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PA 12

Policy Super-Linter (PSL)

개요Policy Super-Linter(PSL)는 코드, 구성 파일, 인프라 정의 등 다양한 기술 자산에서 정책 위반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고, 조직의 규정 준수를 사전에 보장하기 위한 통합 린트 도구입니다. 이는 DevSecOps와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핵심 구성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코드 품질뿐만 아니라 보안, 거버넌스, 운영 정책까지 포괄하는 멀티레이어 검증 체계를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PSL의 개념, 아키텍처, 기능, 기술 요소 및 실전 활용 사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다양한 파일 및 코드에서 조직의 정책 준수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통합 린터GitHub Super-Linter와는 목적 상이목적DevOps 파이프라인 내 정책 준수 자동화사전 위반 탐..

Topic 2025.08.17

Error-Budget Policy-as-Code (EBPaC)

개요Error-Budget Policy-as-Code(EBPaC)는 서비스 신뢰성 확보를 위한 오류 예산(Error Budget)을 기반으로 정책을 코드화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서비스 배포 및 운영을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의 핵심 원칙을 DevOps 파이프라인에 통합하여, 안정성과 속도 간 균형을 정량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오류 예산(Error Budget)을 기준으로 서비스 정책을 코드로 구현하여 자동화하는 접근 방식GitOps, Policy-as-Code와 통합 가능목적SLO 위반 방지를 위한 정책 실행 자동화안정성과 배포 속도 간 균형 유지필요성SRE 기반 조직에서 수동적 운영 ..

Topic 2025.07.27

Data Mesh Gateway (DMG)

개요Data Mesh Gateway(DMG)는 데이터 메시(Data Mesh) 아키텍처 내에서 각 도메인별 데이터 제품에 대한 접근 제어, 정책 적용, 요청 라우팅을 중앙이 아닌 분산형 구조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허브입니다. 중앙 집중형 데이터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메인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통합된 거버넌스와 보안 통제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MG는 데이터 메시의 핵심 원칙인 도메인 주도 설계와 데이터 제품화(Data-as-a-Product)를 기반으로, 사용자/서비스의 데이터 접근 요청을 해당 도메인의 데이터 제품으로 안전하고 유연하게 연결해주는 API 기반 데이터 게이트웨이입니다.이는 전통적인 API Gateway 또는 Data API ..

Topic 2025.07.25

GitGuard Policy-as-Code (GG-PaC)

개요GitGuard Policy-as-Code(GG-PaC)는 보안 및 거버넌스 정책을 코드로 정의하고, 이를 Git 저장소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관리·검증·배포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기존의 수동적 정책 운영에서 벗어나, GitOps 철학을 적용한 보안 정책의 선언적 정의와 버전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DevSecOp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1. 개념 및 정의GitGuard Policy-as-Code는 보안 정책을 YAML, JSON, Rego 등 코드 형식으로 정의하고, Git 저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변경 이력 관리, 자동화된 검증, 정책 승인 및 배포를 구현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은 보안 정책을 코드와 동일한 수준에서 관리하고, CI/CD 파이프라인과 통합하여 ‘보안..

Topic 2025.07.24

Policy-as-Test (PaT)

개요Policy-as-Test(PaT)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DevSecOps 문화에서 부상하고 있는 새로운 정책 검증 패러다임입니다. 전통적인 접근 방식이 정책을 수동 검토하거나 운영 단계에서 위반 여부를 탐지하는 데 집중했다면, PaT는 정책을 코드 기반 테스트로 전환하여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정책 준수 여부를 자동 검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보안, 거버넌스, 컴플라이언스를 개발 프로세스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Policy-as-Test(PaT)란 정책(Policy)을 테스트(Test)처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검증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정책을 별도로 수립하고, 보안 또는 감사 단계에서 이를 수동으로 검토했지만, PaT는 테스트..

Topic 2025.07.21

Open Policy Agent (OPA)

개요클라우드 인프라가 복잡해지고, 보안 및 규정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책(Policy)의 중앙 관리와 일관된 적용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Open Policy Agent (OPA)**는 다양한 시스템에 정책을 선언적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정책 엔진입니다. 본 글에서는 OPA의 개념, 작동 방식, 기술 스택, 활용 사례를 포괄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Open Policy Agent(OPA)는 JSON 기반 입력을 받아 Rego라는 DSL(Domain Specific Language)로 작성된 정책을 평가하여, 승인 여부를 반환하는 정책 결정 엔진입니다.이는 Kubernetes, API Gateway, CI/CD 파이프라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된 정책..

Topic 2025.07.16

Gatekeeper

개요Gatekeeper는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자원 생성 및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정책 강제(Policy Enforcement)를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러로, Open Policy Agent(OPA)의 정책 판단 엔진을 Kubernetes Admission Controller에 통합한 확장 도구입니다. 클러스터 보안, 규정 준수, 구조화된 배포 표준화를 위해 DevSecOps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Gatekeeper는 OPA와 Rego 언어로 작성된 정책을 기반으로 Kubernetes 리소스 생성·수정 요청을 필터링하거나 거부하는 ValidatingAdmissionWebhook 기반 컨트롤러입니다.주요 목적클러스터 내 일관된 정책 적용 및 강제화구성 오류 및 보안 위..

Topic 2025.06.28

Open Policy Agent (OPA)

개요Open Policy Agent(OPA)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제어, 인프라 정책, API 보안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정책 엔진입니다.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정책 실행을 중앙화하지 않고 로컬화함으로써 성능, 확장성,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방식으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공식 프로젝트로 채택되어 다양한 생태계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A는 Rego라는 선언형 정책 언어를 기반으로 정책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경량 엔진으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Kubernetes, Envoy, Terraform 등)에 손쉽게 통합되어 일관된 정책 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주요 목적접근 제어..

Topic 2025.06.28

GRC-as-Code

개요GRC-as-Code는 Governance(거버넌스), Risk(위험관리), Compliance(규제 준수)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DevSecOp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맞는 정책 일관성과 자동화된 통제를 실현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는 전통적인 수작업 기반 GRC 관리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극복하며, 실시간 리스크 대응과 감사 대비를 가능하게 만든다.1. 개념 및 정의GRC-as-Code는 정책, 위험 규칙, 통제 기준을 코드로 정의하고 소스 코드처럼 버전 관리하며, 자동화 도구와 연계해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통제 체계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거버넌스 규칙은 선언적으로 정의되며, 실시간 감시 및 리포팅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다.2. 특징 항목 GRC..

Topic 2025.06.22

Compliance-as-Code

개요Compliance-as-Code는 보안 및 규제 준수 요구사항을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여, 시스템 운영 중에도 지속적으로 정책 위반을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식이다. DevSecOps의 필수 구성 요소로, 인프라/애플리케이션/운영 단계 전반에 걸쳐 규정 준수 상태를 코드 기반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Compliance-as-Code는 보안, 프라이버시, 산업 표준(예: ISO 27001, GDPR, PCI-DSS 등)의 규제 요건을 코드로 선언하고 이를 CI/CD 및 운영 환경에 통합함으로써, 자동화된 규정 준수 점검 및 시정 조치를 가능케 한다. 사람이 수동으로 규정 체크를 하던 전통 방식에서 벗어나, 코드 기반의 선언적 규칙 및 정책으..

Topic 2025.06.22

Micro-Frontdoor Security

개요Micro-Frontdoor Security는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각 엔드포인트 앞에 위치한 경량 보안 계층으로, 전통적인 API Gateway보다 유연하고 분산된 방식의 보안 처리를 지향합니다. 이는 서비스 단위의 세밀한 보안 통제와 함께 전체 시스템의 확장성과 탄력성을 유지하는 현대적 보안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각 마이크로서비스 앞단에 위치한 경량화된 보안 프록시 계층중앙 집중형이 아닌 분산형 구조역할인증, 권한 부여, 요청 검증, 속도 제한 등 처리API Gateway와 상호 보완적 관계도입 배경분산 시스템 확산에 따른 보안 유연성 및 마이크로단위 보안 요구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 강화'Zero Trust Architecture' 구현..

Topic 2025.06.07

Policy-as-Code (PaC)

개요Policy-as-Code(PaC)는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에 적용되는 보안, 권한, 거버넌스 정책을 선언적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평가 및 적용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는 수동 검토나 문서 기반 정책을 대체하며, CI/CD 파이프라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클라우드 인프라 등에서 지속적 정책 준수와 감사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Open Policy Agent(OPA), Rego, HashiCorp Sentinel, Kyverno, AWS SCP 등이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olicy-as-Code는 정책을 사람이 아닌 시스템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머신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정의하며, 다음 특징을 가집니다:정책은 코드와 함께 저장소에 버전 관리 가능자동화..

Topic 2025.05.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