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05 22

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Zero Trust Overlay)

개요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Zero Trust Overlay)는 기존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별도의 보안 계층을 구축하여, 사용자와 디바이스의 모든 접근 요청에 대해 지속적인 검증을 수행하는 보안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Trust No One)’는 제로트러스트 보안 철학을 실현하는 실질적인 구현 방식 중 하나로, 특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원격 근무 환경, OT(운영 기술) 보안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는 기존 네트워크를 변경하지 않고, 그 위에 보안 정책 기반의 가상화된 보안 통신망(Secure Overlay Network)을 추가로 형성합니다. 사용자는 이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과 인가 과정을 거쳐 애플리케이션이나..

Topic 21:06:26

Monorepo vs Polyrepo (단일 저장소 vs 다수 저장소)

개요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코드베이스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는 개발 생산성과 협업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Monorepo(모노레포)는 모든 프로젝트와 모듈을 하나의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방식이고, Polyrepo(폴리레포)는 각각의 프로젝트를 독립적인 저장소로 관리하는 전략입니다. 두 방식은 각기 다른 조직 구조, 개발 규모, 협업 패턴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DevOps, CI/CD, 모듈화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Monorepo는 하나의 Git 저장소에 여러 애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구성 요소를 함께 관리하며, 코드 재사용성과 통합 빌드에 유리합니다. 반면 Polyrepo는 프로젝트마다 독립적인 저장소를 운영하여 팀별 자율성과 경량화를 추구합니다..

Topic 20:05:35

Secure Coding 가이드 (CERT, SEI)

개요Secure Coding(보안 코딩)은 소프트웨어 개발 시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개발 지침입니다. 특히 미국 카네기멜론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산하 CERT(Center for Internet Security)가 제공하는 Secure Coding 가이드는 글로벌 보안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맞춘 구체적인 규칙과 예제를 통해 실질적인 보안 강화 방안을 제시합니다.1. 개념 및 정의CERT Secure Coding 가이드는 보안 취약점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표준화된 코딩 규칙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C, C++, Java, Python 등 주요 언어..

Topic 19:04:48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소프트웨어

개요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는 제품, 공정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 모드를 식별하고, 그 영향과 원인을 분석하여 사전에 예방 조치를 수립하는 체계적인 위험 관리 기법입니다. FMEA 소프트웨어는 이 과정을 자동화하고 협업 기반의 분석 환경을 제공하여 품질 향상과 리스크 최소화를 지원합니다. 자동차, 전자, 항공우주, 의료기기 등 고신뢰성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FMEA는 고장의 유형(Failure Mode), 고장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Effect), 고장의 원인(Cause)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각 항목에 대해 심각도(Severity), 발생 가능성(Occurrence), 탐지 가능성(Detection)을 ..

Topic 18:04:01

FTA (Fault Tree Analysis) 소프트웨어

개요FTA(Fault Tree Analysis)는 시스템 고장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FTA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분석 과정을 시각화하고 자동화함으로써 복잡한 시스템에서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예방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항공, 철도, 원자력, 제조 산업 등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FTA는 시스템 장애를 유발하는 사건들을 논리 게이트(AND, OR 등) 기반 트리 구조로 도식화하여, 최상위 고장(Top Event)의 발생 확률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단일 장애 요인 뿐만 아니라 복합적 고장 메커니즘도 추적 가능하며, 예방 및 설계 개선의 근거 자료로 사용됩니다.FTA 소프트웨어..

Topic 17:02:56

Technical Debt(기술부채)

개요기술부채(Technical Debt)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단기적인 목표(빠른 출시 등)를 위해 장기적인 품질이나 유지보수를 희생한 결과로 발생하는 누적된 기술적 문제를 의미합니다. 이는 마치 '빚'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를 발생시키며, 궁극적으로 개발 생산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저하시킵니다.1. 개념 및 정의기술부채는 코드 품질 저하, 설계 미비, 테스트 부족, 문서 누락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기능 추가나 유지보수 시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게 됩니다. 마틴 파울러(Martin Fowler)는 기술부채를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생긴 설계 상의 결함이 미래에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2. 특징 항목 설명 비고 누적성시간이 지날수록 해결 비용 증가조기 대응 필요가시성 부족..

Topic 16:02:10

SR-IOV (Single Root I/O Virtualization)

개요SR-IOV(Single Root I/O Virtualization)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장치를 여러 개의 가상 장치(Virtual Function)로 분할하여 가상 머신(VM)에게 직접 할당할 수 있게 해주는 가상화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센터,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환경에서 네트워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R-IOV는 PCI Express(PCIe) 기반의 I/O 가상화 기술로,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카드(예: NIC)에서 여러 개의 Virtual Function(VF)을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VM이나 컨테이너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통해 VM은 하이퍼바이저의 중개 없이..

Topic 15:01:24

NUMA (Non-Uniform Memory Access)

개요NUMA(Non-Uniform Memory Access)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각 CPU가 로컬 메모리에 빠르게 접근하고, 다른 CPU의 메모리에 상대적으로 느리게 접근하는 메모리 구조입니다. 고성능 컴퓨팅, 대형 서버,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처리 성능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아키텍처입니다.1. 개념 및 정의NUMA는 SMP(Symmetric Multi-Processing)의 확장된 형태로, CPU마다 고유의 메모리 영역(Node)을 갖고 있습니다. 각 CPU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에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지만, 다른 CPU의 메모리(Node)에 접근할 경우 상대적으로 긴 지연 시간(latency)이 발생합니다. 이는 메모리 접근 속도의 '비균일성(Non-Uniform)'에서 유래한 용어입..

Topic 14:00:36

Watchdog Timer (감시 타이머)

개요Watchdog Timer(감시 타이머)는 시스템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하거나 재시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타이머 장치입니다. 내장 시스템(임베디드 시스템), 서버, 산업 자동화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감시 타이머는 설정된 시간 내에 정상 신호(heartbeat 또는 kick)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으로 리셋 또는 오류 처리 절차를 실행하는 보호 메커니즘입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RTOS(실시간 운영체제), 자동차 전장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2. 특징 항목 설명 비고 자동 오류 감지정상 신호 미수신 시 시스템..

Topic 12:58:49

SD-WAN(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

개요SD-WAN(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은 전통적인 WAN(광역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능적으로 제어하여 멀티 클라우드, SaaS, IoT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차세대 WAN 기술입니다. MPLS, 인터넷, LTE, 5G 등 다양한 링크를 가상화하여 비용 효율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전 세계 기업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D-WAN은 다양한 네트워크 회선을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가 중앙에서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기반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의 WAN입니다. 물리적 인프라가 아닌 **논리적 제어(Software-Defined Control)*..

Topic 12:01:37

SCAP(Security Content Automation Protocol)

개요SCAP(Security Content Automation Protocol)은 IT 시스템의 보안 구성, 취약점 진단, 정책 준수 여부 등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자동화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정의한 이 프로토콜은 보안 진단의 일관성, 정확성, 반복 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조직의 보안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SCAP은 다양한 보안 콘텐츠(취약점, 구성 정책 등)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XML)**으로 정의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의 보안 상태를 자동으로 스캔, 분석, 보고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구성 검증, 취약점 평가, 소프트웨어 식별, 정책 준수 여부 점검 등이 포함됩니다.핵심 목표:보안 정책 평가..

Topic 11:00:50

Kerberos

개요Kerberos는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와 서비스 간 안전한 인증을 제공하기 위한 티켓 기반 인증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네트워크에 직접 노출시키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제3자(TGS, Ticket Granting Server)를 통해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자격증명과 암호화된 통신을 제공합니다. 특히 Microsoft의 Active Directory, Unix/Linux 시스템,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인증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Kerberos는 MIT에서 개발된 인증 프로토콜로, 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하면 다양한 서비스에 티켓(Ticket)을 통해 재인증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SSO(Single Sign..

Topic 10:00:06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개요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은 웹 기반 환경에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SSO(Single Sign-On)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XML 기반의 인증 및 권한 부여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교환하여 로그인 상태를 여러 시스템에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기업 내부 시스템뿐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에도 널리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SAML은 사용자가 한 번 인증되면 여러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재인증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 주체(Identity Provider, IdP)**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 간에 **Assertion(인증서버 응답 토큰)**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

Topic 08:59:12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네트워크 패킷에 라벨(Label)을 부착해 전통적인 IP 라우팅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기업용 전용회선, 금융기관, 통신사업자, 데이터센터 간 연결 등에서 고속성과 품질 보장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한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MPLS는 IP 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라벨을 부착하여, 패킷 내용 분석 대신 라벨 기반 전송 경로 결정으로 전송 속도와 경로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OSI 7계층의 **2.5 계층(Layer 2.5)**에 해당하는 기술로, L2와 L3 사이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핵심 특징:경로 기반 전송 (Lab..

Topic 07:58:27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개요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경제적 이익 추구를 넘어서 사회·환경·윤리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현하는 개념입니다. 단순한 자선 활동이나 이미지 제고를 넘어,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 창출을 도모하는 전략적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SR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위한 활동으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윤리적 경영(ethical business)**의 기반이 됩니다. CSR은 일반적으로 3P(Profit, People, Planet)를 핵심 가치로 하며, 환경 보호, 지역사회 기여, 노동권 보장, 윤리적 공급망 ..

Topic 06:57:32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개요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는 대규모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확보하면서도 빠른 배포와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운영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입니다. 구글(Google)에서 시작된 이 방식은 전통적인 시스템 운영과 소프트웨어 개발 간의 경계를 허물며, 코드 기반의 자동화된 운영과 지속적인 개선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1. 개념 및 정의SRE는 ‘운영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개발팀과 운영팀 간의 충돌을 줄이고, 시스템 안정성과 신속한 제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핵심 개념:SLI(SLI: Service Level Indicator): 측정 지표 (예: 가용성, 오류율, 응답 시간)SLO(SLO: Service Level Ob..

Topic 05:56:51

컨버전스 IoT(Convergence IoT)

개요컨버전스 IoT(Convergence IoT)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다른 기술 또는 산업과 융합(Convergence)하여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창출하는 차세대 디지털 전략입니다. 단순한 센서 네트워크나 데이터 수집을 넘어,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엣지컴퓨팅 등의 기술과 융합되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헬스케어 등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컨버전스 IoT는 다양한 기술(Information, Operational, Communication)의 융합을 통해 IoT 데이터를 분석·활용하며, 실시간 대응성과 예측 기능을 갖춘 지능형 인프라를 구성하는 개념입니다.핵심 목적:이기종 기술·플랫폼 간 통합산업 자동화와 지능형 대응 구현데이터 기반 실시..

Topic 04:56:01

Backup & Recovery(백업 & 복구)

개요Backup & Recovery(백업 및 복구)는 시스템 장애, 데이터 손실, 랜섬웨어, 자연재해 등 다양한 위협에 대비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한 시점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IT 전략입니다.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환경 모두에서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과 비즈니스 연속성(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며, 최근 데이터 증가와 보안 위협 확대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백업(Backup)**은 데이터를 복사해 별도 저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을 의미하며, **복구(Recovery)**는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 손실된 시스템이나 파일을 원래대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이 두 프로세스는..

Topic 03:51:24

Lakehouse(레이크하우스)

개요Lakehouse(레이크하우스)는 데이터 레이크(Data Lake)의 유연성과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의 구조화된 분석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데이터 아키텍처입니다. 방대한 양의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 실시간 분석 기능을 동시에 갖춘 혁신적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Lakehouse는 데이터 레이크 기반의 대용량 저장 구조에, 웨어하우스급 ACID 트랜잭션, 카탈로그, BI 호환성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서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키텍처입니다.핵심 목적:데이터 중복 제거: 레이크와 웨어하우스 이중 유지 문제 해결실시간 분석 가..

Topic 02:50:40

Data Catalog(데이터 카탈로그)

개요Data Catalog(데이터 카탈로그)는 조직 내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 자산의 위치, 정의, 품질, 연관 관계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입니다.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대의 데이터 중심 환경에서는, 데이터의 존재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생산성과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데이터 카탈로그입니다.1. 개념 및 정의데이터 카탈로그는 마치 도서관의 책 목록처럼, 조직 내 모든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인덱싱하고 메타데이터와 함께 관리하는 플랫폼입니다. 데이터 사용자(분석가,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등)는 카탈로그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찾고, 신뢰도와 활용 기준을 이해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기반 의사..

Topic 01:49:58

Auto Scaling(자동 스케일링)

개요Auto Scaling(자동 스케일링)은 애플리케이션의 부하에 따라 컴퓨팅 자원(서버 인스턴스, 컨테이너 등)을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핵심적인 인프라 관리 기술로, 사용량 변화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Auto Scaling은 설정된 조건(트래픽, CPU 사용률, 네트워크 지연 등)에 따라 인프라 리소스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여주는 기능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GCP 등)는 이를 기본 서비스로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 가용성과 성능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핵심 목적:수요 변화에 따른 서비스 안정성 유지유휴 리소스 제거를 통한 비용 효율성 ..

Topic 00:49:09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개요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인프라 서비스입니다. 디지털 서비스가 글로벌화되고 사용자 경험(UX)이 핵심 경쟁력이 된 오늘날, CDN은 웹사이트 속도 향상, 트래픽 부하 분산, 보안 강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며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DN은 중앙 서버에 집중된 콘텐츠를 전 세계 여러 엣지 서버(Edge Server)에 분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청할 때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핵심 목적:웹 성능 향상: 로딩 속도 단축으로 사용자 이탈률 감소..

Topic 00:08:4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