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OT 45

Pravega

개요Pravega는 Dell Technologies(EMC)와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공동 개발한 스트리밍 데이터 저장소 및 처리 플랫폼이다. Apache Kafka와 유사하지만, 장기 저장(Persistent Storage)과 스트림 재생 기능을 통합하여 데이터 스트리밍과 스토리지의 경계를 허무는 차세대 스트림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실시간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 처리, 재생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Kafka + Object Storage 통합 구조목적데이터 파이프라인의 단순화 및 통합메시징 + 스토리지 일원화필요성장기 보관이 필요한 스트리밍 워크로드 증가IoT, 금융 거래, AI 학습 데이터2. 특징특징설명비교Durable Stream Storage데이터를 장기..

Topic 2025.11.14

Apache Pulsar

개요Apache Pulsar는 대규모 분산 환경에서 메시징과 스트리밍을 동시에 지원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입니다. 멀티 테넌시, 지리적 복제, 무제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Kafka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정의메시징 및 스트리밍을 통합 제공하는 분산 플랫폼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목적고성능, 확장성, 멀티테넌시 지원실시간 데이터 파이프라인 최적화필요성Kafka의 한계(확장성, 멀티 리전 지원)를 극복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스트리밍과 메시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공합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멀티 테넌시단일 클러스터에서 다중 사용자/워크로드 지원Kafka는 멀티 테넌시 제한적무제한 확장성스토리지와 컴퓨팅 분리 아키텍처Kafka..

Topic 2025.10.18

Apache Beam

개요Apache Beam은 배치와 스트리밍 처리를 모두 지원하는 통합 데이터 처리 모델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실행 엔진(Spark, Flink, Dataflow 등)에서 동일한 파이프라인을 실행할 수 있는 추상화 계층을 제공하여, 데이터 처리 워크플로우의 이식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배치와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추상화 프레임워크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목적실행 엔진에 종속되지 않는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제공멀티 엔진 지원필요성다양한 분산 엔진 환경에서 동일한 코드 실행 가능클라우드/온프레미스 환경 최적화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의 표준화 모델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실행 엔진 독립성Spark..

Topic 2025.10.17

Apache Flink

개요Apache Flink는 대규모 데이터 스트리밍 및 배치 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분산 처리 엔진입니다. 실시간 이벤트 처리, 복잡한 스트리밍 분석, 상태 관리 기능을 지원하며, 금융, IoT, 로그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실시간 스트리밍과 배치 처리를 모두 지원하는 분산 데이터 처리 엔진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목적초저지연 데이터 처리 및 확장 가능한 분석 제공실시간 데이터 중심필요성기존 배치 중심 시스템의 한계 극복Spark Streaming 대비 강력한 실시간 처리실시간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엔진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스트리밍 우선네이티브 스트리밍 모델 기반Spark의 마이크로배치와 차별화상태 관리대..

Topic 2025.10.17

TimescaleDB

개요TimescaleDB는 PostgreSQL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확장으로, 기존 RDBMS의 안정성과 시계열 데이터 특화 기능을 결합한 솔루션입니다. IoT, 금융, 모니터링, 로그 분석 등 대규모 시계열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PostgreSQL 확장을 통해 구현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오픈소스 및 엔터프라이즈 에디션 제공목적시계열 데이터의 효율적 저장, 질의, 분석고성능 분석 지원필요성기존 RDBMS의 시계열 처리 한계 극복대규모 시계열 처리 최적화PostgreSQL 기반의 안정성과 시계열 전문성을 결합한 DB입니다.2. 특징특징설명비교PostgreSQL 호환성기존 PostgreSQL 생태계 활용 가능SQL, ORM, 확장 기능 그대로 사용H..

Topic 2025.10.17

DTDL (Digital Twins Definition Language)

개요DTDL(Digital Twins Definition Language)은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정의하기 위해 Microsoft가 개발한 언어로, IoT 및 스마트 환경에서 자산, 장치, 시스템을 디지털로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JSON 기반의 직관적인 스키마를 통해 센서 데이터, 속성, 관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DTDL은 디지털 트윈을 설명하기 위한 표준화된 언어로, 자산의 속성(Properties), 명령(Command), 관계(Relationship), 원격 측정(Telemetry) 등을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물리적 자산의 가상 표현을 일관되게 모델링할 수 있다.2. 특징구분내용비고표준성JSON-LD 기반W3C 표준 확장유연성다양한 산업 자산 모델링 가능I..

Topic 2025.10.10

DDS-XRCE (Data Distribution Service for Extremely Resource Constrained Environments)

개요DDS-XRCE(Data Distribution Service for Extremely Resource Constrained Environments)는 IoT 및 초경량 장치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이다. 기존 DDS(Data Distribution Service)의 기능을 경량화하여, 센서·임베디드 디바이스 등 제한된 리소스를 가진 장치에서도 분산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되었다.1. 개념 및 정의DDS-XRCE는 제한된 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을 가진 장치에서도 DDS 기반의 퍼블리시/서브스크라이브(pub/sub) 통신 모델을 활용할 수 있게 설계된 국제 표준이다. 이는 IoT 및 산업용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필수적인 경량 데이터 통신 인프라를 제공..

Topic 2025.10.10

WebTransport

개요WebTransport는 QUIC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차세대 웹 전송 API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통신을 위한 고성능·저지연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WebSocket의 한계를 보완하며, 스트리밍·게임·화상회의·IoT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하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설명 정의WebTransportQUIC 기반 실시간 전송 API목적저지연·고성능 데이터 통신 지원WebSocket 한계 보완필요성실시간 서비스 확산스트리밍·게임·IoT 대응WebTransport는 HTTP/3 기반 QUIC 위에서 동작하여, 보안과 성능을 동시에 제공한다.2. 특징특징설명비고QUIC 기반UDP 기반 저지연 전송TCP 대비 지연 감소스트림/메시지 지원단방향·양방향 스트림 가능유연한 ..

Topic 2025.10.09

Edge Twin Orchestrator (ETO)

개요디지털 트윈은 현실 자산의 가상 표현을 통해 분석, 예측, 제어를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엣지 환경에서는 Edge Twin이라는 개념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Edge Twin Orchestrator(ETO)**입니다. ETO는 엣지 단에서 디지털 트윈 모델의 생성, 배포, 동기화, 모니터링, 수명주기 관리를 지능적으로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입니다.1. 개념 및 정의**Edge Twin Orchestrator(ETO)**는 다수의 엣지 노드 상에 배치된 디지털 트윈 모델을 중앙 또는 분산 방식으로 자동화·정책 기반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ETO는 엣지 트윈의 실시간 운영, 예측 분석, 자율..

Topic 2025.08.26

WasmEdge Device Plugin (WasmEdge DP)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이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를 중심으로 진화함에 따라, **WebAssembly (Wasm)**는 경량화와 보안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에지 컴퓨팅과 IoT 환경에서는 컨테이너보다 가볍고 빠른 실행 환경이 요구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기술이 WasmEdge다.**WasmEdge Device Plugin(WasmEdge DP)**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WebAssembly 워크로드를 안전하고 고성능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플러그인이다. 쿠버네티스와의 통합을 통해 WebAssembly를 네이티브 워크로드처럼 취급할 수 있게 하며, 에지 환경의 성능과 확장성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WasmEdge DP는 Kubernetes에서 W..

Topic 2025.08.07

전파법(Radio Waves Act)

개요전파법은 대한민국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전파 자원의 관리·운영·감독 체계를 정립하고, 전파 혼신 방지와 공공질서 유지, 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제정된 핵심 법률입니다. 무선 주파수는 한정된 공공 자산으로, 이 법은 전파의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용, 주파수 할당·면허·감리 등의 절차를 명확히 규정하며, 통신, 방송, 위성, 군사,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전파 자원의 관리·할당·이용을 통합 규율하는 대한민국의 법률1961년 제정, 전파관리법 → 전파법 개칭목적전파의 효율적 이용과 혼신 방지, 공공 안전 및 산업 활성화공공성과 기술혁신의 균형 지향적용 대상이동통신사, 방송국, 군·소방·항공·우주기관 등 모든 무선기기 운용자IoT, 드론, 자율차까지 포함주파수..

Topic 2025.07.29

k0s (Lightweight Kubernetes)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의 핵심인 Kubernetes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설치와 운영의 복잡성이 높아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등장한 것이 k0s입니다. k0s는 Mirantis에서 개발한 초경량 쿠버네티스 배포판으로, 단일 바이너리 형태로 제공되어 간편한 설치, 빠른 실행, 낮은 리소스 사용률을 자랑합니다. 본 글에서는 k0s의 아키텍처, 구성 요소,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경량 쿠버네티스 배포의 핵심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k0s는 CNCF 표준을 따르면서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단일 바이너리 기반의 Kubernetes 배포판입니다.컨트롤 플레인, 워커 노드, 클러스터 부트스트래핑, 네트워크 플러그인, 스토리지 드라이버 등 모든 구성 요소..

Topic 2025.07.16

Edge Data Product

개요Edge Data Product는 엣지(Edge) 위치에서 생성·수집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 처리, 정제하여 중앙 시스템이나 클라우드로 이전 없이도 직접 활용 가능하도록 만든 독립적인 데이터 제품 단위입니다. 데이터 메쉬(Data Mesh)와 데이터 제품 사고방식을 엣지 컴퓨팅 환경에 적용한 개념으로, 제조, 리테일, 스마트시티 등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의 시간 가치와 실시간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설계 모델입니다.1. 개념 및 정의Edge: 센서, 게이트웨이, IoT 장비 등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말단의 데이터 생성 지점Data Product: 특정 목적에 최적화된 데이터 처리·정의·제공 단위. API, 스키마, SLA 포함Edge Data Product: 엣지 위치에서 생성 및 가공된 데이터를 서비..

Topic 2025.07.06

Edge Function Orchestration

개요Edge Function Orchestration은 클라우드와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한 엣지 노드에서 다양한 함수를 분산 실행하고, 그 흐름을 효과적으로 조율하여 실시간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지연 최소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보안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며, IoT, CDN,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Edge Function Orchestration은 엣지 네트워크에 배포된 경량화된 함수(functions)를 복수의 노드에서 병렬 또는 연속적으로 실행시키고, 그 실행 흐름을 중앙 또는 분산 방식으로 관리하는 아키텍처 설계 전략입니다.Edge Function: 짧은 시간 안에 실행되는 서버리스 단위 함수Orchestration: 실행..

Topic 2025.07.03

KubeEdge

개요KubeEdge는 Kubernetes 기반의 오픈소스 엣지 컴퓨팅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엣지 환경에 확장하여 분산된 장치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IoT, 산업 자동화, 스마트시티, 제조 등에서 클라우드와 엣지 간의 원활한 연산 분배와 네트워크 제약 극복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KubeEdge는 Kubernetes를 엣지 노드까지 확장하여, 클라우드와 엣지 간의 워크로드 오케스트레이션, 디바이스 통신, 상태 동기화 등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기본 아키텍처: Cloud Core(K8s 마스터) + Edge Core(에이전트 노드)개발 주체: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목표: 지연 ..

Topic 2025.05.23

WasmEdge

개요WasmEdge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엣지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고성능 WebAssembly(WASM) 런타임입니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샌드박스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경량성, 빠른 시작 속도, 높은 보안성을 기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AI 추론,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WasmEdge는 WebAssembly 모듈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실행 환경으로, 다양한 언어(Rust, C/C++, JavaScript 등)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합니다. 기존 컨테이너보다 더 가볍고 빠르며, Kubernetes, Docker와 같은 인프라와도 쉽게 통합됩니다.WasmEdge는 특히 서..

Topic 2025.05.17

TinyML

개요TinyML은 수 밀리와트 수준의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서 머신러닝 모델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로컬에서 즉시 처리하고 의사결정까지 수행할 수 있는 초경량 AI 접근 방식으로, 엣지 컴퓨팅, IoT, 웨어러블, 스마트 홈/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TinyML(Tiny Machine Learning)**은 1mW 이하의 전력에서 동작하는 소형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머신러닝 모델과 실행 환경을 의미합니다. 주요 목표는 에너지 효율성과 응답 속도 확보이며, 이를 위해 모델 경량화, 최적화된 런타임, 하드웨어 가속 등이 함께 고려됩니다.처리 위치: 클라우드가 아닌 디바이스 자체 (on-device infere..

Topic 2025.05.06

가트너 전략 기술(2025) - 연결된 생태계(Connected Ecosystem)

개요연결된 생태계(Connected Ecosystem)는 기업, 파트너, 고객, 시스템, 장치 등이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공동 창출하는 디지털 협업 구조입니다. API, 데이터 공유, 플랫폼 연동, IoT,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기술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Gartner는 이를 2025년 전략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 이제 기업은 단일 조직의 경쟁력을 넘어서 ‘생태계 기반 가치 창출’로 전략을 재편해야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다양한 이해관계자(조직, 시스템, 장치)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연결되어 실시간 상호작용과 협업이 가능한 상태핵심 키워드실시간 데이터 연동, API 경제, 플랫폼 연계, M2M 통신, 디지털 트윈목적정보 공유 기..

Topic 2025.04.23

멧칼프의 법칙(Metcalfe’s Law)

개요멧칼프의 법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그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N²)에 비례해 증가한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넷, SNS, 메신저 등 상호작용 기반 서비스의 확산을 이해하는 핵심 이론으로, 현대 디지털 경제에서 가장 널리 인용되는 네트워크 가치 모델 중 하나입니다.1. 개념 및 정의멧칼프의 법칙(Metcalfe’s Law)은 이더넷(Ethernet)의 발명자 중 한 명인 로버트 멧칼프(Robert Metcalfe)가 제안한 이론으로, 네트워크 상의 노드 수가 많아질수록 가능한 연결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을 설명합니다.정의: 네트워크의 가치는 연결된 노드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공식: V = N² (V: 네트워크 가치, N: 사용자 수)의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곧 가치..

Topic 2025.04.19

스마트 SOC(Smart SOC)

개요스마트 SOC(Smart Social Overhead Capital)는 기존의 물리적 사회간접자본(도로, 철도, 항만, 교량 등)에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시스템을 융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실현하는 차세대 인프라 개념입니다. AI,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기술을 접목해 교통, 에너지, 재난 대응, 도시 인프라 등 공공 서비스를 스마트하게 혁신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IoT, AI, 데이터 분석 기반의 지능형 기술을 사회간접자본 시설에 융합한 스마트 인프라 체계목적시설물 안전 관리, 운영 효율 향상, 국민 체감형 서비스 제공구성 대상도로, 철도, 공항, 항만, 수자원, 교량, 터널 등 국가 기반시설2. 주요 기술 구성 요소기술 요소설명적용 기술IoT ..

Topic 2025.04.17

Delay Tolerant Networking (DTN)

개요Delay Tolerant Networking(DTN)은 기존 인터넷 기반 통신망이 가진 연속성 요구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우주, 군사, 해양 등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된 DTN은 차세대 통신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TN의 개념, 특징, 구성 요소부터 기술 요소, 장점, 실제 활용 사례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Delay Tolerant Networking(DTN)은 간헐적 연결(disconnection), 높은 지연(latency), 낮은 대역폭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전통적인 TCP/IP 기반 네트워크는 패킷이 실시간으로 목적지까지 도달해야 하지만, DTN은 데..

Topic 2025.04.07

RTE (Real-Time Enterprise)

개요RTE(Real-Time Enterprise)는 기업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민첩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적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RTE의 개념부터 기술 요소, 도입 효과, 실제 사례까지 상세하게 다루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RTE(Real-Time Enterprise)는 모든 비즈니스 활동이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분석되어, 지연 없는 의사결정과 자동화된 운영이 가능한 기업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습니다.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고객 요구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운영 효율성 극대화리스크 사전 대응2. 특징 주요 특징 설명 비고 실시간 정보 처리모든 시스템과 채널에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Topic 2025.04.03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

개요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는 제품의 전체 생애 주기(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디지털로 연결하여 통합하는 기술이다. 이는 설계, 제조, 운영, 유지보수 등 모든 단계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운영 효율성과 제품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글에서는 디지털 스레드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디지털 스레드란?디지털 스레드는 제품의 설계부터 생산, 유지보수,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데이터를 연결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이를 통해 제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어 제조업의 효율성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1.1 기존 제조 방식과의 ..

Topic 2025.03.23

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RTC Framework)

개요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Real-Time Communication Framework, RTC Framework)는 사용자 간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한다. 이는 화상 회의, 음성 통화, 온라인 게임, IoT(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저지연(Low Latency) 및 고품질 통신을 목표로 한다. 본 글에서는 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란?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RTC Framework)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 스택이다. 이는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메시지 및 기타 데이터를 초저지연(Low La..

Topic 2025.03.23

AI 엣지 오프로딩(ML Edge Offloading)

개요AI 엣지 오프로딩(ML Edge Offloading)은 엣지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머신러닝(ML) 연산을 클라우드 또는 다른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로 분산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는 엣지 AI의 연산 부담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최적화하는 데 활용되며, 5G, IoT, 스마트 공장, 자율 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AI 엣지 오프로딩의 개념, 주요 특징, 활용 사례, 장점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AI 엣지 오프로딩이란?AI 엣지 오프로딩은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에서 머신러닝 모델을 실행할 때, 일부 연산을 클라우드나 근처 고성능 서버로 오프로딩(Offloading)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로컬 장치의 ..

Topic 2025.03.23

시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otemporal Database)

개요시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otemporal Database)는 시간(Temporal)과 공간(Spatial)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이는 GPS 데이터, 교통 흐름 분석, 기상 예측, 지리 정보 시스템(GIS)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예측 분석에 강점을 가진다. 본 글에서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란?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시간과 공간 속성을 동시에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특정 위치에서 특정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질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1.1 기존 데이터베이스와의 차이점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정적인 ..

Topic 2025.03.23

Ad-hoc 라우팅 프로토콜

개요Ad-hoc 라우팅 프로토콜은 고정된 네트워크 인프라 없이 노드 간 직접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이는 군사 작전, 재난 복구, IoT(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되며, 노드의 이동성과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Ad-hoc 네트워크의 개념, 주요 라우팅 프로토콜, 장점과 한계, 그리고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Ad-hoc 네트워크란?Ad-hoc 네트워크는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인프라(예: 라우터, 기지국) 없이 동적으로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각 노드(기기)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1.1 Ad-hoc 네트워크의 특징자율적 구성(Self-organizi..

Topic 2025.03.21

비직교 다중접속(NOMA)

개요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은 5G 및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다중접속 기술이다. 기존의 직교 다중접속(OMA) 방식과 달리, NOMA는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을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할당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한다. 본 글에서는 NOMA의 개념, 동작 원리, 장점과 단점,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비직교 다중접속(NOMA)란?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기존 OMA(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에서는 사용자 간 자원을 분할하여 할당했지만, NOMA는 전력 ..

Topic 2025.03.21

RISC-V 아키텍처(RISC-V Architecture)

개요RISC-V(리스크 파이브) 아키텍처는 오픈소스 기반의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 Instruction Set Architecture)로, 기존의 상용 ISA(Intel x86, ARM 등)와 달리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확장성이 뛰어난 차세대 프로세서 기술이다. 본 글에서는 RISC-V의 개념, 기술적 특징, 주요 장점과 단점, 활용 사례 및 미래 전망을 살펴본다.1. RISC-V 아키텍처란?RISC-V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기반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이다. 기존의 상용 ISA(예: x86, ARM)와 달리 무료로 공개되어 누구나 사용, 수정, 확장이 가능하다.✅ ..

Topic 2025.03.20

분산 시스템 아키텍처

개요분산 시스템 아키텍처(Distributed System Architecture)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는 확장성(Scalability),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장애 복원력(Fault Tolerance)을 제공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마이크로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 다양한 IT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본 글에서는 분산 시스템의 개념, 주요 아키텍처 유형, 장점과 단점, 그리고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분산 시스템이란?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은 여러 개의 컴퓨터 노드가 협력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각 노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

Topic 2025.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