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QA 13

Locust

개요Locust는 웹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오픈소스 부하 테스트(load testing) 도구다. 파이썬(Python)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어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며, 대규모 동시 사용자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Locust는 가상의 사용자를 생성해 시스템에 요청을 보내고, 그 성능을 측정하는 부하 테스트 도구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Python 코드로 작성되며, 실제 사용자 행동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코드 기반Python으로 시나리오 작성개발 친화적분산 테스트수천~수만 동시 사용자 시뮬레이션확장성 뛰어남실시간 UI테스트 결과 대시보드 제공웹 기반Locust는 직관성과 확장성을 모두 갖춘 부하..

Topic 2025.10.13

Gherkin

개요Gherkin은 BDD(Behavior-Driven Development) 방식에서 요구사항을 시나리오로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메인 특화 언어(DSL)다. 사람이 읽기 쉬운 자연어 형식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어, 개발자·QA·비즈니스 담당자가 공통 언어로 협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1. 개념 및 정의Gherkin은 테스트 케이스를 "Given-When-Then" 구조로 표현하는 언어다. 소프트웨어 기능 요구사항을 문서와 실행 가능한 테스트 코드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명세와 검증 간 간극을 줄여준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자연어 기반영어 등 다국어 지원이해관계자 협업 강화실행 가능Cucumber 등 BDD 툴과 연동자동화 테스트구조적Given-When-Then 문법시나리오 일..

Topic 2025.10.13

Cucumber

개요Cucumber는 BDD(Behavior-Driven Development)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테스트 자동화 도구로, 개발자, QA, 비즈니스 담당자가 협업하여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을 검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연어에 가까운 Gherkin 문법을 활용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Cucumber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언어(Gherkin)를 통해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코드와 연결하여 자동화된 테스트를 실행하는 도구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기능 요구사항이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Gherkin 문법Given-When-Then 구조요구사항 가독성 강화협업 중심비즈니스·QA·개발..

Topic 2025.10.13

Cypress

개요Cypress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엔드투엔드(E2E) 테스트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자동화 프레임워크로, 빠른 실행 속도와 직관적인 API를 제공한다. 개발자 경험(Developer Experience, DX)에 최적화되어 있어 QA와 개발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현대적인 테스트 도구로 각광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Cypress는 브라우저 환경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기반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실제 브라우저에서 시뮬레이션해 검증한다. Selenium과 달리 네이티브 이벤트 루프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더 정확하고 빠른 테스트 결과를 제공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빠른 속도브라우저 내부에서 직접 실행실시간 테스트개발 친화성직관적 API와 실시간 리로드DX 최적화통합 기능E2E,..

Topic 2025.10.13

Schemathesis

개요Schemathesis는 OpenAPI 및 GraphQL 스펙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테스트 생성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 API 명세서를 활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다양한 예외 상황과 엣지 케이스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품질 높은 API 개발과 운영에 기여합니다.이 글에서는 Schemathesis의 개념, 특징, 구성 요소, 기술 요소, 장점, 활용 사례까지 깊이 있게 살펴보며, API 테스트 자동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와 QA 담당자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Schemathesis는 OpenAPI/Swagger/GraphQL 기반 API를 테스트하기 위한 자동화 도구입니다.목적수동 테스트 없이 API 명세로부터 동적으로 테스..

Topic 2025.08.31

Property-Based Testing (PBT)

개요Property-Based Testing(PBT)은 예상 입력값이 아닌 *입력의 속성(Property)*을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 생성하여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이 방식은 예외 케이스 탐지에 강하며, 복잡한 로직이나 연산의 경계 조건을 철저하게 검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특히 함수형 프로그래밍 환경과 자동화 테스트 프레임워크에서 유용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입력값의 다양한 속성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프트웨어의 올바름을 검증하는 기법예제 기반 테스트와 대조됨목적사전에 정의된 속성에 따라 가능한 모든 입력 공간을 탐색하여 오류 발견테스트 커버리지 향상필요성수동 테스트나 특정 값 기반 테스트의 한계 극복경계값, 예..

Topic 2025.07.27

Testcontainers

개요소프트웨어 품질 확보를 위한 자동화 테스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인프라를 재현하기 위한 도구로 Testcontainers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Docker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통합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며, 데이터베이스, 메시징 시스템, 브라우저 등 다양한 의존 시스템을 테스트 실행 시점에 자동으로 생성하고 제거합니다.1. 개념 및 정의Testcontainers는 테스트 중 필요한 외부 의존성을 Docker 컨테이너로 동적으로 실행하여, 테스트 자동화를 보다 신뢰성 있게 만드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목적: 실제 실행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손쉽게 구성방식: 테스트 코드 내에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테스트 종료 후 제거주요 언어 지원: Java, Kotl..

Topic 2025.06.18

Test Pyramid 모델

개요Test Pyramid 모델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안된 계층적 테스트 전략입니다. 자동화 테스트를 세 가지 수준(단위 테스트, 서비스 테스트, UI 테스트)으로 나누어 각 계층의 목적과 비중을 명확히 함으로써 테스트 품질을 최적화합니다. 이 모델은 테스트 비용을 절감하고 피드백 사이클을 단축하는 데 효과적이며, Agile 및 DevOps 환경에서 특히 널리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Test Pyramid는 테스트를 단위(Unit), 서비스(Service), UI 레벨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절한 비율과 목적을 설정하는 테스트 아키텍처 모델입니다.목적테스트 자동화를 계층화하여 높은 신뢰성과 빠른 피드백을 동시에 달성합니다.필요성UI 테스트에 집중될 경우..

Topic 2025.06.04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개요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추고 있음을 제3자가 공식적으로 검증하고 보증하는 제도이다. 기능적 정확성뿐 아니라 안정성, 보안성, 사용성, 유지보수성 등 다양한 품질 요소를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품질 인증은 고객 신뢰 확보, 시장 진입 장벽 해소, 프로젝트 리스크 최소화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개념 및 정의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은 국제 또는 국가 기준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영, 관리 프로세스와 산출물의 품질 수준을 검증받는 제도이다.목적: 품질 신뢰성 확보 및 소프트웨어 제품 경쟁력 제고기준: ISO/IEC 25010, ISO 9001, SPICE(ISO/IEC 15504), GS 인증 등유형: 제품 인증, 프로세스 인증, 프로젝트 단..

Topic 2025.04.21

신뢰성 성장 모델(Reliability Growth Model)

개요신뢰성 성장 모델은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디버깅 과정에서 시스템의 신뢰성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수학적으로 예측하고 분석하는 모델입니다. 주로 결함 발견과 수정 이력을 기반으로 신뢰성 곡선을 도출하며, 품질보증(QA), 시스템 검증, 위험 관리 분야에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신뢰성 성장 모델(Reliability Growth Model)은 테스트 또는 운용 중 발견되는 결함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결함률이 시간에 따라 감소함을 모델링하는 방법입니다. 소프트웨어의 실패 발생 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결함 발생 추세를 예측하고, 최적의 출시 시점 및 추가 테스트 필요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2. 주요 특징 구분 설명 활용 사례 통계 기반 모델오류 발..

Topic 2025.04.10

ISTQB의 소프트웨어 테스트 7가지 원리

개요ISTQB(International Software Testing Qualifications Board)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소프트웨어 테스팅 자격 및 지침을 제공하는 기관이며, 이들이 제시하는 ‘테스트의 7가지 원리(7 Testing Principles)’는 모든 테스터와 품질 보증 담당자가 실무에서 테스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핵심 기준이 됩니다. 본 글에서는 ISTQB가 정의한 7가지 테스트 원리를 이해하기 쉽고 실무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 정리하고, 각 원리의 중요성과 실제 적용 예시, 주의사항까지 함께 소개합니다.1. 테스트는 결함의 존재를 보여주는 활동이다 (Testing shows presence of defects) 설명 효과 실무 적용 테스트는 결함이 ‘존재함’을..

Topic 2025.04.08

IEEE 29119 (소프트웨어 테스트)

개요IEEE 29119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표준화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품질, 일관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테스트 원칙과 프로세스를 제시하며, 다양한 개발 방법론(워터폴, 애자일, DevOps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EEE 29119의 개념, 구성 요소, 주요 문서,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IEEE 29119란?IEEE 29119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로, 테스트 계획 수립부터 실행, 평가 및 종료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개념 설명 IEEE 29119소프트웨어 테스트의 계획, 설계, 실행 및 보고를 위한 국제 ..

Topic 2025.03.25

화이트박스 테스트 vs 블랙박스 테스트

개요소프트웨어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며, 테스트 방식에 따라 **화이트박스 테스트(White-Box Testing)**와 **블랙박스 테스트(Black-Box Testing)**로 구분된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내부 구조를 검증하는 방식이고, 블랙박스 테스트는 기능적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외부 동작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본 글에서는 두 테스트 기법의 개념, 주요 차이점, 장단점 및 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1. 화이트박스 테스트(White-Box Testing)란?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의 내부 코드, 로직, 흐름을 검증하는 테스트 기법이다. 개발자가 코드 레벨에서 논리적 오류를 찾고, 코드의 실행 흐름을 분석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

Topic 2025.03.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