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용자보호 3

디지털자산기본법(Digital Asset Basic Act)

개요디지털자산기본법은 대한민국에서 가상자산(암호화폐 포함)의 정의, 거래, 보관, 사업자 등록, 이용자 보호, 시장질서 유지 등을 포괄적으로 규율하기 위해 마련된 법률입니다. 2023년 6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이를 시작으로 디지털자산기본법이라는 상위 프레임워크 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되었으며, 금융혁신과 동시에 투자자 보호를 위한 디지털 자산 시장의 법적 기반 구축이 핵심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디지털 방식으로 전자적으로 생성·이전·보관되는 가치를 가진 자산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법가상자산, NFT, 토큰증권(STO) 포함 가능목적이용자 보호, 시장 안정성 확보, 불공정거래 방지금융 규제 체계 내 편입 기반 마련적용 대상가상자산사업자(VASP),..

Topic 2025.07.31

전자금융거래법(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개요전자금융거래법은 대한민국에서 인터넷뱅킹, 모바일결제, 간편송금 등 전자적 방식의 금융거래에 적용되는 핵심 법률로, 금융소비자의 권리 보호와 전자금융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규범체계를 제공합니다. 2006년 제정되었으며, 핀테크 산업의 발전, 디지털 전환, 금융보안 이슈 대응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비고정의전자적 수단을 이용한 금융거래의 법적 효력, 책임, 절차 등을 규정한 법률전자서명법, 전자문서법과 연계됨목적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이용자 보호금융 혁신과 보안의 균형적용 대상은행, 카드사, 간편결제사, 전자금융업자, 이용자 등공공 및 민간 금융기관 포함전자지급결제대행(PG), 간편결제(Pay), 송금서비스 등 핀테크 사업자가 직접 적용 대상입니다...

Topic 2025.07.30

전기통신사업법(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개요전기통신사업법은 대한민국의 통신서비스 산업을 규율하는 기본 법률로서, 전기통신사업의 공정한 경쟁 질서 확립, 통신망의 안정적 운영, 이용자 보호, 그리고 국가 정보통신 발전을 주요 목적으로 합니다. 1991년 제정 이후, ICT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꾸준히 개정되며, 5G·플랫폼 중심의 통신산업에 대한 법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전기통신사업의 진흥과 공공복리 증진을 위한 사업 규율 법률전기통신기본법과 분리된 개별법목적공정경쟁 보장, 통신설비 관리, 이용자 권익 증진시장질서 유지와 기술혁신 병행적용 대상통신망 보유 통신사, 기간통신·별정통신사업자, 부가통신사업자 등KT, SKT, LGU+, NCP 포함네트워크망 중심의 사업자뿐 아니라, OTT·클라우드..

Topic 2025.07.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