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opic 2586

Apache HBase

개요Apache HBase는 Hadoop 생태계의 일부로,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위에 구축된 오픈소스 NoSQL 데이터베이스이다.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고 쓰기 위한 분산형 컬럼 지향(column-oriented) 스토리지로, Google의 Bigtable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 및 IoT, 로그 분석 등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데이터 모델키-값(Key-Value) 기반의 컬럼 패밀리(Column Family) 구조RDBMS는 Row 기반 구조저장 방식HDFS 위에 데이터 분산 저장단일 노드 대비 확장성 우수접근 방식API 또는 REST, Thrift 인터페이스..

Topic 2025.11.16

RACI 매트릭스 (RACI Matrix)

개요RACI 매트릭스는 **Responsible(책임자), Accountable(최종 책임자), Consulted(자문자), Informed(통보 대상자)**의 약자로, 프로젝트나 조직 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각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매트릭스는 협업 환경에서 책임 중복이나 누락을 방지하고, 의사결정 및 보고 체계를 효율화하는 핵심 관리 도구이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의미 설명 Responsible (R)수행자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Accountable (A)최종 책임자결과에 대한 최종 승인 및 책임Consulted (C)자문자의견 제공 및 검토 역할 수행Informed (I)통보 대상자진행 상황 및 결과를 전달받는 사람RACI는 업무 수행의 4가지 핵심 역할..

Topic 2025.11.15

픽스내핑 (Pixnapping)

개요픽스내핑(Pixnapping)은 디지털 그래픽 및 UI 디자인 환경에서 픽셀 단위의 정밀한 위치 인식과 자동 정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는 그래픽 요소, 도형, 텍스트, 아이콘 등이 서로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여, 픽셀 레벨의 정교한 시각적 완성도를 구현한다. UI/UX 디자인, 게임 엔진, CAD,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시각 디자인 도구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된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디지털 공간 내 픽셀 좌표를 기준으로 객체를 자동 정렬(Snap)하는 기능벡터 기반 정렬보다 세밀한 조정 가능목적시각적 왜곡 최소화 및 디자인 정밀도 향상UI 일관성 및 레이아웃 안정성 확보필요성고해상도(HiDPI) 환경에서 정확한 그래픽 배치 요구디자인 툴 및 프론트엔드 필수 기술2. 특징..

Topic 2025.11.14

Pravega

개요Pravega는 Dell Technologies(EMC)와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공동 개발한 스트리밍 데이터 저장소 및 처리 플랫폼이다. Apache Kafka와 유사하지만, 장기 저장(Persistent Storage)과 스트림 재생 기능을 통합하여 데이터 스트리밍과 스토리지의 경계를 허무는 차세대 스트림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실시간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 처리, 재생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Kafka + Object Storage 통합 구조목적데이터 파이프라인의 단순화 및 통합메시징 + 스토리지 일원화필요성장기 보관이 필요한 스트리밍 워크로드 증가IoT, 금융 거래, AI 학습 데이터2. 특징특징설명비교Durable Stream Storage데이터를 장기..

Topic 2025.11.14

Kafka Connect

개요Kafka Connect는 Apache Kafka의 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로, 외부 시스템과 Kafka 간의 데이터 이동을 자동화한다. 코드 작성 없이 표준화된 커넥터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메시징 큐, 파일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과 Kafka를 연동할 수 있다. 대규모 데이터 스트리밍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구성 요소로, 실시간 데이터 통합(ETL)을 간소화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afka와 외부 시스템 간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는 표준 프레임워크Flume, NiFi 대비 단순하고 확장성 높음목적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자동화대규모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구성필요성다양한 소스/싱크 시스템 간 통합 자동화실시간 분석 및 로그 처리 환경 필수2. 특징특징설명비교표준화된 커..

Topic 2025.11.13

Apache SeaTunnel

개요Apache SeaTunnel(이전명 Waterdrop)은 대규모 데이터 통합(Data Integration) 및 실시간 스트리밍 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싱크(Sink)를 연결하여 배치 및 스트리밍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Spark, Flink 등 분산 처리 엔진 위에서 동작합니다. 단순한 설정 기반으로 복잡한 ETL(Extract, Transform, Load)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어 클라우드 및 데이터레이크 환경에서 폭넓게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정의실시간 및 배치 데이터 통합을 위한 오픈소스 데이터 파이프라인 플랫폼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목적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Topic 2025.11.12

Kafka Streams

개요Kafka Streams는 Apache Kafka에서 제공하는 스트림 프로세싱 라이브러리로, 실시간 데이터 파이프라인 및 이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분산 스트림 프로세싱 프레임워크를 직접 구축할 필요 없이, 단일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고성능의 데이터 변환, 집계, 윈도우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afka 토픽에서 데이터를 읽고, 실시간으로 처리 후 다시 토픽으로 내보내는 라이브러리Apache Flink, Spark Streaming 대비 경량목적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이벤트 처리마이크로서비스 통합 용이필요성대규모 스트리밍 데이터의 저지연 처리로그, IoT, 금융 트랜잭션 등2. 특징특징설명비교경량 구조Kafka 클라이언트 라이브..

Topic 2025.11.12

KRaft (Kafka Raft Metadata Mode)

개요KRaft(Kafka Raft Metadata mode)는 Apache Kafka의 기존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인 ZooKeeper를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클러스터 관리 메커니즘이다. KRaft는 Raft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Kafka 내부에서 직접 메타데이터를 관리하여 운영 복잡성을 줄이고 일관성과 복원력을 향상시킨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Raft 합의 알고리즘 기반 Kafka 내부 메타데이터 관리 방식기존 ZooKeeper 기반 메타데이터 관리 대체목적ZooKeeper 제거 및 Kafka 클러스터의 단순화외부 의존성 제거필요성대규모 Kafka 클러스터의 관리 복잡성 감소운영 효율성 향상2. 특징특징설명비교ZooKeeper 제거Kafka 내부적으로 메타데이터 관리 ..

Topic 2025.11.11

Sloth (SLO-as-Code)

개요Sloth는 SRE 관점에서 서비스 수준 목표(SLO, Service Level Objective)를 선언적으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모니터링 규칙과 알림 정책을 생성하는 오픈소스 도구이다. Prometheus 및 Grafana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과 통합되어, SLO 관리를 코드 기반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SLO-as-Code 접근 방식을 실현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SLO를 YAML 또는 JSON 형식으로 정의하여 자동화하는 시스템수동 설정 기반 SLO 관리 대체목적신뢰성 목표를 코드로 관리하여 지속적인 품질 유지CI/CD 및 GitOps와 통합필요성서비스 복잡성 증가에 따른 SLO 관리 자동화대규모 SRE 환경 필수2. 특징특징설명비교SLO-as-CodeSLO를 선언적 구성..

Topic 2025.11.10

bpftrace

개요bpftrace는 Linux 커널에 내장된 eBPF 기술을 활용해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커널 이벤트를 추적하는 고급 성능 분석 도구이다. 간결한 스크립트 문법으로 다양한 커널 프로브(kprobe, tracepoint, uprobe 등)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병목 지점을 탐지하고 디버깅을 자동화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eBPF를 활용한 커널 및 유저 레벨 이벤트 추적 도구perf, strace보다 유연함목적실시간 시스템 동작 분석 및 병목 지점 탐지커널 모듈 없이 동작필요성대규모 서버 환경에서 경량 모니터링 필요고부하 환경에서도 안정적2. 특징특징설명비교고수준 스크립팅 언어C 유사 문법으로 동적 트레이싱 스크립트 작성BCC보다 간결한 문법eB..

Topic 2025.11.09

Buck2

개요Buck2는 Meta(구 Facebook)가 개발한 고성능, 확장 가능한 오픈소스 빌드 시스템으로, 기존 Buck의 한계를 개선한 차세대 빌드 엔진이다. Bazel 및 Pants와 같은 현대적 빌드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더 유연한 스크립팅 구조(Starlark 기반)**와 캐싱 및 병렬화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대규모 코드베이스 빌드에 최적화되어 있다.1. 개념 및 정의Buck2는 “Build Anything, Anywhere, Fast”라는 목표 아래 설계된 분산 빌드 시스템으로, 단일 프로젝트뿐 아니라 모노리포(monorepo) 환경에서도 수천 개의 타깃을 동시에 빌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기존 Buck과 달리, Buck2는 빌드 규칙(Rule)과 빌드 로직(Build Logic)을 완전히 분리..

Topic 2025.11.08

Bottlerocket OS

개요Bottlerocket OS는 Amazon Web Services(AWS)가 개발한 오픈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컨테이너 기반 워크로드 실행을 위해 설계된 경량 불변 운영체제이다. 기존 범용 리눅스 시스템보다 보안성, 일관성, 자동화를 강화하여 Kubernetes 및 ECS 환경에서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컨테이너 전용 불변(Immutable) 리눅스 OS일반 리눅스와 달리 패키지 설치 불가목적보안 강화 및 운영 자동화컨테이너 환경에 최적화필요성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에서의 일관성 확보DevOps 및 CI/CD 환경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불변 구조OS를 읽기 전용으로 유지수동 설정 불필요컨테이너 중심Kubernetes, ECS 최적화범용 OS보다 효율적..

Topic 2025.11.08

Talos Linux

개요Talos Linux는 Kubernetes를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중심 운영체제(OS)이다. 전통적인 Linux 배포판과 달리 Shell, SSH, 패키지 매니저가 제거된 완전 불변(Immutable) 구조를 가지며, 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을 자동화하고 표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ubernetes 전용 불변 인프라 운영체제일반 Linux(예: Ubuntu, CentOS) 대비 클라우드 네이티브 특화목적보안 강화 및 운영 자동화수동 관리 최소화필요성클라우드 인프라의 일관성과 재현성 확보DevOps 및 GitOps 환경 필수 요소2. 특징특징설명비교불변(Immutable) 구조OS 파일 시스템 수정 불가설정 변경 ..

Topic 2025.11.07

GENEVE (Generic Network Virtualization Encapsulation)

개요GENEVE(Generic Network Virtualization Encapsulation)는 다양한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VXLAN, NVGRE, STT 등)의 장점을 통합하고,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차세대 네트워크 캡슐화 프로토콜이다. IETF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 간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네트워크 가상화 트래픽을 캡슐화하여 L2 프레임을 L3 네트워크로 전송VXLAN, NVGRE의 통합 진화형목적가상화 환경의 유연성과 상호운용성 확보SDN/NFV 인프라 최적화필요성멀티벤더 환경에서의 호환성과 확장성 확보클라우드 네트워크 표준화2. 특징특징설명비교유연한 옵션 필드가변 길이 메타데이터 지원VXLAN은..

Topic 2025.11.06

PIM-SSM (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 - Source Specific Multicast)

개요PIM-SS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 - Source Specific Multicast)은 송신자(Source)와 수신자(Receiver)가 명확하게 정의된 단방향 멀티캐스트 모델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기존 PIM-SM의 복잡성을 줄이고, 단일 소스 기반 스트림 전송에 최적화되어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송신자와 수신자 간 고정된 멀티캐스트 경로 설정PIM-SM은 공유 트리 기반 구조목적단일 송신자 중심의 효율적 데이터 분배복잡한 RP 구조 제거필요성대규모 스트리밍 및 실시간 전송의 단순화CDN, IPTV, 금융 데이터 방송 등2. 특징특징설명비교Source Specific수신자가..

Topic 2025.11.05

TI-LFA (Topology-Independent Loop-Free Alternate)

개요Topology-Independent Loop-Free Alternate(TI-LFA)는 Segment Routing(SR) 기반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때, 미리 계산된 대체 경로를 통해 즉각적인 트래픽 복구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 LFA(Loop-Free Alternate)의 한계를 극복하며, 완전한 토폴로지 독립성과 신속한 장애 복구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네트워크 장애 시 루프 없는 백업 경로를 즉시 사용하여 트래픽 복구기존 LFA 대비 더 넓은 보호 범위목적빠른 장애 복구 및 트래픽 손실 최소화실시간 네트워크 복원력 강화필요성복잡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도 신속한 Failover 보장대규모 SR/MPLS 네트워크 필수2. 특징특징설명비교토폴로지 독립..

Topic 2025.11.04

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 (IRSA)

개요IAM Roles for Service Accounts(IRSA)는 클라우드 환경, 특히 Kubernetes(EKS)에서 Pod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IAM 역할을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인증 방식이다. 이는 서비스 계정(Service Account)에 IAM 역할(Role)을 직접 매핑하여 장기 키를 제거하고, 보안성을 강화한 인증 체계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Kubernetes 서비스 계정과 IAM 역할을 연동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 제어기존 Access Key 기반 인증 대체목적자격 증명(Key) 노출 없는 안전한 인증보안성 및 운영 효율성 강화필요성컨테이너 및 마이크로서비스 확산에 따른 보안 관리 자동화DevOps 환경 필수 구성2. 특징특징설명비교키리스(Key..

Topic 2025.11.03

Workload Identity Federation (WIF)

개요Workload Identity Federation(WIF)은 외부 시스템(온프레미스, 멀티클라우드 등)의 워크로드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접근할 때, 장기 자격 증명(예: 서비스 계정 키)을 사용하지 않고 ID 제공자(IdP)를 통해 보안적으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는 클라우드 보안 및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외부 워크로드가 신뢰할 수 있는 ID 제공자 기반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기존 서비스 계정 키 기반 인증 대체목적키리스(Keyless) 환경 구축 및 보안성 강화비밀 키 노출 위험 제거필요성멀티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인프라 확산크로스 플랫폼 인증 요구 증가2. 특징특징설명비교키리스 인증서비스 계정 키 없이 ID 토큰 기반 인증장기 키 불필요동적..

Topic 2025.11.02

Remote Browser Isolation (RBI)

개요Remote Browser Isolation(RBI)는 사용자의 브라우저 세션을 로컬 환경이 아닌 원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에서 실행하고, 그 결과(렌더링된 화면)만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안 기술이다. 이를 통해 악성 웹사이트로부터의 감염, 피싱, 제로데이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웹 콘텐츠를 원격 환경에서 격리하여 실행하는 보안 기술로컬 브라우징 대비 높은 보안성목적악성코드, 스크립트, 피싱 링크 등으로부터 사용자 보호클라이언트 무결성 유지필요성제로데이 및 공급망 공격 급증기존 AV/Proxy 한계 보완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격리웹 콘텐츠가 사용자 장치에 직접 도달하지 않음Sandbox보다 강력한 보호스트리밍 방식렌더링된 이미지/픽셀 정보만 전..

Topic 2025.11.01

Customer-Managed Keys (CMEK)

개요Customer-Managed Keys(CMEK)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제공하는 기본 암호화 키 대신,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접근 통제와 보안 수준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주권 강화, 규제 준수, 보안 감사 대응을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 및 제어하는 클라우드 보안 모델Provider-Managed Key와 대비목적데이터 보호의 통제권을 고객에게 부여보안 책임 분담 모델 강화필요성기업의 데이터 주권 및 규제 준수 요구 증가금융, 공공, 의료 분야 중심2. 특징특징설명비교완전한 키 통제권사용자가 직접 키 생성·회전·폐기 가능CSP 내부 접근 제한클라우드 통합 지원주..

Topic 2025.11.01

External Key Manager (EKM)

개요External Key Manager(EKM)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외부 시스템에서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아닌 조직이 자체적으로 암호 키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과 규제 준수를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클라우드 외부에서 암호화 키를 관리하는 시스템클라우드 내부 KMS(Key Management Service)와 대비목적데이터 암호화 키의 완전한 통제권 확보보안 및 규제 대응 강화필요성클라우드 보안 위협 증가 및 데이터 주권 요구GDPR, HIPAA 등 규제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외부 관리형 키클라우드 외부에서 키를 생성·보관클라우드 벤더 접근..

Topic 2025.10.31

Key Management Interoperability Protocol (KMIP)

개요KMIP(Key Management Interoperability Protocol)는 서로 다른 시스템과 보안 장비 간 암호 키의 관리, 교환, 저장을 표준화하기 위해 개발된 OASIS(Open Standards) 기반 프로토콜이다. 데이터 암호화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키 관리의 효율성과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암호 키 관리 기능을 표준화한 상호운용 프로토콜개별 벤더별 독자 API 방식의 대안목적이기종 시스템 간 키 관리 호환성 확보데이터 보안 아키텍처 표준화필요성클라우드, HSM, 암호화 솔루션 간 키 연동 요구 증가보안 규제 대응 (FIPS, GDPR 등)2. 특징특징설명비교표준 기반OASIS에서 관리하는 공개 표준폐쇄형..

Topic 2025.10.31

WireGuard (WG)

개요WireGuard(WG)는 단순함과 보안성을 핵심으로 하는 차세대 VPN 프로토콜이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기존 VPN 프로토콜(OpenVPN, IPSec)에 비해 경량화되어 높은 성능과 빠른 연결 속도를 제공한다. Linux 커널에 통합될 만큼 안정성과 효율성을 인정받았으며, 현재는 다양한 OS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최신 암호 기술을 이용해 경량화된 VPN 터널링 프로토콜IPSec, OpenVPN 대비 단순화목적안전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통신 제공복잡한 설정 제거필요성재택근무, 클라우드 보안, IoT 등 경량 보안 통신 수요 증가기존 VPN의 복잡성과 속도 한계 극복2. 특징특징설명비교경량화코드베이스 약 4,000줄로 단순하고 빠름Ope..

Topic 2025.10.31

Certificate Transparency (CT)

개요Certificate Transparency(CT)는 잘못 발급된 인증서나 악의적 인증서를 탐지하기 위해 공개 로그를 기반으로 한 인증서 투명성 관리 체계이다. Google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CT는 모든 SSL/TLS 인증서의 발급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인증서 인프라(PKI)의 감시와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SSL/TLS 인증서 발급 내역을 공개 로그에 기록하는 시스템전통적 PKI는 중앙집중 검증목적잘못 발급된 인증서 탐지 및 투명성 확보신뢰 체계 강화필요성인증서 위조·오발급 사건 증가DigiNotar, Symantec 사례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공개 로그 기반모든 인증서 발급 내역을 전 세계적으로 검증 가능중앙 기관 검증 대비 신..

Topic 2025.10.30

External Attack Surface Management (EASM)

개요External Attack Surface Management(EASM)은 조직의 디지털 자산 중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공격 표면)을 지속적으로 탐지하고 관리하여 사이버 위협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접근 방식이다. 이는 공격자의 시각에서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하여 침입 가능성을 줄이고,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합해 조직의 보안 태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교 개념외부 네트워크 상의 공격 표면을 탐지 및 모니터링하는 보안 관리 방식내부 자산 중심 ASM과 대비목적알려지지 않은 자산 식별 및 위협 사전 차단선제적 보안 강화필요성클라우드, SaaS 확산으로 인한 외부 노출 영역 증가경계 없는 보안 환경 대응2. 특징특징설명비교공격자 관점의 분석공격자가 식..

Topic 2025.10.30

Micro Frontends (MFE)

개요Micro Frontends(MFE)는 단일 대규모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고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리하여 개발, 배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이는 백엔드의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개념을 프론트엔드 영역에 적용한 것으로, 대규모 조직의 협업과 기능 확장을 효율적으로 지원한다.1. 개념 및 정의항목내용비교개념프론트엔드를 여러 개의 독립된 모듈(Micro App)로 구성Monolithic 구조의 반대목적독립적 배포, 팀 단위 개발, 유지보수 효율성 향상CI/CD 자동화와 잘 결합필요성프론트엔드 규모 증가로 인한 복잡성 관리 필요대규모 SPA 관리 한계2. 특징특징설명비교독립 배포성각 MFE는 자체적으로 빌드 및 배포 가능Monolith는 전체 ..

Topic 2025.10.30

Object-Centric Process Mining (OCPM)

개요Object-Centric Process Mining (OCPM)은 한 개의 프로세가 아닌, 여러 개의 물체(Object)가 각각의 사건을 가지고 연관되어 있는 곳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통계적으로 보고하는 개발적 현대 프로세스 마이닝 방식이다. 이 모델은 전형 프로세 데이터에서 모여지지 못한 간계관계를 감추하여 시스템적 개선과 문서화를 가지고자 하는 조직에 필요한 디지털 과정 보고서를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개념물체(Object)가 프로세의 관계점이되는 중심 구조전형 프로세 마이닝은 사건 기반목적복잡한 비정형 프로세의 관계를 개선관계 중심 분석을 통한 보고성 개선필요성여러 물체가 같은 이벤트에 연관되는 관계 보고복잡한 대작적 사항에 필요2. 특징특징설명비교복잡한 데이터 ..

Topic 2025.10.30

Case Management Model & Notation (CMMN)

개요CMMN(Case Management Model and Notation)은 비정형 이벤트 중심의 업무 과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국제 표준형 모델이다. BPMN이 정형적 절차적 프로세스를 보조하는 데 비해, CMMN은 사례 가정에 따라 결정이 변해지는 디어로이게 구조적인 형태를 지원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개념사례 개발 및 관리 모델을 통해 비정형 업무 관리BPMN은 정형 과정을 지원필요성비정형 동작을 보유하는 사례 중심 업무에 필요건강과 건강, 재생 연구에 적용목적사례 관리을 시스템화해 결정 과정의 수준을 개선비전\uubb38가 모두가 편이 이해할 수 있게 표준화2. 특징특징설명비교사례 중심 구조이벤트 가정에 따른 동적적 개발BPMN은 절차 중심자유도 높은 모델결정이 사용자에의해 실..

Topic 2025.10.29

Decision Model & Notation (DMN)

개요Decision Model & Notation (DMN)은 결정 모델을 개발, 구조화,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BPMN 구조가 보조되는 것)이다. DMN은 조직이 의정 과정을 개발자와 비기술 전문가 모두가 합류되게 하며, 결정 기준을 보안하고 개선할 수 있는 그룹별 스타벅을 제공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비고 개념의정 모델과 표기를 통해 결정 방식을 구조화BPMN의 결정 행동을 보조필요성개발과 개선 과정을 간이고 스타벅화조직 간 결정 일괄성 구현목적결정의 개발과 관리의 표준화결정 보안성 개선2. 특징특징설명비교결정 모델 결정 판개발자와 비전\uubb38가 간 소협을 원화BPMN은 절차 중심, DMN은 결정 중심FEEL(Friendly Enough Expression Language)간단..

Topic 2025.10.29

MVP(Minimum Viable Product)

개요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핵심 기능만을 구현하여 최소한의 자원으로 빠르게 시장에 출시하고, 고객 피드백을 통해 제품의 방향성과 개선점을 검증하는 전략입니다. 스타트업, 신사업,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서 널리 활용되며, Lean Startup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고객이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제품 또는 프로토타입프로토타이핑보다 실사용 가능성이 높음목적빠른 시장 진입과 피드백 수집을 통한 제품 개선리스크 최소화 전략적용 분야스타트업, 서비스 기획, SaaS, 모바일 앱 등B2B, B2C 모두 가능2. 특징항목설명비고빠른 실행최소 기능만으로 출시하여 개발 기간 단축Time to Ma..

Topic 2025.10.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