된 경량 불변 운영체제이다. 기존 범용 리눅스 시스템보다 보안성, 일관성, 자동화를 강화하여 Kubernetes 및 ECS 환경에서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컨테이너 전용 불변(Immutable) 리눅스 OS일반 리눅스와 달리 패키지 설치 불가목적보안 강화 및 운영 자동화컨테이너 환경에 최적화필요성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에서의 일관성 확보DevOps 및 CI/CD 환경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불변 구조OS를 읽기 전용으로 유지수동 설정 불필요컨테이너 중심Kubernetes, ECS 최적화범용 OS보다 효율적..

Topic 2025.11.08

Talos Linux

개요Talos Linux는 Kubernetes를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중심 운영체제(OS)이다. 전통적인 Linux 배포판과 달리 Shell, SSH, 패키지 매니저가 제거된 완전 불변(Immutable) 구조를 가지며, 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을 자동화하고 표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ubernetes 전용 불변 인프라 운영체제일반 Linux(예: Ubuntu, CentOS) 대비 클라우드 네이티브 특화목적보안 강화 및 운영 자동화수동 관리 최소화필요성클라우드 인프라의 일관성과 재현성 확보DevOps 및 GitOps 환경 필수 요소2. 특징특징설명비교불변(Immutable) 구조OS 파일 시스템 수정 불가설정 변경 ..

Topic 2025.11.07

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 (IRSA)

개요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IRSA)는 클라우드 환경, 특히 Kubernetes(EKS)에서 Pod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IAM 역할을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인증 방식이다. 이는 서비스 계정(Service Account)에 IAM 역할(Role)을 직접 매핑하여 장기 키를 제거하고, 보안성을 강화한 인증 체계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ubernetes 서비스 계정과 IAM 역할을 연동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 제어기존 Access Key 기반 인증 대체목적자격 증명(Key) 노출 없는 안전한 인증보안성 및 운영 효율성 강화필요성컨테이너 및 마이크로서비스 확산에 따른 보안 관리 자동화DevOps 환경 필수 구성2. 특징특징설명비교키리스(Key..

Topic 2025.11.03

Dapr(Distributed Application Runtime)

개요Dapr(Distributed Application Runtime)은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필요한 공통 기능(서비스 간 호출, 상태 저장, 이벤트 처리, 인증, 비밀 관리 등)을 추상화하여 제공하는 오픈소스 런타임입니다. 개발자는 플랫폼과 언어에 상관없이 마이크로서비스를 쉽고 일관되게 개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운영 효율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정의분산 시스템의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추상화된 런타임CNCF Incubating 프로젝트핵심 목적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인프라 복잡도 제거Polyglot 개발 환경 지원배포 대상컨테이너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서버리스 등쿠버네티스 또는 로컬 모드2. 특징항목설명비고API 기반 접근HTT..

Topic 2025.10.25

Istio Ambient Mesh

개요Istio Ambient Mesh는 기존 Istio의 사이드카 기반 아키텍처를 탈피한 새로운 경량 서비스 메시 모드입니다. 사이드카 프록시 없이 데이터 평면 기능을 수행하며, 성능과 확장성, 운영 복잡성을 크게 개선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관찰 가능성, 정책 제어 등의 핵심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훨씬 가볍고 유연한 아키텍처로 재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정의사이드카 없이 동작하는 Istio의 새로운 데이터 플레인 아키텍처2022년 Istio 발표목표성능 최적화, 배포 단순화, 리소스 절감서비스 메시 도입 장벽 완화적용 대상클라우드 네이티브 마이크로서비스 환경Kubernetes 기반2. 특징항목설명비고사이드카 제거기존 Envoy 사이드카 대신 L4/L7 기능을 분리하여..

Topic 2025.10.24

TensorFlow Serving

개요TensorFlow Serving은 머신러닝 모델을 프로덕션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서빙 시스템입니다. TensorFlow 모델뿐 아니라 다양한 ML 프레임워크의 모델을 지원하며, 실시간 추론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머신러닝 모델 서빙을 위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구글 개발목적학습된 모델을 프로덕션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제공실시간 추론 지원필요성모델 학습과 배포 간 격차 해소MLOps 필수 구성요소ML 모델 운영을 위한 핵심 인프라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다중 모델 관리여러 버전의 모델을 동시에 로드 및 서빙롤백·버전 관리 용이고성능 추론gRPC/REST API 기반 실시간 추론 제공배치 추론 대비 저지연확장..

Topic 2025.10.19

Canary Deployment

개요Canary Deployment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전체 사용자에게 배포하기 전에 일부 사용자 그룹에게만 배포하여 안정성과 품질을 검증하는 소프트웨어 배포 전략입니다. 서비스 장애 위험을 최소화하고, 실제 환경에서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안전하게 점진적 배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신규 버전을 일부 트래픽에만 배포해 검증 후 점차 확대하는 방식CI/CD 파이프라인과 연계목적서비스 안정성 확보 및 장애 리스크 최소화DevOps·SRE 실무 활용필요성대규모 서비스 환경에서 배포 실패 위험 줄이기무중단 배포 필수실제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점진적 배포신규 버전을 단계적으로 배포Blue-Green 배포와 차별화자동화모..

Topic 2025.10.18

Vitess

개요Vitess는 MySQL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시스템으로, 수평적 확장성과 분산 쿼리 처리를 지원합니다. YouTube에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글로벌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MySQL을 수평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시스템CNCF Incubating Project목적대규모 데이터와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글로벌 서비스 환경 최적화필요성단일 MySQL 인스턴스의 확장 한계 극복대규모 분산 환경 지원글로벌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DB 솔루션입니다.2. 특징특징설명..

Topic 2025.10.17

YugabyteDB

개요YugabyteDB는 PostgreSQL 호환성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되어 높은 확장성, 탄력성, 글로벌 분산 운영을 지원합니다. 전통적인 RDBMS의 SQL 기능과 NoSQL의 확장성을 결합하여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PostgreSQL 호환 오픈소스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Apache 2.0 라이선스목적고가용성과 글로벌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DB 제공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필요성기존 RDBMS의 확장성 한계 극복 및 글로벌 데이터 일관성 확보PostgreSQL과 API 호환SQL 기능과 글로벌 분산 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PostgreS..

Topic 2025.10.16

CockroachDB

개요CockroachDB는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분산형 SQL 데이터베이스로, 구글 스패너(Google Spanner)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되었습니다. 고가용성, 수평 확장성, 강력한 일관성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차세대 데이터베이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오픈소스 기반목적글로벌 서비스 환경에서 무중단·무정지 데이터베이스 제공클라우드 최적화필요성전통적 RDBMS의 한계(확장성, 복원력) 극복PostgreSQL 호환성 지원글로벌 분산 환경에 적합한 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수평 확장성노드를 추가하여 성능과 용량 확장전통적 RDBMS는 수직 확장 중심강력한 ..

Topic 2025.10.16

Argo Events

개요Argo Events는 Kubernetes 네이티브 이벤트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이벤트 소스를 감지하고 지정된 워크플로우나 작업을 트리거한다. Argo Workflows, Argo CD와 통합되어 GitOps 및 DevOps 환경에서 강력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Argo Events는 이벤트 소스(Event Source), 센서(Senso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활용하여 Kubernetes 환경에서 이벤트 주도형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CNCF Incubating 프로젝트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에서 핵심 이벤트 처리 역할을 수행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이벤트 중심다양한 이벤트 소스 지원G..

Topic 2025.10.12

FluxCD

개요FluxCD는 Kubernetes 환경에서 GitOps 방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자동으로 배포 및 동기화하는 오픈소스 도구이다. Git 저장소를 단일 진실 원천(Single Source of Truth)으로 삼아,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된 동기화를 보장한다.1. 개념 및 정의FluxCD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하는 GitOps 도구로, Kubernetes 클러스터가 Git에 정의된 상태와 항상 일치하도록 유지한다. 이를 통해 수동 배포 과정을 제거하고, 일관성과 재현성을 확보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GitOpsGit을 단일 진실 원천으로 사용선언적 배포자동화변경사항 자동 동기화Pull 기반 모델보안성최소 권한 접근 제어Sec..

Topic 2025.10.11

Earthly

개요Earthly는 컨테이너 기반의 빌드 자동화 도구로, 일관성, 재현성, 확장성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Docker 및 Kubernetes 생태계와 밀접하게 통합되며, CI/CD 파이프라인에서 동일한 빌드 환경을 보장하여 '개발 환경에서는 잘 되지만 운영에서는 안 된다'라는 문제를 해결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Earthly는 컨테이너 기반의 선언적 빌드 자동화 도구입니다.목적어디서나 동일한 빌드 환경 제공 및 반복 가능한 빌드 보장필요성빌드 환경 차이로 발생하는 오류 및 CI/CD 파편화 문제 해결모던 빌드 시스템을 위한 단일 통합형 플랫폼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 대상컨테이너 기반 빌드Docker 이미지로 일관성 유지Makefile: 호스트 환경 의존적반복 가능 빌드모든 환경에서..

Topic 2025.10.02

Skaffold

개요Skaffold는 Google이 개발한 오픈소스 도구로,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빌드,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로컬 개발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 간의 일관성을 제공하여 DevOps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크게 단순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kaffold는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 개발과 배포 자동화를 지원하는 CLI 도구입니다.목적코드 변경 → 빌드 → 배포까지 자동 파이프라인 제공필요성컨테이너 기반 개발의 반복 작업을 줄이고 생산성 향상쿠버네티스 네이티브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툴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 대상반복 워크플로우 자동화코드 변경 시 자동 빌드·배포수동 kubectl 적용 대비 생산성 ..

Topic 2025.10.01

Inspektor Gadget

개요Inspektor Gadget은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를 활용하여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실시간 관찰과 디버깅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Pod, Container, Node 레벨의 동작을 추적하고 성능 병목, 네트워크 문제, 보안 이벤트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개발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유용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찰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Inspektor Gadget은 eBPF를 기반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관찰성을 높이는 도구입니다.목적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동작을 실시간으로 추적 및 디버깅필요성복잡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성능, 보안, 네트워크 문제의 빠른 진단 필요클라우드 네..

Topic 2025.10.01

Capsule

개요Kubernete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표준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지만, 다중 테넌트(tenant) 환경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Capsule입니다. Capsule은 멀티테넌시를 Kubernetes 네이티브 방식으로 구현하여, 클러스터 공유 환경에서도 보안, 자원 격리, 운영 효율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psule은 Kubernetes 상에서 여러 팀(테넌트)이 하나의 클러스터를 공유하면서도, 각자 독립적인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테넌시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클러스터 리소스 최적화, 운영 단순화, 보안 격리입니다.2. 특징 특징 기본 Kubernetes Capsule 멀티테넌시제한적 ..

Topic 2025.09.14

KServe

개요AI/ML 모델을 실제 서비스 환경에 배포하고 운영하는 과정은 단순한 학습(training)보다 더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특히 확장성, 안정성, 보안, 표준화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NCF 산하 Kubeflow 프로젝트의 일부로 개발된 KServe는 Kubernetes 네이티브 방식의 모델 서빙 프레임워크로, AI/ML 모델 운영을 단순화하고 표준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KServe는 Kubernetes 상에서 머신러닝 및 딥러닝 모델을 효율적으로 배포, 확장,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서빙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프레임워크(TensorFlow, PyTorch, XGBoost 등)에서 학습된 모델을 손쉽게 서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주요 목적은 확장 가능한 모델 서빙과 운..

Topic 2025.09.14

Kueue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AI/ML, HPC(고성능 컴퓨팅), 데이터 분석 등 배치 워크로드(batch workload) 실행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Kubernetes 스케줄러는 배치 처리에 특화되지 않아, 대규모 리소스 관리와 공정성(Fairness) 보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NCF 산하에서 개발된 프로젝트가 바로 Kueue입니다.1. 개념 및 정의Kueue는 Kubernetes 환경에서 배치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고 큐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리소스 활용 최적화, 공정한 배치 실행, 클라우드 네이티브 워크로드 자동화입니다.2. 특징 특징 기존 Kubernetes 스케줄러 Kueue 배치 처리제한적대규모..

Topic 2025.09.13

Tekton Chains

개요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점점 정교해짐에 따라, 빌드·배포 과정의 투명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산하 Tekton 프로젝트의 서브 컴포넌트가 바로 Tekton Chains입니다. Tekton Chains는 빌드 아티팩트와 공급망 이벤트에 대한 서명(Signing), 추적(Tracing), 검증(Verific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Tekton Chains는 CI/CD 파이프라인에서 생성되는 결과물(이미지, 바이너리, 메타데이터 등)에 대해 자동 서명과 감사 로그를 생성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소..

Topic 2025.09.11

OCM (Open Cluster Management)

개요OCM(Open Cluster Management)은 Kubernetes 기반 멀티 클러스터 환경에서 클러스터 등록, 정책 배포, 라이프사이클 관리, 보안 컴플라이언스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관리 플랫폼입니다. Red Hat이 주도하고 CNCF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대규모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통합 멀티 클러스터 관리 체계를 제공합니다.본 포스트에서는 OCM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아키텍처, 주요 기능, 활용 사례 등을 중심으로 클러스터 운영의 복잡성을 해소하는 전략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OCM은 Kubernetes 기반 멀티 클러스터 환경에서 중앙 집중형 클러스터 운영, 정책 배포, 자원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오..

Topic 2025.09.04

Knative

개요Knative는 Kubernetes 위에서 서버리스(serverless) 워크로드를 손쉽게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컨테이너 배포 자동화, 확장성, 사용량 기반 요금 절감 등을 가능하게 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효율성과 민첩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Google과 CNCF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Knative는 Kubernetes의 복잡한 설정을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Knative는 Kubernetes 위에서 서버리스 기능(자동 스케일링, 이벤트 기반 실행 등)을 구현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목적DevOps 없이도 코드 배포와 실행이 가능하게 하..

Topic 2025.09.03

KEDA (Kubernetes Event-Driven Autoscaling)

개요KEDA(Kubernetes Event-Driven Autoscaling)는 이벤트 기반의 워크로드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쿠버네티스(K8s) 확장 프레임워크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이벤트(예: 메시지 큐, DB,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스케일 아웃/인되도록 지원합니다.기존의 CPU/메모리 기반 HPA(Horizontal Pod Autoscaler)의 한계를 보완하고, 비동기 이벤트 처리 중심의 현대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최적화된 동적 확장 모델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KEDA는 이벤트 기반으로 Kubernetes 워크로드의 확장을 제어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CPU 외 이벤트 지표를 기준으로 유연하고 민첩한 확장성 확보필요성실시간 메시지 ..

Topic 2025.09.03

Environments-as-Code

개요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와 함께 인프라 환경은 더욱 복잡하고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Environments-as-Code(EaC)'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는 인프라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전체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는 접근 방식으로, DevOps, GitOps, Platform Engineering 등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nvironments-as-Code의 정의, 구성요소, 기술 스택, 도입 효과 및 고려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Environments-as-Code(EaC)는 개발, 테스트,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환경을 코드화하여, 일관된 방식으로 자동 생성, 구성, 관리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Topic 2025.08.21

u-Container Runtime Interface (u-CRI)

개요u-Container Runtime Interface(u-CRI)는 마이크로 VM, 서버리스, 엣지 컴퓨팅 등 경량화된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초소형 런타임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는 기존의 Kubernetes Container Runtime Interface(CRI)를 확장 또는 대체하여, 리소스 제약 환경에서도 보안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u-CRI의 정의, 구성 방식, 기술적 차별성, 도입 사례 등을 자세히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초경량 환경에 최적화된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MicroK8s, K3s 등과 연계됨목적리소스 절약과 빠른 컨테이너 부팅 제공엣지 및 서버리스 플랫폼용필요성기존 CRI-O, con..

Topic 2025.08.17

SpinKube (SKB)

개요SpinKube(SKB)는 Fermyon의 WebAssembly 기반 서버리스 런타임인 Spin을 쿠버네티스 환경에 통합하기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WebAssembly의 경량성, 보안성, 속도와 쿠버네티스의 확장성, 자동화 기능을 결합해 개발자 중심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를 가능케 합니다. SpinKube는 WASM+Kubernetes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pinKube는 Spin으로 빌드된 WebAssembly 워크로드를 Kubernetes에서 네이티브하게 실행하고 관리하기 위한 확장 아키텍처입니다.목적: WebAssembly 기반 서버리스 워크로드의 쿠버네티스 통합 및 확장필요성: 컨테이너보다 더 빠르고 가벼운 WASM의 배포 ..

Topic 2025.08.14

OpenFeature Flagd (Flagd)

개요OpenFeature Flagd(Flagd)는 CNCF(OpenFeature) 생태계의 핵심 구성 요소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피처 플래그(Feature Flag)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량화된 플래그 관리 데몬입니다. 클라이언트 SDK와 분리된 방식으로 플래그 처리를 수행하며, GitOps, CI/CD, A/B 테스트, Canary 배포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에 적합한 구성 모델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Flagd는 OpenFeature의 공식 플래그 런타임으로서, 피처 플래그 데이터를 외부에서 관리하고 다양한 클라이언트가 이를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조회/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경량 데몬입니다.목적: 피처 플래그의 표준화 및 분산 처리 구조 제공필요성:..

Topic 2025.08.14

Cilium Flow Metrics (CFM)

개요Cilium Flow Metrics(CFM)는 Cilium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흐름 기반 메트릭 수집 기능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시각화하는 데 사용된다. eBPF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보안 정책 적용 상태, 서비스 메쉬 수준의 흐름 추적 등 다양한 정보를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Cilium Flow Metrics는 네트워크 패킷의 흐름을 기반으로 Cilium이 수집하는 메트릭 지표목적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 통신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보안·성능 이슈를 조기에 탐지필요성기존 L3/L4 기반 모니터링의 한계를 극복하고, L7까지의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함2. 특징특징설명차별점..

Topic 2025.07.17

Helmfile (HF)

개요Helmfile은 Helm 기반의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선언적 구성 도구이다. 여러 개의 Helm 차트를 버전별로 정의하고, 환경별 배포 설정을 템플릿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복잡한 클러스터 배포 환경을 코드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elmfile은 Helm 차트를 YAML 파일로 정의하여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CLI 도구목적복잡한 다중 차트 배포 환경을 코드로 관리하여, 일관성과 재현성을 확보필요성수동 배포, 스크립트 기반 배포의 비효율성과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GitOps 방식으로 배포 관리 가능하게 함2. 특징특징설명비교선언적 구성YAML 기반으로 배포 구성을 ..

Topic 2025.07.17

GitOps Reconciliation Loop

개요GitOps는 Git을 단일 신뢰 소스로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의 배포와 운영을 자동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접근법의 핵심은 Reconciliation Loop(동기화 루프)로, 시스템이 선언된(desired) 상태와 실제 상태를 비교하고 일치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합니다. 본 글에서는 GitOps의 핵심 메커니즘인 Reconciliation Loop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Reconciliation Loop는 Git에 선언된 상태(desired state)와 클러스터의 실제 상태(actual state)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불일치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조정(reconcile)하는 반복 과정입니다.이 루프는 GitOps 툴(예: Argo CD, Flux 등)..

Topic 2025.07.15

Kraken

개요디지털 서비스의 고도화와 함께 사용자는 수만에서 수백만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은 트래픽 급증, 대규모 동시성, 고부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분산 성능 테스트입니다. Kraken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확장형 분산 부하 테스트 플랫폼으로, Netflix가 처음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하였으며, 이후 커뮤니티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Kraken은 컨테이너 기반의 실행 아키텍처와 강력한 분산 제어 기능으로 현실적이고 재현 가능한 성능 검증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Kraken은 사용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수천~수만 개의 가상 유저(Virtual User)를 분산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산 로드 ..

Topic 2025.07.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