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opic 2355

루트킷(Rootkit)

개요루트킷(Rootkit)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에 침투하여 사용자와 보안 소프트웨어의 감시를 회피하고, 악의적인 활동을 은폐하는 고급 위협 기술입니다. 루트킷은 커널 수준에서 시스템을 조작하며, 백도어, 정보 탈취, 권한 상승 등 다양한 공격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탐지와 제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루트킷의 개념, 유형, 동작 방식, 탐지 및 대응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룹니다.1. 루트킷의 정의 및 목적루트킷은 ‘root(최고 권한)’ + ‘kit(도구)’의 합성어로, 공격자가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 후 자신의 존재와 악성 행위를 은폐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모음입니다. 루트킷은 커널 API 후킹, 파일 및 프로세스 숨김, 네트워크 트래픽 조작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보안 시스템과 사용자의..

Topic 2025.04.14

ReRAM / MRAM / STT-MRAM

개요ReRAM(Resistive RAM), MRAM(Magnetoresistive RAM), STT-MRAM(Spin-Transfer Torque MRAM)은 기존 DRAM과 NAND 플래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신개념 비휘발성 메모리(NVM) 기술입니다. 이들은 모두 데이터를 유지하면서도 빠른 속도, 낮은 전력 소모, 높은 내구성을 목표로 하며, AI 칩, 자동차, 모바일, 엣지 컴퓨팅, IoT 등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기술 정의 ReRAM저항 변화(RRAM)의 원리를 이용해 전도 상태와 비전도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메모리MRAM자기 터널 접합(MTJ)을 이용하여 자성 방향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STT-MRAMMRAM의 한 종류로, 전류 기반 스..

Topic 2025.04.13

Carbon Nanotube Transistor(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

개요Carbon Nanotube Transistor(CNT 트랜지스터)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채널 물질로 활용한 트랜지스터로, 기존 실리콘 트랜지스터보다 훨씬 작은 크기와 뛰어난 전기적 특성을 가진 차세대 나노 반도체 소자입니다. 전자 이동성이 매우 높고, 낮은 동작 전압, 높은 전류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미래 고성능/저전력 집적 회로 및 신경모사 컴퓨팅의 핵심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탄소나노튜브는 그래핀을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 1차원 탄소 구조체로, 금속성 또는 반도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지름 수 나노미터 수준의 고강도·고전도성 소재입니다.CNT 트랜지스터: CNT를 채널로 하고 게이트, 소스, 드레인을 구성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구조..

Topic 2025.04.13

Ion Trap Quantum Computing(이온 트랩 양자 컴퓨팅)

개요Ion Trap Quantum Computing(이온 트랩 기반 양자 컴퓨팅)은 전하를 띤 원자(이온)를 전기장으로 포획한 뒤, 레이저를 이용해 이온의 양자 상태를 조작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양자 컴퓨팅 아키텍처입니다. 이 기술은 다른 양자 하드웨어보다 높은 정밀도, 긴 코히런스 시간, 고신뢰 양자 게이트로 주목받고 있으며, IBM, Honeywell, IonQ 등 여러 기업과 연구기관이 활발히 개발 중입니다.1. 개념 및 정의이온 트랩 양자 컴퓨터는 진공 상태에서 특정 이온(예: Ca⁺, Yb⁺, Sr⁺ 등)을 **전기장으로 고정(트랩)**하고, 레이저를 통해 큐비트 상태(|0⟩, |1⟩)와 그 중첩 상태를 조작하여 연산을 수행합니다.이온: 양전하를 띠는 원자트랩: 전기장(파울리 트랩) 또는 자기장(..

Topic 2025.04.13

DORA (Digital Operational Resilience Act)

개요DORA(Digital Operational Resilience Act)는 유럽연합(EU)이 금융 부문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제정한 디지털 운영 복원력 강화 법안입니다. 2022년 12월 공식 발효되었으며, 2025년 1월 17일부터 적용 예정입니다. 이는 기존의 금융 규제체계에서 디지털 운영 리스크 관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라, 사이버 보안, ICT 사고 대응, 공급망 리스크 등 디지털 전반에 걸친 일관된 규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ORA는 은행, 보험사, 투자사, 핀테크, 클라우드 공급자 등 모든 금융 관련 ICT 서비스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통합된 디지털 운영 복원력 요건을 부과하는 규제입니다.목표: ICT 기반 사고 발생 시 금융 시스템의 연속성 보장..

Topic 2025.04.13

Runtime Application Self-Protection (RASP)

개요Runtime Application Self-Protection(RASP)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런타임 환경에서 자체적으로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기존의 WAF(Web Application Firewall)가 네트워크 경계에서 트래픽을 분석하는 방식이었다면, RASP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통합되어 코드 실행 흐름, 시스템 호출, 데이터 입력 등을 실시간 분석하고 보안 위협에 직접 반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DevSecOps 환경에서 실시간 방어와 위협 인텔리전스 통합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RASP는 애플리케이션 코드 내부 또는 런타임 라이브러리로 탑재되어, 입력 데이터, API 호출, 시스템 상호작용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위협을 식별하고 자동..

Topic 2025.04.13

Binary Transparency

개요Binary Transparency(바이너리 투명성)는 소프트웨어의 실행 파일(binary)에 대한 공개적이고 검증 가능한 배포 로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악성 코드 삽입, 백도어 추가 등 무단 변조를 방지하고 신뢰 가능한 소프트웨어 유통을 보장하는 보안 기술입니다. Certificate Transparency에서 착안된 개념으로, 공개 로그에 배포 이력을 기록하고 누구나 해당 이력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Binary Transparency는 소프트웨어 배포 시 생성된 실행 파일의 해시값 또는 서명을 투명한 로그 서버에 기록하고, 이를 누구나 검증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로그는 Merkle Tree 기반으로 구성되어 불변성, 투명성 확보사용자와 보안 연구..

Topic 2025.04.13

Distributed Tracing

개요Distributed Tracing(분산 추적)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 시스템에서 단일 요청이 여러 서비스와 인스턴스를 거쳐 수행되는 전체 경로를 추적하는 관측성 기술입니다. 이는 로그나 메트릭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성능 병목, 오류 발생 지점, 지연 구간 등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대표적인 도구로는 Jaeger와 Zipkin이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분산 추적은 트랜잭션 단위로 고유한 Trace ID를 부여하고, 요청이 흐르는 각 지점(Span)을 기록하여 전체 요청의 흐름을 트리 형태로 재구성합니다.Trace: 단일 사용자 요청 전체 흐름의 고유 IDSpan: 각 서비스 또는 함수 단위의 실행 구간 및 메타데이터Context Propagation: 다음 서비스로..

Topic 2025.04.13

Toggles

개요Toggles(토글)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기능을 켜고 끄는 방식으로 런타임 동작을 유연하게 제어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Feature Flags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개념으로 활용되며, 배포와 릴리즈를 분리하거나 특정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기능을 점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DevOps 및 Continuous Delivery 전략입니다. 토글은 단순한 조건문을 넘어,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Toggles는 코드 내 특정 기능이나 블록의 실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부 제어 구조 또는 설정값(key-value)**입니다. 일반적으로 환경 변수, 구성 파일,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관리 플랫폼을 통해 런타임에 ..

Topic 2025.04.13

Feature Flags

개요Feature Flags(피처 플래그, 또는 Feature Toggles)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코드 수준에서 동적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게 해주는 조건부 플래그 기법입니다. 배포와 릴리즈를 분리하고, 실험적 기능을 점진적으로 롤아웃하며, 사용자 그룹에 따라 동작을 달리할 수 있는 모던 소프트웨어 개발 및 DevOps 환경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Feature Flag는 코드 내 기능별 분기 조건을 추가하고, 해당 조건을 실행 시점에서 환경 설정 또는 외부 서비스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배포(Deploy)는 하지만 노출(Release)은 선택적으로 수행A/B 테스트, 단계적 롤아웃, 긴급 롤백 등 유연한 기능 관리 가능운영 중인 서비..

Topic 2025.04.13

Flame Graph

개요Flame Graph(플레임 그래프)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병목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형 함수 호출 트리의 시각화 도구입니다. 시스템 콜, 함수 호출, CPU 샘플링 데이터를 수집하여 호출 스택 구조를 '불꽃'처럼 시각화하며, 특정 함수 또는 경로가 얼마나 많은 리소스를 사용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로 대규모 시스템의 CPU 사용 분석, 코드 최적화, 병목 탐지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Flame Graph는 호출 스택의 샘플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스택을 계층형으로 시각화한 그래프입니다. 각 박스는 함수 호출을 의미하고, 박스의 너비는 특정 함수가 전체 실행 시간 중 차지한 비율을 나타냅니다.수평 방향: 시간 대비 누적 호출 빈도 (폭이 넓을수록 많이 호출됨)..

Topic 2025.04.13

Digital Services Act (DSA, EU)

개요Digital Services Act(DSA)는 유럽연합(EU)이 제정한 새로운 디지털 규제 법안으로, 온라인 플랫폼의 투명성, 책임성, 사용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 디지털 서비스 규제 프레임워크입니다. 기존 전자상거래 지침(E-Commerce Directive, 2000년 제정)을 대체하며, 특히 빅테크 기업의 시장지배력,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 유통, 허위정보, 불법 콘텐츠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2024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발효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SA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호스팅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 매우 규모가 큰 온라인 플랫폼(Very Large Online Platforms, VLOPs)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포괄하며, 다음과 같은 핵..

Topic 2025.04.12

AI Act(EU AI 규제안)

개요AI Act는 유럽연합(EU)이 제정한 세계 최초의 포괄적 인공지능 규제 법안으로, AI 시스템의 안전성과 기본권 보호를 보장하고, 혁신과 윤리적 사용 간 균형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입법안입니다. 2021년 초안 발표 이후, 2024년 통과되어 2025년부터 단계적 시행될 예정인 이 법은 **위험 기반 접근 방식(Risk-based Approach)**을 채택하여 AI 시스템을 위험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규제를 달리 적용하는 점이 핵심입니다.1. 개념 및 정의AI Act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개인의 권리, 안전, 민주주의 가치를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목적 중심·위험 중심’으로 AI 시스템을 정의하고 관리합니다.AI 정의: 머신러닝, 규칙 기반 시스템, 통계·베이지안 접근 등 광범..

Topic 2025.04.12

Digital Therapeutics(DTx)

개요Digital Therapeutics(DTx,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 예방, 관리,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용 소프트웨어 기반 치료 솔루션입니다. 기존의 약물 중심 치료와 달리, 스마트폰 앱, 웨어러블, 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환자의 행동을 개선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 디지털 기반의 처방 가능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만성 질환, 정신질환, 생활습관병 등에서 약물과 병행 또는 대체 치료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igital Therapeutics는 근거 기반의 치료 알고리즘을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으로, 의사의 처방 또는 환자의 자가관리 형태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건강관리 앱과는 달리 임상시험과 규제 승인을 거친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

Topic 2025.04.12

AR Cloud(증강현실 클라우드)

개요AR Cloud(증강현실 클라우드)는 현실 세계를 3D로 스캔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으로 저장하고, 이를 다양한 사용자와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공유 및 동기화할 수 있게 해주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서 위치 정합된 증강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공동 체험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산업용 XR, 공간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공간 컴퓨팅 기반 서비스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AR Cloud는 현실 공간의 **디지털 정밀지도(Spatial Map)**와 증강 콘텐츠를 클라우드에 저장·공유하여, 위치 기반 증강현실 경험을 정합성 있게 구현하는 기술입니다.실시간 공간 인식 + 클라우드 위치 정보 + 멀티 디바이스 콘텐츠 동기화기존 A..

Topic 2025.04.12

Holographic Telepresence(홀로그램 원격현존)

개요Holographic Telepresence(홀로그램 원격현존)는 3D 홀로그램 기술과 실시간 통신 기술을 결합하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을 실시간 입체 영상으로 가상 공간 또는 현실 공간에 재현하는 차세대 원격 커뮤니케이션 기술입니다. 단순한 영상통화를 넘어, **실시간 존재감(telepresence)**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회의, 교육, 의료, 공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존재감을 공간의 제약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1. 개념 및 정의홀로그램 원격현존은 고해상도 3D 센서, 광학 투사 기술, 실시간 렌더링, 네트워크 스트리밍 등을 기반으로 하여, 원격지의 사람 또는 객체를 실시간 3D 입체 영상으로 나타내는 기술입니다.2D 영상회의: 평면 화면으로 사람을 전달XR 회의: 가상 ..

Topic 2025.04.12

Neuro Interface VR(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VR)

개요Neuro Interface VR(BCI VR,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가상현실)은 인간의 뇌파를 분석하여 VR 환경 속 오브젝트, 캐릭터, 인터페이스 등을 '생각'만으로 조작하거나 반응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융합 시스템입니다. 이 기술은 전통적인 손 컨트롤러나 시선 기반 UI를 넘어, 의식·무의식적인 뇌 활동을 인터랙션의 중심으로 삼아 완전히 새로운 몰입형 경험을 제공합니다. 의료 재활, 게임, 교육, 원격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응용이 기대됩니다.1. 개념 및 정의Neuro Interface VR은 BCI(Brain-Computer Interface)와 VR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뇌파(EEG), 근전도(EMG),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 감정, 주의력 등을 실시간 분석하..

Topic 2025.04.12

Mixed Reality Collaboration(MR 협업)

Mixed Reality Collaboration(MR 협업)은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결합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기술을 기반으로 공간을 공유하지 않아도 마치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협업 방식입니다. 특히 원격 근무, 설계/제조 협업, 의료 훈련,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존 화상회의보다 높은 몰입도와 효율성을 제공하는 미래형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MR 협업은 현실 세계와 가상 객체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공간에서, 여러 사용자가 함께 작업, 회의, 교육,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의 장점을 융합하여, 현실과 가상이 동등하게 존재하는 공간을 기반으로 협업을 ..

Topic 2025.04.12

Digital Human(가상 휴먼)

개요Digital Human(가상 휴먼)은 인공지능, 3D 모델링, 음성 합성, 딥페이크 기술 등을 기반으로 현실의 인간을 가상 환경에서 정밀하게 재현한 디지털 인격체입니다. 단순한 그래픽 캐릭터를 넘어서, 실제 사람처럼 표정, 음성, 행동, 감정 반응까지 구현되며, 광고,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고객 상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가상 휴먼은 인공지능과 실감 기술을 융합하여 만들어진, 디지털 세계에서 활동 가능한 사람의 아바타 혹은 디지털 복제체입니다. 이들은 완전 가상 생성형(Virtual Native) 또는 실제 인물 기반 재현형(Reconstructed Human)으로 나뉘며, 다음과 같은 기술이 결합됩니다:3D/4D 실사 모델링 (얼굴, 신체, 움직..

Topic 2025.04.11

SMP vs MPP (Shared Memory vs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개요SMP(Shared Memory Processing)와 MPP(Massively Parallel Processing)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대표적인 병렬 아키텍처 모델입니다. 둘 다 병렬 처리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지만, 메모리 접근 방식, 확장성, 처리 효율성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사용 사례가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SMP와 MPP의 개념, 구성, 차이점 및 실제 활용 분야를 비교 분석합니다.1. 개념 및 정의SMP (Shared Memory Processing): 여러 CPU가 하나의 공유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고 처리하는 방식MPP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각 프로세서가 독립된 메모리를 가지며, ..

Topic 2025.04.11

Quantum Internet(양자 인터넷)

개요Quantum Internet(양자 인터넷)은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양자 중첩(Quantum Superposition), 양자 키 분배(QKD)와 같은 양자역학 원리를 활용하여 절대적인 보안성과 새로운 형태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현재의 인터넷이 디지털 정보의 빠른 전송에 중점을 둔다면, 양자 인터넷은 정보의 보안, 계산 분산, 그리고 실시간 양자 컴퓨팅 연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이끌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양자 인터넷은 기존 광섬유 기반 통신망에 양자 상태(큐비트)를 전송하여, 양자 얽힘 기반 통신 및 양자 키 교환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입니다. 핵심 기술은 다음과..

Topic 2025.04.11

6G AI-Driven Networking(6G와 AI 융합 네트워크)

개요6G AI-Driven Networking은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6G 네트워크와 인공지능(AI)을 융합하여 네트워크의 자동화, 최적화,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개념입니다.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6G는 기존 5G보다 10~100배 빠른 속도와 1ms 이하의 초저지연, 수백억 개의 기기 연결을 지원하며, 여기에 AI가 결합될 경우, 지능형 네트워크 운영과 실시간 예측/적응이 가능한 초자동화 인프라가 구현됩니다.1. 개념 및 정의6G는 5G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초신뢰를 구현하는 미래 통신 인프라입니다. 여기에 AI를 융합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이 실현됩니다:자율 네트워크 관리: AI 기반의 네트워크 상태 예측 및 자가 치유(Self-healing)지능형 트래픽 제어: ..

Topic 2025.04.11

Metaverse for Business(기업형 메타버스)

개요Metaverse for Business(기업형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반의 3D 디지털 공간을 통해 기업의 업무, 회의, 교육, 브랜딩, 제품 시연 등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및 기술 생태계를 말합니다. 코로나19 이후 원격 근무와 디지털 협업이 보편화되면서, 메타버스는 단순한 게임·엔터테인먼트를 넘어 비즈니스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기업형 메타버스는 실제 기업 활동을 가상 공간에서 구현하거나 증강하는 방식으로, 다음의 형태로 구분됩니다:Virtual Office: 3D 가상 사무실에서 화상회의, 공동 작업 진행Digital Twin + Collaboration: 실제 사무 환경/제품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시뮬레이션Meta..

Topic 2025.04.11

Domain-Specific Architecture(DSA)

개요Domain-Specific Architecture(DSA)는 특정 응용 분야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의미합니다. 범용 프로세서(General-Purpose Processor)와 달리, DSA는 특정 알고리즘이나 워크로드에 특화된 구조를 갖추고 있어 성능, 에너지 효율, 처리 속도 측면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머신러닝, 이미지 처리, 블록체인, 생명정보학 등 다양한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DSA는 도메인 특화형 컴퓨팅이라는 의미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계산 집약적 작업에 맞춰 설계된 맞춤형 처리 장치 또는 시스템 아키텍처입니다. 주요 목적은 범용 CPU나 GPU보다 더 높은 효율을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예: AI용..

Topic 2025.04.11

악성코드 프로파일링(Malware Profiling)

개요악성코드 프로파일링은 악성코드의 정적·동적 속성, 행위 패턴, 공격 방식 등을 분석하여 위협 유형을 식별하고, 위협 그룹이나 공격 캠페인과 연계할 수 있는 고급 보안 분석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 조직은 탐지 정확도를 높이고, 사후 대응 속도 및 위협 추적 능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악성코드 프로파일링은 단순 탐지를 넘어, 악성코드의 전반적 속성(해시, 공격 행위, 통신 방식 등)을 정량화·구조화하여, 유사 군집 분류 및 위협 그룹 맵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 활동입니다. Threat Intelligence의 핵심 자료로 활용되며, 보안 관제, 대응 체계, 침해사고 분석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됩니다.2. 분석 항목 및 구성 요소 항목 설명 예시 악성코드 유형(Malware Typ..

Topic 2025.04.10

Autonomous Drone Delivery(자율 드론 배송)

개요Autonomous Drone Delivery(자율 드론 배송)는 **무인 항공기(UAV, 드론)**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물류 물품을 수송하고 배송하는 기술입니다. GPS, 센서,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반 제어 시스템 등이 통합되어, 소형 소포부터 의약품, 음식까지 빠르고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심, 산간, 긴급 구조 현장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효율성과 시간 절약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자율 드론 배송은 드론이 사전 계획된 경로 또는 실시간 최적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이륙, 비행, 착륙, 물품 투하 또는 전달까지 수행하는 무인 시스템입니다.핵심 구성: 자율 비행 + 위치 추적 + 물품 적재/하역 시스템 + 통신 제어중앙제어형(Centralized) ..

Topic 2025.04.10

Swarm Robotics(스웜 로보틱스)

개요Swarm Robotics(스웜 로보틱스)는 개별적으로는 단순한 로봇들이 다수 협력하여 **집단 지능(Swarm Intelligence)**을 발휘하며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시스템입니다. 개미, 꿀벌, 새 떼 등 자연계의 생물 군집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된 이 기술은 자율성, 확장성, 견고성 측면에서 뛰어나며, 군사, 농업, 환경 모니터링, 구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분산형 로봇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스웜 로보틱스는 다수의 소형 로봇이 로컬 통신과 간단한 규칙 기반 행동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전체 시스템으로서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입니다. 각각의 로봇은 중앙 통제가 아닌 **분산 제어(Decentralized Control)**에 기반하여 동작하며, 전체 군집이..

Topic 2025.04.10

Soft Robotics(소프트 로보틱스)

개요Soft Robotics(소프트 로보틱스)는 전통적인 강체(Rigid Body) 구조의 로봇과 달리, 유연한 재질과 구조를 활용하여 섬세하고 적응력 있는 동작을 구현하는 차세대 로봇 공학 분야입니다. 생체 모사(bio-inspired)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생명체처럼 안전하고 유연하게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 식품 가공,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소프트 로보틱스는 실리콘, 고무, 형상기억합금(SMA), 유체 구동체 등 유연한 재료를 기반으로 한 로봇 설계 및 제어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비정형 환경에서도 적응적 움직임이 가능하며, 기존 강체 기반 로봇이 수행하기 어려운 섬세한 작업에 특히 효과적입니다.대표적 생체 모사 사례: 문어 팔, ..

Topic 2025.04.10

Robotics(로보틱스)

개요로보틱스(Robotics)는 로봇의 설계, 제작, 제어, 운용 및 응용에 관한 학문과 기술의 총체로,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인공지능 등 여러 기술이 융합된 첨단 융합 분야입니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모방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 개발이 핵심입니다. 제조 산업은 물론, 의료, 물류, 국방, 서비스 산업 전반에서 로보틱스 기술의 활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로보틱스는 센서, 액추에이터, 제어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 **물리적 에이전트(로봇)**가 사람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자율적 또는 반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로봇의 3대 요소: 감지(Sensing), 사고(Thinking)..

Topic 2025.04.10

ROS 2(Robot Operating System 2)

개요ROS 2(Robot Operating System 2)는 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로, 기존 ROS 1의 한계를 극복하고 산업용, 실시간, 분산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차세대 로봇 운영체제입니다. 자율주행, 드론, 협동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의 표준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ROS 2는 로봇 제어에 필요한 기능(통신, 센서 인터페이스, 제어 명령, 시뮬레이션 등)을 모듈화된 노드 기반 구조로 제공하며, DDS(Data Distribution Service)를 기반으로 한 퍼블리셔-서브스크라이버 통신 모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OS 1의 확장판이자 재설계된 아키텍처RTOS(Real-Time ..

Topic 2025.04.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