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보안 18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개요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 국제공통평가기준)은 정보보안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증을 부여하는 글로벌 보안 표준이다. 이 인증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이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글에서는 CC 인증의 개념, 평가 체계, 등급, 프로세스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CC 인증(Common Criteria Certification)이란?CC 인증은 정보보안 제품이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성을 갖추었음을 검증하는 국제 표준 인증이다. ISO/IEC 15408에 기반하여 설계되었으며, 여러 국가 간 상호 인증이 가능하다.✅ CC 인증을 받은 보안 제품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안성을 보장한다.1.1 CC ..

Topic 2025.03.20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

개요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는 국내 기업과 기관이 검증된 보안 제품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인증 절차보다 간소화된 확인 절차를 통해 보안성이 검증된 제품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글에서는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의 개념, 필요성, 운영 방식, 장점과 한계를 살펴본다.1.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란?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는 국가 및 공공기관이 보안 제품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인증 절차를 간소화한 제도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관련 기관이 운영한다.✅ 기존의 보안 인증 절차보다 빠른 확인 과정을 통해 최신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1.1 정보보호 제품 신속 확인제도의 목적보안 제품의 신속한 도입: 기존 보안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여..

Topic 2025.03.20

IEEE 802.11 (무선 LAN, Wi-Fi)

개요IEEE 802.11은 무선 네트워크(Wi-Fi)를 위한 국제 표준으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 표준은 가정, 기업, 공공장소, IoT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네트워크 성능과 보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본 글에서는 IEEE 802.11 표준의 개념과 특징, 주요 버전, 동작 원리, 보안 프로토콜 및 향후 전망을 살펴봅니다.1. IEEE 802.11이란?IEEE 802.11은 Wi-Fi 기술의 기반이 되는 무선 네트워크 표준으로, 유선 LAN(Ethernet)과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연결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국제 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정의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전송 속도, 보안 및 네..

Topic 2025.03.20

IEEE 802.1X (네트워크 접근 제어)

개요IEEE 802.1X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근 제어(Network Access Control, NAC)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기업 및 조직에서 보안 강화를 위해 사용되며, 특히 네트워크 기반 인증을 통해 무단 접근을 방지합니다. IEEE 802.1X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기반의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보안 및 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EEE 802.1X의 개념, 구성 요소, 동작 원리, 적용 사례 및 보안 이점을 살펴봅니다.1. IEEE 802.1X란?IEEE 802.1X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인증을 수행하여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

Topic 2025.03.20

ISO/IEC 27002 (보안 통제 가이드라인)

개요ISO/IEC 27002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보안 통제 항목과 모범 사례를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ISO/IEC 27001의 보완적 역할을 하며, 조직이 정보보호 리스크를 관리하고, 보안 정책을 수립하며, 효과적인 보호 조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7002의 주요 개념, 보안 통제 항목,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ISO/IEC 27002란?ISO/IEC 27002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정보보호 표준으로, 정보보안의 모범 사례와 통제 방법론을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입니다.ISO/IEC 27001이 인증을 위한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반면, ISO/IEC 27002는..

Topic 2025.03.15

5G/6G 보안

개요5G 및 차세대 6G 네트워크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 초저지연, 대규모 IoT 연결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에 따른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5G/6G 네트워크 보안의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 최신 기술 트렌드를 살펴봅니다.1. 5G/6G 네트워크 보안 개요5G와 6G는 기존 네트워크보다 높은 연결성과 데이터 처리 능력을 제공하지만, 새로운 보안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1.1 5G/6G 네트워크의 특징초고속 데이터 전송: 5G는 최대 10Gbps, 6G는 이보다 100배 빠른 속도를 제공 예정초저지연(ULTRA Low Latency): 5G는 1ms 미만, 6G는 거의 실시간 반응대규모 IoT 연결: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 가능AI 기반 네트워크 운영: 자율 네트..

Topic 2025.03.09

IT 보안 리스크 관리

개요IT 보안 리스크 관리(Security Risk Management)는 기업과 기관이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보안 위협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도록 위험을 식별, 평가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는 현대 환경에서 효과적인 보안 리스크 관리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됩니다. 본 글에서는 IT 보안 리스크 관리의 개념, 주요 요소, 프로세스, 사례 및 최신 동향을 살펴봅니다.1. IT 보안 리스크 관리란?IT 보안 리스크 관리는 조직이 직면한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평가하여 적절한 대응 조치를 수립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이는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고, 법적 규제를 준수하며, 기업의 평판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1.1 IT 보안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사이버 공격 증가: 해킹, 랜섬웨어, 피싱 공..

Topic 2025.03.09

FIPS 140-2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개요FIPS 140-2(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140-2)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정의한 암호화 모듈 보안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연방 기관 및 민간 부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모듈이 강력한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보장합니다. 본 글에서는 FIPS 140-2의 개념, 주요 보안 요구사항, 인증 레벨, 활용 사례 및 향후 전망을 살펴봅니다.1. FIPS 140-2란?FIPS 140-2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암호화 모듈의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금융, 헬스케어, 국방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2001년에 발표되었으..

Topic 2025.03.09

접근제어 모델 (MAC, DAC, RBAC, ABAC)

개요접근제어(Access Control)는 정보 보안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나 시스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조직의 보안 정책에 따라 다양한 접근제어 모델이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MAC(강제적 접근제어), DAC(임의적 접근제어), RBAC(역할 기반 접근제어), ABAC(속성 기반 접근제어) 등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접근제어 모델의 개념, 주요 차이점, 활용 사례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최적의 선택 방법을 살펴봅니다.1. 접근제어란?접근제어는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나 프로세스가 특정 리소스(파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 또는 차단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조직의 보안 정책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접근제어 모델이 적용됩니다.1...

Topic 2025.03.08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개요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망)은 공용 네트워크에서 개인 정보와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위치를 숨기거나 제한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VPN의 개념, 작동 방식, 주요 유형, 활용 사례 및 장단점을 살펴봅니다.1. VPN이란?VPN은 인터넷을 통해 개인 정보와 데이터를 보호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술로, 사용자의 실제 IP 주소를 숨기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공공 Wi-Fi 사용 시 보안 강화를 위해 사용되며, 지역 제한 콘텐츠 접근 및 익명성 유지에도 유용합니다.1.1 VPN의 주요 기능IP 주소 숨김: 실제 위치를 감..

Topic 2025.03.08

DDoS 공격 및 대응 방안

개요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다수의 공격자가 특정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과부하를 일으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입니다. 최근 클라우드 환경과 IoT 기기의 증가로 인해 DDoS 공격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필수적입니다.1. DDoS 공격이란?DDoS 공격은 분산된 여러 컴퓨터(좀비 PC 또는 봇넷)를 이용하여 특정 시스템을 과부하 상태로 만들어 정상적인 트래픽을 차단하는 공격 방식입니다.1.1 DDoS 공격의 특징분산 공격: 단일 IP가 아닌 여러 출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공격 발생트래픽 과부하: 대량의 요청을 통해 서버의 리소스를 소진시킴지속성 및 변종: 공격 패턴이 다..

Topic 2025.03.06

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

개요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보호하는 보안 기술과 정책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기업 및 개인의 IT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데이터 유출, 해킹, 서비스 중단 등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보안 대책이 필수적입니다.1. 클라우드 보안이란?클라우드 보안은 공용, 사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위협을 방지하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일련의 기술 및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1.1 클라우드 보안의 주요 목표데이터 보호: 무단 접근 및 유출 방지네트워크 보안 강화: 트래픽 모니터링 및 침입 방지규정 준수(Compliance): GDPR, ISO 27001 등 보안 규정 준수보안 자동화: AI 및 머신러닝..

Topic 2025.03.05

사이드카(Sidecar) 아키텍처

개요사이드카(Sidecar) 아키텍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주요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동작하는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배포되는 패턴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 로깅, 모니터링,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등을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1. 사이드카(Sidecar)란?사이드카는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배포되지만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보조 프로세스입니다. 이는 특정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1.1 사이드카 패턴의 주요 특징독립성 유지: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실행되며, 변경 없이 기능을 확장 가능운영 효율성 증가: 보안, 로깅, 네트워크 기능을 표준화하여 관리 용이마이크로서비스 친화적: Kubernetes 및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동..

Topic 2025.03.05

SASE (Secure Access Service Edge)

개요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는 네트워크 보안과 WAN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통합하는 최신 IT 보안 아키텍처입니다. 기업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호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며, 클라우드 및 원격 근무 환경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1. SASE란?SASE는 보안 기능과 네트워크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어디에서든 안전하고 빠르게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온프레미스 보안 솔루션과 달리, SAS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며 확장성이 뛰어납니다.1.1 SASE의 핵심 원칙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 모든 접속 요청을 지속적으로 검증클라우드 중심 보안: 네트워크 보안 기능을 클라우드에서 제공사..

Topic 2025.03.04

ZTNA (Zero Trust Network Access)

개요ZTNA(Zero Trust Network Access)는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보안 모델입니다. VPN의 한계를 극복하고 클라우드 및 원격 근무 환경에서 보안성을 높이는 최신 보안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ZTNA란?ZTNA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근을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Access)에 따라 제한하며, 사용자의 신원과 디바이스 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보안 기술입니다.1.1 ZTNA의 핵심 원칙무조건적인 신뢰 금지: 내부 네트워크라고 해서 무조건 신뢰하지 않음항상 검증: 사용자의 ID, 디바이스 상태, 네트워크 환경을 지속적으로 검증최소 권한 접근: 업무 수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1.2 ZTNA와 VPN의..

Topic 2025.03.04

SSL/TLS 핸드셰이크(Handshake)

개요SSL/TLS 핸드셰이크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보안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를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중요한 절차이다. 본 글에서는 SSL/TLS 핸드셰이크의 개념, 동작 과정, 주요 암호화 기법 및 보안 강화 방안을 살펴본다.1. SSL/TLS란?SSL(Secure Sockets Layer)과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인터넷에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보장하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TLS는 SSL의 개선된 버전이며,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TLS 1.2 및 TLS 1.3이 사용된다.주요 특징:데이터 암호화를 통한 기밀성(Confidentiality) 보장데이터 무결성(Integrity) 유지서버 및 클라이언트 인증(Authenticatio..

Topic 2025.03.03

제로 트러스트 보안 (Zero Trust Security)

개요제로 트러스트 보안(Zero Trust Security)은 기존의 네트워크 경계를 신뢰하는 보안 모델을 탈피하고, 모든 접근을 검증하고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는 보안 전략이다. 본 글에서는 제로 트러스트 보안의 개념, 원칙, 주요 기술 요소, 적용 사례, 그리고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본다.1. 제로 트러스트 보안이란?제로 트러스트 보안(Zero Trust Security)은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Never Trust, Always Verify)”**는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보안 모델이다. 기존의 네트워크 중심 보안 방식(예: 방화벽 기반 보안)은 내부 사용자를 신뢰하는 구조였지만, 제로 트러스트는 내부 및 외부 접근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요청을 검증하는 방식을 채택한다.특징:기본..

Topic 2025.02.25

TCP/IP 프로토콜

개요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과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오늘날의 모든 인터넷 기반 통신은 TCP/IP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계층 모델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본 글에서는 TCP/IP의 개념, 계층 구조, 동작 방식, 주요 프로토콜, 활용 사례 및 보안 고려 사항을 살펴본다.1. TCP/IP 프로토콜이란?TCP/IP는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표준이다. 1970년대 미국 국방부의 ARPANET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인터넷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특징: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반의 데이터 ..

Topic 2025.02.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