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플라이언스자동화 3

Machine-Readable Regulation (MRR)

개요규제 환경이 복잡하고 변화가 빠른 시대에서, 기업과 기관은 규제 준수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Machine-Readable Regulation(MRR)**은 인간이 이해하는 규제 문서를 기계가 자동으로 해석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규제 준수 업무를 자동화하고 디지털화할 수 있는 기술 및 접근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MRR의 개념, 구현 기술, 이점과 사례 등을 다루며, 컴플라이언스 자동화의 미래를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Machine-Readable Regulation(MRR)**은 법령, 지침, 기준 등 규제 문서를 기계가 자동으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 규칙 또는 데이터 포맷입니다.일반 규제 문서: 자연어(텍스트 ..

Topic 2025.08.29

OSCAL Profiles

개요클라우드 환경과 마이크로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대응은 더욱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이 되었습니다. 특히 ISO, NIST, FedRAMP, CIS 등 다양한 규제 기준이 병렬적으로 적용되면서, 조직은 보안 제어(Controls)를 수동으로 문서화하고 관리하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IST의 이니셔티브가 **OSCAL(Open Security Controls Assessment Language)**이며, 그중 핵심 기능이 바로 OSCAL Profiles입니다. Profiles는 제어 카탈로그를 기반으로 조직 맞춤형 제어셋을 구조화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문서화할 수 있는 보안 문서 모듈화 체계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1. 개념 및 정의OSCAL Pr..

Topic 2025.07.12

GRC-as-Code

개요GRC-as-Code는 Governance(거버넌스), Risk(위험관리), Compliance(규제 준수)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DevSecOp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맞는 정책 일관성과 자동화된 통제를 실현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는 전통적인 수작업 기반 GRC 관리의 복잡성과 비효율성을 극복하며, 실시간 리스크 대응과 감사 대비를 가능하게 만든다.1. 개념 및 정의GRC-as-Code는 정책, 위험 규칙, 통제 기준을 코드로 정의하고 소스 코드처럼 버전 관리하며, 자동화 도구와 연계해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통제 체계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거버넌스 규칙은 선언적으로 정의되며, 실시간 감시 및 리포팅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다.2. 특징 항목 GRC..

Topic 2025.06.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