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pi보안 14

디지털플랫폼 정부 표준 API 가이드

개요디지털플랫폼 정부 표준 API 가이드는 공공기관이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해 서비스 간 데이터·기능을 안전하고 일관성 있게 연계하기 위한 공공 API의 개발·관리·보안 기준을 제공하는 지침서입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며, 공공서비스의 민간 개방, 부처 간 협업, 통합 플랫폼 구현을 위한 표준화된 API 구조와 정책 기반 관리방안을 제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공공 API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서비스를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공개하는 인터페이스RESTful 기반이 원칙목적공공서비스 간 연계성과 민간 개방 활용성 향상디지털플랫폼 정부 서비스 통합 기반적용 대상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플랫폼 구축 사업 등API 중계시스템, G-클라우드 연..

Topic 2025.08.05

API Security Posture Management (APSPM)

개요API Security Posture Management(APSPM)는 조직의 API 환경 전반에 걸쳐 보안 상태(Posture)를 지속적으로 평가, 모니터링, 개선하는 보안 전략 및 기술 체계입니다. 다양한 API(내부, 외부, 서드파티)의 존재, 지속적인 변화, 그리고 위협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단일 시점 점검 중심의 기존 보안 방식은 한계를 드러냅니다. 이에 APSPM은 실시간 탐지, 정책 관리, 위험 평가 및 규정 준수 대응을 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API 기반 디지털 환경의 신뢰성과 보안을 유지합니다.1. 개념 및 정의APSPM은 API의 식별, 보안 상태 측정, 위험 분석, 취약점 탐지, 정책 통제, 규정 준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속적인 보안 운영 모델입니다.Posture라는 ..

Topic 2025.07.25

In-Network AI Pre-Filter

개요In-Network AI Pre-Filter는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경계 외부의 네트워크 계층(엣지, 스위치, 게이트웨이 등)에서 실시간으로 흐르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불필요하거나 위험한 트래픽, 민감 정보를 사전에 필터링하는 AI 기반의 선처리(pre-filtering) 기술입니다. 대규모 LLM 시스템, AI API 게이트웨이, 고속 IoT 환경 등에서 처리 효율성 및 보안성 확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In-Network AI: 네트워크 내에서 ML 모델을 실시간 실행하여 트래픽 흐름을 분석하고 반응하는 기술Pre-Filter: 메인 AI 모델 또는 백엔드 시스템에 도달하기 전 사전 조건 검사를 통해 유효성 판단 및 필터링In-Network AI Pre-Filte..

Topic 2025.07.06

Model Inversion Attack Mitigation (MIA-Guard)

개요Model Inversion Attack Mitigation(MIA-Guard)는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민감한 정보를 역추론하는 공격(MIA: Model Inversion Attack)을 방어하기 위한 기술적 전략입니다. 개인 프라이버시가 핵심 가치로 부상한 시대에, MIA는 AI 윤리와 보안의 핵심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MIA-Guard는 이러한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1. 개념 및 정의MIA는 훈련된 모델의 출력 또는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원본 데이터의 특성을 재구성하는 공격 방식입니다.목적: AI 모델에서 훈련 데이터 유출 방지공격 대상: 의료, 금융, 얼굴 인식 모델 등 민감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기반 이론: 정보 이득 추론, 출력 확률 분석, 멤버십 추론..

Topic 2025.07.04

ASTO (API Security Testing Orchestrator)

개요ASTO(API Security Testing Orchestrator)는 API 보안 취약점 테스트를 자동화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다. 증가하는 API 보안 위협에 대응하여 개발 주기 내내 지속적인 보안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며, DevSecOps 실현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다양한 보안 테스트 툴과 프로세스를 API 중심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자동화하는 플랫폼목적API 기반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 조기 탐지 및 대응 자동화필요성API 사용 확산 → 공격 표면 확대 → 기존 보안 방식의 한계 노출ASTO는 API 보안 테스트의 자동화, 연속성, 통합성을 동시에 달성하여 보안 품질을 극대화한다.2. 특징특징설명기존 방식과의 차이점자동화된 ..

Topic 2025.06.19

Micro-Frontdoor Security

개요Micro-Frontdoor Security는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각 엔드포인트 앞에 위치한 경량 보안 계층으로, 전통적인 API Gateway보다 유연하고 분산된 방식의 보안 처리를 지향합니다. 이는 서비스 단위의 세밀한 보안 통제와 함께 전체 시스템의 확장성과 탄력성을 유지하는 현대적 보안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각 마이크로서비스 앞단에 위치한 경량화된 보안 프록시 계층중앙 집중형이 아닌 분산형 구조역할인증, 권한 부여, 요청 검증, 속도 제한 등 처리API Gateway와 상호 보완적 관계도입 배경분산 시스템 확산에 따른 보안 유연성 및 마이크로단위 보안 요구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 강화'Zero Trust Architecture' 구현..

Topic 2025.06.07

GNAP (Grant Negotiation and Authorization Protocol)

개요GNAP(Grant Negotiation and Authorization Protocol)은 OAuth 2.0의 후속 프로토콜로 제안된 사용자 중심의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레임워크입니다. 권한 부여 주체와 클라이언트 간의 협상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보다 유연하고 분산화된 인증 흐름을 지원하며, 클라이언트 등록, 사용자 상호작용, 다중 장치 인증, 암호 없는 인증 방식 등 현대적 요구를 포괄합니다.1. 개념 및 정의GNAP은 클라이언트가 권한을 요청하는 방식을 보다 세분화하고, 권한 부여 서버와 독립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액세스 권한을 안전하게 위임하는 구조를 제공합니다.기반: OAuth 2.0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 제안중심 개념: 클라이언트-사용자 간 협상 기반 권한 부여대상 환경: 분산 ..

Topic 2025.05.21

OAuth 2.1

개요OAuth 2.1은 기존 OAuth 2.0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 모범 사례를 통합한 최신 인증 표준입니다. 안전하고 일관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위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API 기반 현대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인증 프레임워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Auth 2.1은 사용자 자격 증명을 직접 노출하지 않고,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제한된 접근 권한을 부여받도록 하는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로토콜입니다.기반 프로토콜: OAuth 2.0목적: 안전하고 표준화된 인증 및 권한 위임 절차 제공주요 변경점: 위험한 기능 제거 및 강력한 보안 모범 사례 수용2. 특징 항목 OAuth 2.1 특징 OAuth 2.0과의 차이 보안성PKCE, TLS 등 필수..

Topic 2025.05.21

IAST(Interactive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개요IAST(Interactive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내부 코드 흐름과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는 하이브리드 보안 테스트 방식입니다. 이는 SAST와 DAST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동적 분석 중 코드 수준의 상세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합니다. DevSecOps 환경에서 지속적인 보안 검증을 위한 핵심 기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IAST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코드 실행 흐름과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분석하여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는 기술입니다.목적정확한 취약점 식별과 개발 환경에서의 실시간 피드백 제공필요성SAST와 DAST의 한계를 보완..

Topic 2025.04.29

Confused Deputy 공격

개요Confused Deputy 공격은 합법적이고 신뢰된 프로그램(Deputy)을 이용하여 공격자가 본래 갖지 않은 권한으로 시스템 리소스에 접근하게 만드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소프트웨어가 권한을 구분하지 않고 요청을 처리할 때 발생하며, 잘못된 권한 검증 로직을 악용해 **간접적인 권한 상승(Elevation of Privilege)**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설계 결함 기반 공격입니다.1. 개념 및 정의Confused Deputy는 1988년 Norman Hardy가 소개한 개념으로, “Deputy(대리인)” 역할의 프로그램이 자신의 권한과 요청자의 권한을 구분하지 못하고 행동할 때 발생하는 보안 사고입니다. 이로 인해, 권한이 낮은 주체가 고권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민감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2..

Topic 2025.04.16

WAF(Web Application Firewall)

개요WAF(Web Application Firewall)는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L7)에 특화된 보안 장비로, 웹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예: SQL Injection, XSS 등)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존 방화벽이나 IPS가 네트워크·시스템 계층을 보호하는 반면, WAF는 웹 기반 위협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보호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의 핵심 장치입니다. 본 글에서는 WAF의 개념, 기능, 구성 방식, 주요 탐지 기술, 실무 적용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WAF는 HTTP, HTTPS를 통해 들어오는 웹 요청을 분석하여 악성 요청을 필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용 방화벽입니다. OWASP Top 10과 같은 웹 보안 위협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Topic 2025.04.02

API 위협 관리 (API Threat Management)

개요API 위협 관리는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데이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보안 전략입니다. 현대의 웹/모바일 앱, SaaS,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수백 개의 API가 상호작용하며, 이들 중 단 하나의 취약점이 데이터 유출, 인증 우회, 시스템 조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API 중심 보안 전략과 실시간 위협 인텔리전스 적용이 필수화되고 있습니다.1. API 보안 위협의 개요 위협 유형 설명 인증 우회토큰 탈취, 취약한 인증 로직을 통한 무단 접근권한 상승(BOLA)다른 사용자 ID를 이용해 데이터에 불법 접근 (Broken Object Level Auth..

Topic 2025.03.25

서버리스 보안 (Serverless Security)

개요서버리스(Serverless) 아키텍처는 개발자가 인프라 관리 없이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우드 기반 실행 모델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AWS Lambda, Azure Functions, Google Cloud Functions 등이 있으며, 비용 효율성, 확장성, 민첩성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보안 책임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보안, 이벤트 기반 트리거, 데이터 흐름에 대한 철저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서버리스 보안의 개념, 주요 위협, 방어 기술 및 실무 도입 전략을 정리합니다.1. 서버리스 아키텍처란? 항목 설명 서버리스(Serverless)인프라 프로비저닝 없이 함수(Function) 단위로 실행되는 이벤트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F..

Topic 2025.03.25

OWASP ASVS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

개요OWASP ASVS(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입니다. 보안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테스트 과정에서 보안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OWASP ASVS의 개념, 주요 검증 수준, 요구 사항 및 활용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OWASP ASVS란?OWASP ASVS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검증을 위한 표준으로, 보안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념 설명 OWASP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강화를 위한 비영리 단체ASVS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Standard)애플리케이션 보안 검증 표..

Topic 2025.03.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