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라우드네이티브 37

Canary Deployment

개요Canary Deployment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전체 사용자에게 배포하기 전에 일부 사용자 그룹에게만 배포하여 안정성과 품질을 검증하는 소프트웨어 배포 전략입니다. 서비스 장애 위험을 최소화하고, 실제 환경에서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안전하게 점진적 배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신규 버전을 일부 트래픽에만 배포해 검증 후 점차 확대하는 방식CI/CD 파이프라인과 연계목적서비스 안정성 확보 및 장애 리스크 최소화DevOps·SRE 실무 활용필요성대규모 서비스 환경에서 배포 실패 위험 줄이기무중단 배포 필수실제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점진적 배포신규 버전을 단계적으로 배포Blue-Green 배포와 차별화자동화모..

Topic 2025.10.18

Apache Pulsar

개요Apache Pulsar는 대규모 분산 환경에서 메시징과 스트리밍을 동시에 지원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입니다. 멀티 테넌시, 지리적 복제, 무제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Kafka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정의메시징 및 스트리밍을 통합 제공하는 분산 플랫폼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목적고성능, 확장성, 멀티테넌시 지원실시간 데이터 파이프라인 최적화필요성Kafka의 한계(확장성, 멀티 리전 지원)를 극복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스트리밍과 메시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공합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멀티 테넌시단일 클러스터에서 다중 사용자/워크로드 지원Kafka는 멀티 테넌시 제한적무제한 확장성스토리지와 컴퓨팅 분리 아키텍처Kafka..

Topic 2025.10.18

Vitess

개요Vitess는 MySQL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시스템으로, 수평적 확장성과 분산 쿼리 처리를 지원합니다. YouTube에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글로벌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MySQL을 수평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시스템CNCF Incubating Project목적대규모 데이터와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글로벌 서비스 환경 최적화필요성단일 MySQL 인스턴스의 확장 한계 극복대규모 분산 환경 지원글로벌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DB 솔루션입니다.2. 특징특징설명..

Topic 2025.10.17

YugabyteDB

개요YugabyteDB는 PostgreSQL 호환성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되어 높은 확장성, 탄력성, 글로벌 분산 운영을 지원합니다. 전통적인 RDBMS의 SQL 기능과 NoSQL의 확장성을 결합하여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PostgreSQL 호환 오픈소스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Apache 2.0 라이선스목적고가용성과 글로벌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DB 제공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필요성기존 RDBMS의 확장성 한계 극복 및 글로벌 데이터 일관성 확보PostgreSQL과 API 호환SQL 기능과 글로벌 분산 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PostgreS..

Topic 2025.10.16

CockroachDB

개요CockroachDB는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분산형 SQL 데이터베이스로, 구글 스패너(Google Spanner)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되었습니다. 고가용성, 수평 확장성, 강력한 일관성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차세대 데이터베이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오픈소스 기반목적글로벌 서비스 환경에서 무중단·무정지 데이터베이스 제공클라우드 최적화필요성전통적 RDBMS의 한계(확장성, 복원력) 극복PostgreSQL 호환성 지원글로벌 분산 환경에 적합한 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수평 확장성노드를 추가하여 성능과 용량 확장전통적 RDBMS는 수직 확장 중심강력한 ..

Topic 2025.10.16

Continuous Profiling

개요Continuous Profiling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지속적으로 성능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병목 현상과 비효율성을 탐지하는 방법론이다. CPU, 메모리, I/O 등 리소스 사용을 장기간 추적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추세 분석과 최적화를 지원한다.1. 개념 및 정의지속적 프로파일링은 기존의 일회성 프로파일링과 달리, 애플리케이션 운영 환경에서 상시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통해 성능 저하나 장애를 사전에 예측하고, 코드 최적화를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실시간성상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장애 조기 감지장기적 분석트렌드 기반 성능 최적화비용 절감저오버헤드경량화된 에이전트 활용운영 환경 부담 최소화Continuous Profiling은 DevOps와 SRE..

Topic 2025.10.12

Pyroscope

개요Pyroscope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소스 지속적 프로파일링(Continuous Profiling) 플랫폼이다. CPU, 메모리 사용량 등 시스템 자원 소비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성능 병목 현상 및 리소스 낭비를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 개념 및 정의Pyroscope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지속적으로 성능 데이터를 수집해 시계열 데이터베이스(Time-Series DB)에 저장하고, 직관적인 UI를 통해 시각화하는 도구다. 이를 통해 성능 저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효율적인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지속적 프로파일링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실시간 추적CPU/메모리 중심시각화Flame Graph 등 직관적 시각화 제공..

Topic 2025.10.12

Argo Events

개요Argo Events는 Kubernetes 네이티브 이벤트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이벤트 소스를 감지하고 지정된 워크플로우나 작업을 트리거한다. Argo Workflows, Argo CD와 통합되어 GitOps 및 DevOps 환경에서 강력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Argo Events는 이벤트 소스(Event Source), 센서(Senso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활용하여 Kubernetes 환경에서 이벤트 주도형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CNCF Incubating 프로젝트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에서 핵심 이벤트 처리 역할을 수행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이벤트 중심다양한 이벤트 소스 지원G..

Topic 2025.10.12

FluxCD

개요FluxCD는 Kubernetes 환경에서 GitOps 방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자동으로 배포 및 동기화하는 오픈소스 도구이다. Git 저장소를 단일 진실 원천(Single Source of Truth)으로 삼아,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된 동기화를 보장한다.1. 개념 및 정의FluxCD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하는 GitOps 도구로, Kubernetes 클러스터가 Git에 정의된 상태와 항상 일치하도록 유지한다. 이를 통해 수동 배포 과정을 제거하고, 일관성과 재현성을 확보한다.2. 특징 구분 내용 비고 GitOpsGit을 단일 진실 원천으로 사용선언적 배포자동화변경사항 자동 동기화Pull 기반 모델보안성최소 권한 접근 제어Sec..

Topic 2025.10.11

KubeVirt

개요KubeVirt는 기존 가상 머신(VM) 기반 워크로드를 컨테이너 기반 쿠버네티스 환경에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컨테이너와 VM을 동일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어, 레거시 애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공존이 가능해집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정의KubeVirt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상 머신(VM)을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확장 기능입니다.목적VM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생태계에서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필요성컨테이너로 전환이 어려운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함께 운영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합니다.2. 특징특징설명차별점하이브리드 워크로드VM과 컨테이너를 동시에 운영 가능기존 VM 관리 툴..

Topic 2025.09.25

Capsule

개요Kubernete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표준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지만, 다중 테넌트(tenant) 환경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Capsule입니다. Capsule은 멀티테넌시를 Kubernetes 네이티브 방식으로 구현하여, 클러스터 공유 환경에서도 보안, 자원 격리, 운영 효율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psule은 Kubernetes 상에서 여러 팀(테넌트)이 하나의 클러스터를 공유하면서도, 각자 독립적인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테넌시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클러스터 리소스 최적화, 운영 단순화, 보안 격리입니다.2. 특징 특징 기본 Kubernetes Capsule 멀티테넌시제한적 ..

Topic 2025.09.14

Validating Admission Policy (VAP)

개요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에서 보안과 일관성은 핵심 과제입니다. 기존에는 Validating Admission Webhook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검증했지만, 외부 웹훅 서버를 구축·운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Kubernetes 1.26부터 도입된 기능이 바로 **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입니다.1. 개념 및 정의**Validating Admission Policy(VAP)**는 Kubernetes 네이티브 리소스로, 클러스터 내부에서 직접 객체 생성·수정 요청을 검증할 수 있는 정책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보안 정책 내재화, 운영 단순화, 일관된 규칙 적용입니다.2. 특징 특징 Validating Admission Web..

Topic 2025.09.13

Kueue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AI/ML, HPC(고성능 컴퓨팅), 데이터 분석 등 배치 워크로드(batch workload) 실행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Kubernetes 스케줄러는 배치 처리에 특화되지 않아, 대규모 리소스 관리와 공정성(Fairness) 보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NCF 산하에서 개발된 프로젝트가 바로 Kueue입니다.1. 개념 및 정의Kueue는 Kubernetes 환경에서 배치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고 큐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리소스 활용 최적화, 공정한 배치 실행, 클라우드 네이티브 워크로드 자동화입니다.2. 특징 특징 기존 Kubernetes 스케줄러 Kueue 배치 처리제한적대규모..

Topic 2025.09.13

Tekton Chains

개요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점점 정교해짐에 따라, 빌드·배포 과정의 투명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산하 Tekton 프로젝트의 서브 컴포넌트가 바로 Tekton Chains입니다. Tekton Chains는 빌드 아티팩트와 공급망 이벤트에 대한 서명(Signing), 추적(Tracing), 검증(Verific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Tekton Chains는 CI/CD 파이프라인에서 생성되는 결과물(이미지, 바이너리, 메타데이터 등)에 대해 자동 서명과 감사 로그를 생성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주요 목적은 소..

Topic 2025.09.11

Environments-as-Code

개요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와 함께 인프라 환경은 더욱 복잡하고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Environments-as-Code(EaC)'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는 인프라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전체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는 접근 방식으로, DevOps, GitOps, Platform Engineering 등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nvironments-as-Code의 정의, 구성요소, 기술 스택, 도입 효과 및 고려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Environments-as-Code(EaC)는 개발, 테스트,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환경을 코드화하여, 일관된 방식으로 자동 생성, 구성, 관리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Topic 2025.08.21

Fabric-Attached Memory Pooling (FAM-Pool)

개요Fabric-Attached Memory Pooling(FAM-Pool)은 고속 네트워크 패브릭을 기반으로 여러 컴퓨팅 노드에서 공유 가능한 메모리 풀을 구성하는 차세대 메모리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메모리 확장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며, 대규모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에서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FAM-Pool의 개념, 구조, 기술 스택, 활용 사례 등을 전문가 수준으로 상세히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고정의고속 패브릭을 통해 여러 노드가 접근 가능한 공유 메모리 풀컴포저블 인프라 기반목적메모리 리소스의 유연한 확장과 효율적 사용메모리 자원의 통합 관리필요성CPU에 직접 연결된 메모리의 고정 구..

Topic 2025.08.15

WasmCloud Cosmonic Host (WCH)

개요WasmCloud Cosmonic Host(WCH)는 WebAssembly(Wasm) 기반 마이크로서비스를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안전하고 분산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 플랫폼입니다. 이는 Cosmonic이 제공하는 오픈소스 wasmCloud 프레임워크의 호스트 역할을 하며, 경량화된 Wasm 컴포넌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고, 복잡한 인프라 구성 없이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WasmCloud Cosmonic Host는 WebAssembly로 빌드된 모듈(컴포넌트)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플랫폼으로, 런타임 격리,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발견, 스케일링 등을 자동화합니다.기존의 컨테이너 기반 실행 모델이 OS 및 플랫폼에 종속된 반면, WCH는 완전히 플..

Topic 2025.07.24

Helmfile (HF)

개요Helmfile은 Helm 기반의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선언적 구성 도구이다. 여러 개의 Helm 차트를 버전별로 정의하고, 환경별 배포 설정을 템플릿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복잡한 클러스터 배포 환경을 코드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elmfile은 Helm 차트를 YAML 파일로 정의하여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CLI 도구목적복잡한 다중 차트 배포 환경을 코드로 관리하여, 일관성과 재현성을 확보필요성수동 배포, 스크립트 기반 배포의 비효율성과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GitOps 방식으로 배포 관리 가능하게 함2. 특징특징설명비교선언적 구성YAML 기반으로 배포 구성을 ..

Topic 2025.07.17

SRv6 MUP (Mobile User Plane)

개요5G의 확산과 함께 네트워크는 더욱 유연하고 클라우드 중심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통적인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기술이 SRv6 (Segment Routing over IPv6) 기반의 **MUP (Mobile User Plane)**입니다. SRv6 MUP은 모바일 사용자 트래픽(User Plane)을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와 원활하게 통합하며, 네트워크 슬라이싱, 트래픽 엔지니어링, 서비스 체이닝 등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SRv6 MUP (Segment Routing IPv6 Mobile User Plane)**은 3GPP 모바일 사용자 트래픽과 SRv6 데이터 플레인을 결합하여, 모바일 코어와 클..

Topic 2025.07.10

Platform-Ops Team Topology

개요복잡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DevOps 도입의 확산으로 인해, 내부 개발자에게 안정적이고 자율적인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Platform Engineering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조직 구조가 Platform-Ops Team Topology입니다. 이 전략은 ‘내부 플랫폼 팀’을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며, 개발 생산성과 일관된 운영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1. 개념 및 정의Platform-Ops Team Topology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하는 조직 내 기술 운영 구조를 정의한 아키텍처 지침입니다. 이는 개발팀이 자율적으로 코드를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일관된 개발 환경과 ..

Topic 2025.07.10

OpenFeature Flag Dapr Provider

개요OpenFeature는 CNCF 산하의 오픈소스 피처 플래그(flag) 표준이며, 다양한 백엔드 플래그 관리 시스템과 연결 가능한 추상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apr(Distributed Application Runtime)은 마이크로서비스를 위한 사이드카 기반 런타임 플랫폼으로, 상태, pub/sub, 시크릿, 구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최근에는 피처 플래그 기능도 내장하였다. 본 글에서는 OpenFeature와 Dapr의 결합 구조, Dapr Provider 구성 방식, 사용 사례 및 기대 효과 등을 정리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OpenFeature벤더 중립적 피처 플래그 표준화 라이브러리다양한 백엔드와 연동 가능 Dapr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개발을 위한 사이드카 런타임상태..

Topic 2025.06.30

Sidecar-less Service Mesh

개요Sidecar-less Service Mesh는 전통적인 사이드카 프록시를 제거하고, 서비스 간 통신 제어 기능을 인프라 계층으로 통합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본 글은 이 기술의 개념, 도입 배경, 구조적 특징, 주요 장단점, 실제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혁신을 모색하는 독자에게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idecar-less Service Mesh는 각 서비스에 별도의 사이드카 컨테이너 없이 서비스 메시 기능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이다.목적리소스 절감, 복잡도 완화, 성능 개선필요성마이크로서비스 확산에 따라 사이드카 기반 구조의 한계(복잡도, 오버헤드 등) 극복 필요2. 특징특징설명전통 Service Mesh와의 비교사이드..

Topic 2025.06.29

Open Policy Agent (OPA)

개요Open Policy Agent(OPA)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제어, 인프라 정책, API 보안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정책 엔진입니다.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정책 실행을 중앙화하지 않고 로컬화함으로써 성능, 확장성,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방식으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공식 프로젝트로 채택되어 다양한 생태계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A는 Rego라는 선언형 정책 언어를 기반으로 정책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경량 엔진으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Kubernetes, Envoy, Terraform 등)에 손쉽게 통합되어 일관된 정책 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주요 목적접근 제어..

Topic 2025.06.28

OpenFeature

개요OpenFeature는 다양한 피처 플래그(Feature Flag)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과 표준화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SDK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대에 유연하고 공급자 독립적인 플래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산하에서 관리되며, 베타 수준 이상의 프로젝트로 안정성과 확장성이 검증되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다양한 피처 플래그 공급자와 통합되는 플러그인 기반의 오픈소스 플래그 관리 SDK목적벤더 종속 없는 플래그 관리, 통합 API 제공, 운영 일관성 확보적용 환경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모바일/웹 앱 등 전반OpenFeature는 기존 LaunchDarkly, Flagsmith, Unleash 등과..

Topic 2025.06.20

LitmusChaos

개요분산 시스템과 마이크로서비스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시스템의 회복 탄력성(resilience)을 사전에 검증하는 **카오스 엔지니어링(Chaos Engineering)**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LitmusChaos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손쉽게 카오스 실험을 설계, 실행,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신뢰성 높은 시스템 운영의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LitmusChaos는 쿠버네티스 기반 인프라에서 카오스 테스트(장애 시뮬레이션)를 자동화하여 시스템의 내결함성을 검증하는 카오스 엔지니어링 툴킷입니다.개발 주체: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산하 오픈소스 프로젝트주요 목적: 장애 유도 실험을 통해 복원력 있는 시스템 설계핵심 철..

Topic 2025.06.18

OCI(Open Container Initiative) Distribution Spec

개요OCI(Open Container Initiative) Distribution Spec는 컨테이너 이미지와 그 아티팩트를 다양한 레지스트리에서 안전하고 일관되게 저장, 조회, 전송할 수 있도록 정의한 오픈 표준입니다. Docker에서 파생된 생태계를 표준화하고, 도구와 플랫폼 간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유연한 이미지 배포와 아티팩트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컨테이너 이미지 및 아티팩트 전송을 위한 HTTP 기반 API 인터페이스 정의 표준 (OCI Registry API)목적Docker Registry API의 표준화, 도구 간 상호운용성 확보소속Linux Foundation 산하 Open Container Initiative 주도Distr..

Topic 2025.06.14

Git-Ops Runbook

개요Git-Ops Runbook은 Git 저장소를 단일 신뢰소스로 활용하여 시스템 운영, 배포, 복구 과정을 자동화하고 문서화한 실행 지침서입니다. 특히 Kubernetes와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선언적 인프라 구성과 자동화된 운영을 정형화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Git-Ops Runbook의 개념, 구성 요소, 구축 방법 및 사례 중심으로 실무 적용 방안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Git에 저장된 선언형 구성과 운영 절차를 기반으로, 자동화 및 감사가 가능한 시스템 운영 지침서목적운영 자동화, 인프라 복원력 향상, 변경 추적 및 감사 대응기반 원칙Git-Ops, Infrastructure as Code(IaC), Immutable Infrastru..

Topic 2025.06.12

Cross-Cluster Service Mesh

개요Cross-Cluster Service Mesh는 여러 Kubernetes 클러스터 간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서비스 간 통신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메시 아키텍처입니다. 클라우드-온프레미스 혼합 환경, 글로벌 배포, 멀티 테넌시 구조에서 통합 가시성과 보안 정책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 개념의 기술 구조, 주요 기능, 도입 이점 및 고려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두 개 이상의 클러스터에서 동일한 서비스 메시를 구성하여, 서비스 간 통합 트래픽 정책 및 보안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구조목적클러스터 간 서비스 디스커버리, 통신 암호화, 정책 통합 실현대표 솔루션Istio, Linkerd, Kuma, Open ..

Topic 2025.06.11

Internal Developer Platform (IDP)

개요Internal Developer Platform(IDP)은 개발자가 자율성과 생산성을 갖고 코드를 개발·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체 구축형 개발 플랫폼입니다.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하며, DevOps 문화를 확산시키고 표준화된 워크플로우를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과 속도를 개선합니다. 본 글에서는 IDP의 구성 요소, 기술적 특징, 실무 적용 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조직 내부에서 개발자를 위한 셀프서비스 기반 개발 플랫폼으로, 인프라와 툴체인을 자동화하여 제공목적개발자의 자율성과 생산성 확보, DevOps 구현 가속화주요 사용자소프트웨어 엔지니어, DevOps 팀, 플랫폼 엔지니어IDP는 복잡한 인프라 작업을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기능 개발에만 집중..

Topic 2025.06.10

OpenYurt

OpenYurt는 기존 Kubernetes 생태계를 엣지 환경으로 확장해, 클라우드와 엣지 간의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Alibaba Cloud에서 시작되어 CNCF에 기여된 프로젝트로, 엣지 노드를 위한 네이티브 오케스트레이션 기능과 자율 운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엣지 컴퓨팅에서의 Kubernetes 한계를 극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OpenYurt는 기존 Kubernetes 클러스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엣지 노드를 클러스터에 통합하여, 엣지-클라우드 간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모니터링, 자원 관리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입니다.아키텍처 기반: Kubernetes + Yurt Components설계 철학: Cloud..

Topic 2025.05.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