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RPKI는 BGP(Border Gateway Protocol)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IP 주소 자원의 경로 정보를 암호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넷 라우팅 보안 인프라입니다. IP 주소와 AS(Autonomous System)의 소유권을 검증함으로써 BGP 하이재킹(BGP Hijacking) 및 경로 오류(Route Leak)를 방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RPKI(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는 IP Prefix와 이를 광고할 수 있는 AS(자율 시스템) 간의 관계를 디지털 서명 기반으로 인증하는 체계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X.509 PKI를 기반으로 하며, 인터넷 자원(IP, ASN) 할당 체계에 통합되어 운영됩니다.
- 목적: IP 경로 위조 방지 및 라우팅 무결성 확보
- 필요성: BGP의 구조적 한계(검증 부재)로 인한 보안 위협 대응
- 기반: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의 신뢰 체계 활용
2. 특징
특징 | 설명 | 비고 |
경로 인증 | BGP 경로에 대한 합법성 검증 | ROA 기반 허가 확인 |
공공 키 인프라 | X.509 인증서 구조 채택 | 암호학적 신뢰 체계 구축 |
계층적 구조 | RIR → LIR/ISP → 고객 순 구조 | 자원 할당 흐름 반영 |
글로벌 협력 기반 | RIR 간 상호 신뢰 기반 확산 | 글로벌 도입률 증가 추세 |
RPKI는 실제 라우터에서 적용되는 실시간 검증(RPKI-to-Router)을 통해 공격을 차단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ROA(Route Origin Authorization) | 특정 Prefix를 특정 AS가 광고할 수 있음을 명시 | 203.0.113.0/24 → AS64496 |
RPKI Repository | 인증서, ROA 저장소 | rsync, RRDP 기반 배포 |
Validator | ROA를 검증하여 유효성 판단 | Routinator, Fort, rpki-client 등 |
RPKI-to-Router Protocol | 라우터와 Validator 간 연결 프로토콜 | RTR 프로토콜 사용 |
이러한 요소는 상호 연결되어 실시간 라우팅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도구/기술 예시 |
X.509 인증서 | RPKI 구조의 기반 PKI 포맷 | RIR에서 생성 및 위임 |
RRDP(rsync Replacement) | ROA 및 인증서 동기화 프로토콜 | HTTPS 기반, 캐싱 가능 |
BGP Filtering | RPKI 유효성 기반 경로 필터링 | JunOS, IOS-XR, BIRD, FRR 등에서 지원 |
Validation Software | ROA 다운로드 및 유효성 검증 | Routinator, rpki-client, Krill |
기술 스택은 글로벌 ISP, CDN 등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점진적으로 확산 중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BGP 하이재킹 방지 | 경로 위조 차단 가능 | 보안 사고 예방 |
경로 무결성 보장 | ROA 인증 기반 신뢰성 확보 |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 가능 |
국제 표준 기반 | 글로벌 합의 기반 구조 | 상호운용성 확보 |
자동화 가능성 | ROA 생성 및 갱신 자동화 | 운영 효율성 향상 |
RPKI는 단순한 보안 기능을 넘어, 인터넷 전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 설명 | 고려사항 |
글로벌 ISP | 라우터 수준의 경로 검증 적용 | ROA 발급/갱신 자동화 필요 |
CDN 사업자 | 콘텐츠 전송 경로 보호 | 다양한 AS와 Prefix 관리 체계 필요 |
공공기관 | 민감 정보 보호를 위한 라우팅 보안 강화 | 내부 정책과의 정합성 유지 필요 |
도입 시에는 정책 기반 경로 필터링 전략 및 Validator 안정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7. 결론
RPKI는 인터넷 라우팅의 구조적 취약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하는 기술로, 경로 인증을 통해 보안성과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BGP 하이재킹과 같은 심각한 보안 위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글로벌 표준 기반으로 신뢰성 높은 인터넷 환경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자동화와 도입률 확대를 통해 인터넷 전반의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4(Programming Protocol-independent Packet Processors) (0) | 2025.05.05 |
---|---|
Route Origin Validation(ROV) (2) | 2025.05.05 |
Temporal Workflow (1) | 2025.05.05 |
Reactive Programming(리액티브 프로그래밍) (1) | 2025.05.05 |
Event Storming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