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ms 4

Customer-Managed Keys (CMEK)

개요Customer-Managed Keys(CMEK)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제공하는 기본 암호화 키 대신,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접근 통제와 보안 수준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주권 강화, 규제 준수, 보안 감사 대응을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 및 제어하는 클라우드 보안 모델Provider-Managed Key와 대비목적데이터 보호의 통제권을 고객에게 부여보안 책임 분담 모델 강화필요성기업의 데이터 주권 및 규제 준수 요구 증가금융, 공공, 의료 분야 중심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키 통제권사용자가 직접 키 생성·회전·폐기 가능CSP 내부 접근 제한클라우드 통합 지원주..

Topic 2025.11.01

External Key Manager (EKM)

개요External Key Manager(EKM)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외부 시스템에서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아닌 조직이 자체적으로 암호 키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과 규제 준수를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클라우드 외부에서 암호화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클라우드 내부 KMS(Key Management Service)와 대비목적데이터 암호화 키의 완전한 통제권 확보보안 및 규제 대응 강화필요성클라우드 보안 위협 증가 및 데이터 주권 요구GDPR, HIPAA 등 규제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외부 관리형 키클라우드 외부에서 키를 생성·보관클라우드 벤더 접근..

Topic 2025.10.31

Key Management Interoperability Protocol (KMIP)

개요KMIP(Key Management Interoperability Protocol)는 서로 다른 시스템과 보안 장비 간 암호 키의 관리, 교환, 저장을 표준화하기 위해 개발된 OASIS(Open Standards) 기반 프로토콜이다. 데이터 암호화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키 관리의 효율성과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암호 키 관리 기능을 표준화한 상호운용 프로토콜개별 벤더별 독자 API 방식의 대안목적이기종 시스템 간 키 관리 호환성 확보데이터 보안 아키텍처 표준화필요성클라우드, HSM, 암호화 솔루션 간 키 연동 요구 증가보안 규제 대응 (FIPS, GDPR 등)2. 특징특징설명비교표준 기반OASIS에서 관리하는 공개 표준폐쇄형..

Topic 2025.10.31

Google Cloud External Key Manager (EKM)

개요Google Cloud External Key Manager(EKM)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키를 Google Cloud 외부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안 기능입니다. 고객이 소유한 키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특히 규제 산업(금융, 공공, 헬스케어 등)에서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며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EKM은 고객이 자체적으로 소유·통제하는 키 관리 시스템(HSM, Key Management Service 등)을 통해 암호화 키를 외부에서 유지한 상태로, Google Cloud 리소스에 대한 암호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외부키 통제 모델: 키는 Google Cloud가 아..

Topic 2025.06.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