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CARTA (Continuous Adaptive Risk & Trust Assessment)

JackerLab 2025. 5. 19. 02:55
728x90
반응형

개요

CARTA(Continuous Adaptive Risk and Trust Assessment)는 기존의 고정된 보안 경계를 넘어, 실시간 위험과 신뢰 수준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정책을 조정하는 동적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가트너(Gartner)가 2017년에 제안한 이 개념은 제로 트러스트를 확장한 모델로, 변화하는 사용자·기기·행위의 맥락(Context)을 기반으로 보안 결정을 내리는 데 중점을 둡니다.


1. 개념 및 정의

구분 내용
정의 실시간 위험 평가 및 신뢰 수준에 따라 보안 결정을 지속적으로 조정하는 보안 아키텍처
목적 동적 환경 속에서도 최소 권한 원칙과 유연한 접근 통제를 병행 구현
필요성 디지털 워크플로우, 원격 근무, 멀티디바이스 환경 증가에 따라 고정 정책의 한계 발생

2. 특징

특징 설명 차별점
지속적 위험 평가 이벤트마다 리스크 분석 및 대응 조정 일회성 인증 기반 모델과의 차이
컨텍스트 기반 제어 사용자, 장치, 위치, 시간 등 맥락 반영 정책 유연성 극대화
신뢰 수준 반영 행동 이력 및 이상행위 탐지 기반 신뢰도 점수화 사용자 중심 보안정책 수립 가능

CARTA는 ‘평가 → 조정 → 재평가’의 지속적 루프를 통해 보안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3. 핵심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역할
Risk Engine 다양한 로그/이벤트 기반 위험도 분석 접근 제어 결정 기준 제공
Trust Profile 사용자/디바이스의 신뢰도 수치화 정상/비정상 행위 기반 분류
Policy Orchestration 상황 기반 보안 정책 자동 적용 SIEM/SOAR와 통합 가능
Continuous Monitoring 실시간 행동 기반 평가 침해 조기 탐지 가능

이는 AI 기반 이상행위 분석(UEBA), CASB, EDR 등과 결합 시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4. 기술 요소 및 연동

기술 요소 설명 적용 기술
Behavioral Analytics 사용자·엔드포인트의 행위 기반 이상 탐지 UEBA, ML 모델
Identity Federation 다중 ID 소스 통합 및 통제 SSO, OAuth, SAML
Risk-Adaptive Access 위험 기반 실시간 접근 제어 CASB, ZTNA 솔루션과 통합
DevSecOps 연계 SDLC 전반에서 지속적 위험평가 반영 CI/CD 파이프라인에 적용

CARTA는 보안 통제의 중심을 ‘정책’에서 ‘판단’으로 이동시킵니다.


5. 기대 효과 및 장점

항목 설명 기대 효과
공격 탐지 정밀도 향상 정적 룰 기반 대비 높은 정확도 탐지 오탐율 감소
사용자 경험 개선 무조건 차단이 아닌 리스크 기반 통제 업무 연속성 보장
정책 유연성 클라우드, BYOD, 원격근무 대응력 확보 보안 전략의 민첩성 향상

CARTA는 제로 트러스트의 한계를 보완하는 차세대 보안 운영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금융권 사용자 행동 기반 이상 거래 탐지 실시간 정책 변경 시 안정성 검증 필요
제조/산업제어 IoT 디바이스 이상 행위 탐지 장치별 정책 차별화 필요
원격근무 환경 디바이스 및 위치 기반 접근 정책 프라이버시 보호 고려 필요

도입 시, 위험 평가 알고리즘과 데이터 정확도가 핵심 요소입니다.


7. 결론

CARTA는 변화하는 업무 환경과 위협 모델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 보안 전략입니다. 고정된 방어벽이 아닌 유연하고 적응 가능한 보안 체계를 구축하여, 리스크와 신뢰 기반의 ‘지능형 보안 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향후 AI 및 자동화 기술과 결합되며 보안 운영의 핵심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