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loud security 7

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 (IRSA)

개요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IRSA)는 클라우드 환경, 특히 Kubernetes(EKS)에서 Pod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IAM 역할을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인증 방식이다. 이는 서비스 계정(Service Account)에 IAM 역할(Role)을 직접 매핑하여 장기 키를 제거하고, 보안성을 강화한 인증 체계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ubernetes 서비스 계정과 IAM 역할을 연동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 제어기존 Access Key 기반 인증 대체목적자격 증명(Key) 노출 없는 안전한 인증보안성 및 운영 효율성 강화필요성컨테이너 및 마이크로서비스 확산에 따른 보안 관리 자동화DevOps 환경 필수 구성2. 특징특징설명비교키리스(Key..

Topic 2025.11.03

Workload Identity Federation (WIF)

개요Workload Identity Federation(WIF)은 외부 시스템(온프레미스, 멀티클라우드 등)의 워크로드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접근할 때, 장기 자격 증명(예: 서비스 계정 키)을 사용하지 않고 ID 제공자(IdP)를 통해 보안적으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는 클라우드 보안 및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외부 워크로드가 신뢰할 수 있는 ID 제공자 기반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기존 서비스 계정 키 기반 인증 대체목적키리스(Keyless) 환경 구축 및 보안성 강화비밀 키 노출 위험 제거필요성멀티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인프라 확산크로스 플랫폼 인증 요구 증가2. 특징특징설명비교키리스 인증서비스 계정 키 없이 ID 토큰 기반 인증장기 키 불필요동적..

Topic 2025.11.02

Remote Browser Isolation (RBI)

개요Remote Browser Isolation(RBI)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세션을 로컬 환경이 아닌 원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에서 실행하고, 그 결과(렌더링된 화면)만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안 기술이다. 이를 통해 악성 웹사이트로부터의 감염, 피싱, 제로데이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웹 콘텐츠를 원격 환경에서 격리하여 실행하는 보안 기술로컬 브라우징 대비 높은 보안성목적악성코드, 스크립트, 피싱 링크 등으로부터 사용자 보호클라이언트 무결성 유지필요성제로데이 및 공급망 공격 급증기존 AV/Proxy 한계 보완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격리웹 콘텐츠가 사용자 장치에 직접 도달하지 않음Sandbox보다 강력한 보호스트리밍 방식렌더링된 이미지/픽셀 정보만 전..

Topic 2025.11.01

Customer-Managed Keys (CMEK)

개요Customer-Managed Keys(CMEK)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제공하는 기본 암호화 키 대신,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접근 통제와 보안 수준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주권 강화, 규제 준수, 보안 감사 대응을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 및 제어하는 클라우드 보안 모델Provider-Managed Key와 대비목적데이터 보호의 통제권을 고객에게 부여보안 책임 분담 모델 강화필요성기업의 데이터 주권 및 규제 준수 요구 증가금융, 공공, 의료 분야 중심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키 통제권사용자가 직접 키 생성·회전·폐기 가능CSP 내부 접근 제한클라우드 통합 지원주..

Topic 2025.11.01

External Key Manager (EKM)

개요External Key Manager(EKM)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외부 시스템에서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아닌 조직이 자체적으로 암호 키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과 규제 준수를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클라우드 외부에서 암호화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클라우드 내부 KMS(Key Management Service)와 대비목적데이터 암호화 키의 완전한 통제권 확보보안 및 규제 대응 강화필요성클라우드 보안 위협 증가 및 데이터 주권 요구GDPR, HIPAA 등 규제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외부 관리형 키클라우드 외부에서 키를 생성·보관클라우드 벤더 접근..

Topic 2025.10.31

External Attack Surface Management (EASM)

개요External Attack Surface Management(EASM)은 조직의 디지털 자산 중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공격 표면)을 지속적으로 탐지하고 관리하여 사이버 위협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접근 방식이다. 이는 공격자의 시각에서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하여 침입 가능성을 줄이고,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합해 조직의 보안 태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외부 네트워크 상의 공격 표면을 탐지 및 모니터링하는 보안 관리 방식내부 자산 중심 ASM과 대비목적알려지지 않은 자산 식별 및 위협 사전 차단선제적 보안 강화필요성클라우드, SaaS 확산으로 인한 외부 노출 영역 증가경계 없는 보안 환경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공격자 관점의 분석공격자가 식..

Topic 2025.10.30

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

개요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보호하는 보안 기술과 정책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기업 및 개인의 IT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데이터 유출, 해킹, 서비스 중단 등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보안 대책이 필수적입니다.1. 클라우드 보안이란?클라우드 보안은 공용, 사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위협을 방지하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일련의 기술 및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1.1 클라우드 보안의 주요 목표데이터 보호: 무단 접근 및 유출 방지네트워크 보안 강화: 트래픽 모니터링 및 침입 방지규정 준수(Compliance): GDPR, ISO 27001 등 보안 규정 준수보안 자동화: AI 및 머신러닝..

Topic 2025.03.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