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행동기반보안 4

CARTA (Continuous Adaptive Risk & Trust Assessment)

개요CARTA(Continuous Adaptive Risk and Trust Assessment)는 기존의 고정된 보안 경계를 넘어, 실시간 위험과 신뢰 수준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정책을 조정하는 동적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가트너(Gartner)가 2017년에 제안한 이 개념은 제로 트러스트를 확장한 모델로, 변화하는 사용자·기기·행위의 맥락(Context)을 기반으로 보안 결정을 내리는 데 중점을 둡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실시간 위험 평가 및 신뢰 수준에 따라 보안 결정을 지속적으로 조정하는 보안 아키텍처목적동적 환경 속에서도 최소 권한 원칙과 유연한 접근 통제를 병행 구현필요성디지털 워크플로우, 원격 근무, 멀티디바이스 환경 증가에 따라 고정 정책의 한계 발생2. 특징특징설..

Topic 02:55:43

Honeytoken

개요Honeytoken은 공격자가 접근하면 알림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미끼 정보로, 사이버 침입을 조기에 탐지하고 내부자 위협을 추적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입니다. 문서, 자격증명, API 키, DB 엔트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 자산처럼 보이지만 사용되면 즉시 이상 행위로 감지됩니다. 본 글에서는 Honeytoken의 정의, 구성 방식, 기술 요소, 활용 방안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Honeytoken은 허위 자산으로 구성된 보안 탐지 기술의 일종으로,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배치되어 침입자가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접근할 경우 탐지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물리적 보안에서의 '도난 방지 태그'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행위 중심 보안을 가능하게 합니다.2...

Topic 2025.05.07

Deception Technology

개요Deception Technology(기만 기술)는 공격자를 속이기 위해 시스템 내에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포함한 자산을 배치하여, 악의적인 접근을 조기에 탐지하고 분석하는 능동적 보안 기술입니다. 허니팟(Honeypot), 허니토큰(Honeytoken), 가짜 시스템, 위장된 네트워크 자산 등을 통해 침입자의 활동을 유도하고 식별함으로써, 실제 자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협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eception Technology는 공격자의 심리를 역이용하여,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자산을 통해 공격 행위를 유도하고 분석하는 방식의 보안 전략입니다. 이는 정적 방어보다는 사이버 함정을 구축하여 위협 행위를 능동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기존 보안 솔루션이 침입..

Topic 2025.05.07

Moving Target Defense(MTD)

개요Moving Target Defense(MTD)는 시스템 구성, 네트워크 경로, 실행 환경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공격자가 취약점을 식별하거나 악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보안 전략입니다. 기존의 정적 방어체계와 달리 MTD는 공격 면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MTD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메커니즘, 장점 및 도입 사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MTD는 '움직이는 표적 방어' 전략으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정적인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자에게 혼란을 주는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 즉, 공격자가 시스템의 내부 구조나 취약점을 탐지하고 악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늘리고, 공격 성공 가능성을 현저히 낮춥니다.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

Topic 2025.05.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