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04 23

기술심의위원회(Technology Steering Committee)

개요기술심의위원회(Technology Steering Committee, TSC)는 기업 또는 조직이 기술 도입, 투자, 운영, 보안 등의 주요 기술 관련 의사결정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구성하는 거버넌스 기구입니다.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도입, AI·데이터 활용이 급증하는 환경에서 기술 리스크와 기회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의사결정 체계로서 TSC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기술심의위원회는 최고기술책임자(CTO), 최고정보책임자(CIO), 보안책임자(CISO), 주요 부서 책임자 등으로 구성되며, 기술 프로젝트나 시스템 도입 시 다음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핵심 목적:기술 전략과 사업 전략의 정렬기술 투자 우선순위 결정보안·규제·컴플라이언스 이슈 검토기술 관련 리스크..

Topic 22:07:19

SLSA(Supply-chain Levels for Software Artifacts)

개요SLSA(Supply-chain Levels for Software Artifacts)는 소프트웨어 공급망(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보안성과 무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방형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구글(Google)이 주도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발전시키고 있는 이 모델은 최근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개발-빌드-배포 과정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보안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LSA는 개발자 코드부터 빌드 시스템, 패키지, 배포 환경까지 모든 소프트웨어 아티팩트(artifacts)가 어떻게 생성되고, 어떤 경로로 배포되는지를 추적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핵심 목표:소프트웨어 아티팩트의 기원(traceability..

Topic 21:06:38

S2C2F(Strategy to Capability to Function to Force)

개요S2C2F는 Strategy to Capability to Function to Force의 약어로, 전략적 목표(Strategy)부터 전력구성(Force)까지의 논리적 연결 구조를 통해 국방, 안보, 대규모 조직 등에서 실행력 있는 역량 기반 계획을 수립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체계는 정책 결정자들이 전략 수립부터 구체적 기능과 자산 배치까지 일관성 있게 연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특히 국방기획, 국가안보, 대규모 복합조직의 역량 정렬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S2C2F는 각 계층별로 전략을 실행 가능한 구조로 전개하는 ‘계층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상위 전략이 구체적인 기능, 역할, 그리고 조직 구조 및 자산 수준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조직 전반의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철학에 기반합니..

Topic 20:05:55

BCF(Board Control Framework)

개요BCF(Board Control Framework, 이사회 통제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Board of Directors)가 전략적 리스크를 통제하고, 거버넌스와 컴플라이언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적 관리 체계입니다. 특히 기업 지배구조 강화, 내부통제 체계 수립, ESG 대응, 책임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에서 BCF는 경영 투명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핵심 프레임워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BCF는 이사회가 기업 전반의 활동에 대해 전략적으로 관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세스, 책임 체계, 리스크 관리 및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통합한 구조입니다. 단순한 보고 체계를 넘어, 이사회가 전략 실행, 윤리, 성과, 규제 준수 등..

Topic 19:05:07

Kanban(칸반)

개요Kanban(칸반)은 작업 흐름을 시각화하고, 현재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업무 관리 기법입니다. 원래는 도요타 생산 시스템에서 시작된 생산관리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소프트웨어 개발, 마케팅, HR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애자일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Kanban의 개념, 구성 요소, 활용법 및 실제 적용 전략을 다각도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Kanban은 일본어로 ‘간판’, ‘표지판’을 의미하며, 일의 흐름을 시각화하여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Kanban 보드는 일반적으로 ‘To Do(해야 할 일) – In Progress(진행 중) – Done(완료됨)’과 같은 열로 구성되며, 작업 단위는..

Topic 18:04:25

Post-Project Review (사후검토)

개요Post-Project Review(PPR), 또는 프로젝트 사후검토(Postmortem)는 프로젝트 종료 이후 그 결과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되돌아보고,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유사 프로젝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회고 활동입니다. PPR은 단순한 평가를 넘어, 조직의 집단 지식과 실행력을 축적하는 중요한 학습 도구로 기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Post-Project Review는 프로젝트 완료 후 일정 기간 내에 수행되며, 프로젝트 전반의 목표 달성도, 일정·예산 준수, 협업 프로세스, 리스크 관리 등을 다각도로 평가합니다. 조직 내 교훈 공유와 지속 개선 문화 형성을 핵심 목적으로 합니다.핵심 구성:성과 평가: 계획 대비 결과 분석원인 분석: 성공/실패 요인의 구조적 검토지식..

Topic 17:03:35

CIP(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개요CIP(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지속 개선 프로세스)는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 조직 문화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는 경영 전략입니다. 이는 ‘완벽’보다는 ‘점진적 향상’을 추구하며, 린(Lean), 식스 시그마(Six Sigma), 카이젠(Kaizen) 등의 다양한 기법들과 결합하여 기업의 생산성과 고객 만족도를 동시에 강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CIP는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전략입니다. 작은 개선의 축적이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철학에 기반하며, 기업 전반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핵심 개념:지속성(Continuous): 단기 개선이 아닌 ..

Topic 16:02:51

MoSCoW 우선순위 기법

개요MoSCoW 우선순위 기법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이나 기능을 네 가지 우선순위 범주(Must, Should, Could, Won’t)로 나누어 정리하는 실용적 의사결정 도구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프로젝트, 제품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이해관계자 간의 요구사항 정렬 및 자원 배분을 효율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1. 개념 및 정의MoSCoW 기법은 단어의 첫 글자를 따온 것이며, 각 항목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여 실제로 필요한 기능에 집중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다만 ‘o’는 발음 보조용으로 의미는 없습니다.분류 기준:Must Have (반드시 필요): 납기 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핵심 요소Should Have (필요하지만 필수는 아님): 중요하지만 납기 후라도 수용 가능한 ..

Topic 15:02:10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개요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은 프로젝트 일정 지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자원의 제약을 고려한 현실적인 일정 수립과 실행력을 강화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입니다. 이 방식은 물리학자이자 경영 컨설턴트인 엘리 골드랫(Eliyahu M. Goldratt)이 제안한 이론 제약(TOC, Theory of Constraints)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 CPM(Critical Path Method) 대비 자원 제약 및 일정 여유 관리를 강조하는 실용적 프레임워크입니다.1. 개념 및 정의CCPM은 프로젝트 전체 일정 중 자원 충돌 및 과도한 버퍼 설정 등으로 인한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핵심 경로(Critical Chain)를 식별해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일정 관리 기법입..

Topic 14:01:27

OTT(Over-The-Top)

개요OTT(Over-The-Top)는 인터넷 기반 플랫폼을 통해 TV, 영화, 예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기존 방송 플랫폼(케이블, 위성, 지상파 등)을 '넘어서(over-the-top)' 시청자에게 다가가는 이 방식은 콘텐츠 소비 방식의 대전환을 이끌고 있으며, 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티빙 등 다양한 글로벌 및 로컬 사업자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OTT의 개념, 특징, 기술적 기반, 시장 동향 및 전략적 의미를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OTT는 '셋톱박스를 넘어서'라는 의미에서 시작된 용어로, 인터넷을 통해 영상 콘텐츠를 직접 송출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시간..

Topic 13:00:39

Holacracy(홀라크라시)

개요Holacracy(홀라크라시)는 전통적인 위계적 조직 구조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형 조직 운영 체계입니다. 구성원이 고정된 직책 대신 유연한 ‘역할(Role)’을 중심으로 자율적 의사결정과 실행을 수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미국의 브라이언 로버트슨(Brian Robertson)에 의해 정립된 이 프레임워크는 Zappos, Medium 등 혁신 기업들에서 도입되며 자율성과 민첩성을 중시하는 조직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Holacracy는 '홀라키(Holarchy)'와 '데모크라시(Democracy)'의 합성어로,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가진 시스템(Holarchy)을 기반으로 역할 중심의 자율 조직 운영을 구현합니다. 구성원은 역할을 수행하며, 명확한 규칙 아래 분산된 권한을 행..

Topic 11:54:58

TEAL 조직

개요TEAL 조직은 프레데릭 라루(Frédéric Laloux)의 저서 『Reinventing Organizations』에서 제안된 미래형 조직 모델로, 위계적 명령 체계를 넘어 자율성과 자기관리(Self-management), 전체성(Wholeness), 진화적 목적(Evolutionary Purpose)을 핵심 가치로 삼는 혁신적 조직 유형입니다. 기존의 전통적 조직 운영방식을 탈피하여, 구성원이 스스로 움직이며 공동의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방식으로 디지털 전환과 빠른 시장 변화에 적합한 조직 문화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TEAL은 라루가 제시한 조직 발전 단계 중 가장 진화된 단계로, 색깔로 조직 유형을 구분한 이론에서 유래했습니다. 빨강(권력 중심), 호박(계층 중심), 주황(성과 ..

Topic 10:54:01

GE Work-Out

개요GE Work-Out은 제너럴 일렉트릭(GE)이 1980년대 잭 웰치 회장 시절에 도입한 혁신적인 집단 문제 해결 프로그램입니다. 조직 내 복잡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실행 중심의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설계된 이 방법론은, 다양한 산업과 조직에서 실행력 강화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E Work-Out의 정의, 구성 요소, 실행 방식 및 효과를 전반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GE Work-Out은 일선 직원들이 리더십과 함께 모여 정해진 시간 안에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한 후, 즉석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고 실행으로 옮기는 구조화된 워크숍입니다. 계층을 뛰어넘은 의사소통, 빠른 의사결정, 실행 중심 문화 조성이 핵심입니다.핵심 목적:불필요한 업무/절차..

Topic 09:53:17

Hackathon(해커톤)

개요Hackathon(해커톤)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제한된 시간 내에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등이 팀을 이루어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실현하는 개발 중심의 경진 대회입니다. 해커톤은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 팀워크 강화, 프로토타입 제작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기업,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활발히 개최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해커톤은 통상 24시간에서 72시간 내외의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프로젝트 기반 이벤트입니다. 참가자는 팀을 구성하여 주어진 주제에 대해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기획·설계·개발해 발표하는 과정을 거칩니다.주요 목적:혁신적 솔루션 또는 MVP(최소기능제품..

Topic 08:52:32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개요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은 목표(Objective)를 설정하고, 그 목표 달성의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정량적으로 정의하여 실행과 성과를 일치시키는 목표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실리콘밸리의 주요 기업들(Google, Intel, LinkedIn 등)이 도입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이 방법론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전략 실행력과 조직 정렬을 강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OKR은 단순한 성과 관리 수단이 아닌, 조직 구성원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며 명확하고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측정 가능한 결과로 추적해 나가는 협업 중심의 운영 철학입니다.핵심 구성:Objective (목표): 도전적이고 영감을 주는 방향성 중심 문장Key..

Topic 07:50:54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개요CVC(Corporate Venture Capital)는 일반 벤처 캐피털(VC)과 달리, 대기업이 자사 전략과 연계하여 스타트업이나 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적 투자 방식입니다. 단순한 재무 수익뿐 아니라, 신사업 발굴, 기술 확보, 시장 선점 등 전략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최근 디지털 전환과 오픈 이노베이션의 확산과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CVC는 일반적으로 대기업이 직간접적으로 벤처 투자 전담 조직을 설립하거나 펀드를 운용하여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투자 행위를 넘어, 전략적 파트너십, 기술 제휴, M&A 등과 연결되는 기업의 미래 성장 전략의 핵심 축입니다.주요 목적:미래 성장동력 확보 및 시장 선점혁신 기술 및 인재 조기 ..

Topic 06:51:49

ITBM (IT Business Management)

개요ITBM(IT Business Management)은 IT 서비스를 단순한 기술 지원 수준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가치 창출의 핵심 요소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관리 체계입니다. IT 포트폴리오, 재무, 프로젝트, 리소스 등 다양한 IT 자원을 통합 관리하여 기업의 전략과 정렬하고, ROI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글에서는 ITBM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기반, 도입 효과 등을 전반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ITBM은 IT 서비스와 프로젝트, 재무, 전략 간의 연계를 통해 조직 전반의 IT 사용 현황과 가치를 시각화하고 최적화하는 통합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ITSM(IT 서비스 관리) 또는 DevOps 등과 병행하여 실행되며, IT 부서가 '비용 센터'가 아닌 '가치 중..

Topic 05:50:08

BizDevOps

개요BizDevOps는 Business(비즈니스), Development(개발), Operations(운영)의 협업을 통합하여, 조직 전체가 민첩하게 고객 중심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적 접근 방식입니다. 기존 DevOps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비즈니스 부문의 실시간 참여와 피드백을 개발 및 운영 과정에 반영하여 진정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합니다. 이 글에서는 BizDevOps의 정의, 특징, 구성, 기술 요소 및 실제 적용 방안까지 폭넓게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BizDevOps는 DevOps 문화에 비즈니스 의사결정 권한과 전략을 통합시킨 프레임워크로, 제품 및 서비스의 기획-개발-배포-운영 전 과정에 비즈니스, 개발, 운영 부서가 동시에 참여하는 협업 모델입니다...

Topic 04:49:17

Lean IT

개요Lean IT는 제조업에서 유래된 Lean(린) 철학을 정보기술(IT) 운영에 적용한 개념으로, 낭비 제거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IT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본 글에서는 Lean IT의 개념, 원칙, 구성 요소, 기술 요소 및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Lean IT는 '최소 자원으로 최대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IT 운영 방식'을 지향합니다. 이는 Lean Manufacturing의 5대 원칙을 IT 환경에 맞게 해석한 것으로, 조직 내 IT 자원의 낭비를 제거하고 지속 가능한 품질 향상을 추구합니다.주요 목적:IT 운영의 낭비 요소 제거고객 중심의 가치 전달 체계 구축업무 흐름 최적화 및 자동화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가치 중심 운영..

Topic 04:29:00

IT4IT (IT for IT)

개요IT4IT는 The Open Group에서 제안한 IT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참조 아키텍처입니다. 전체 IT 서비스 가치 사슬(Value Chain)을 중심으로 표준화된 프로세스, 데이터 모델, 기능 컴포넌트를 정의하여 기업의 IT 관리 체계를 디지털 비즈니스 중심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T4IT의 개념, 구조, 기술 요소 및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IT4IT는 "IT를 위한 IT"를 의미하며, IT 조직 자체의 운영과 서비스를 제품처럼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참조 아키텍처입니다. IT 서비스를 계획(Plan), 구축(Build), 운영(Run), 지원(Deliver)하는 전 과정의 흐름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주요..

Topic 03:28:14

ISO/IEC 33020

개요ISO/IEC 33020은 ISO/IEC 33000 시리즈 중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프로세스의 역량 수준(Capability Level)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본 표준은 평가자가 일관된 방식으로 프로세스 속성(Process Attributes)을 판단할 수 있도록 명확한 정의와 측정 기준을 제시합니다. 이 글에서는 ISO/IEC 33020의 목적, 평가 구조, 기술 요소 및 실제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33020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의 수행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를 6단계(Capability Level 0~5)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입니다. 각 수준은 명확한 수행 기준과 프로세..

Topic 02:27:22

ISO/IEC 33004

개요ISO/IEC 33004는 ISO/IEC 33000 시리즈 중 PRM(Process Reference Model)과 PAM(Process Assessment Model)의 개발 요구사항과 지침을 명확히 규정한 국제 표준입니다. 본 표준은 다양한 산업 도메인에서 통용 가능한 프로세스 평가 모델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글에서는 ISO/IEC 33004의 목적, 구조,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등을 심층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33004는 PRM과 PAM의 일관된 구조와 개발 방법을 정의하여, 다양한 평가 목적과 산업 도메인에 맞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표준입니다. 평가 모델 간 상호 운용성 확보와 국제 품질 기준 정렬을 주요 목적으로 합..

Topic 01:26:31

ISO/IEC 33003

개요ISO/IEC 33003은 ISO/IEC 33000 시리즈의 일환으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프로세스의 역량 수준(Capability Level)을 측정하기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를 정의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평가 모델(PAM)의 일관성과 비교 가능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도메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정량적 성숙도 평가 체계를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33003의 목적, 구성 요소, 기술 요소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33003은 프로세스 평가 모델(PAM)이 역량 수준(Capability Level)을 기반으로 일관성 있게 설계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공통 메타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프로세스 속성(Process Attribute..

Topic 00:25:4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