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977

Van Emde Boas Tree

개요Van Emde Boas Tree(반 엠데 보스 트리, vEB 트리)는 고정된 우주 크기(universe size)를 갖는 정수 키의 집합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트라이 기반의 재귀적 트리 자료구조입니다. 검색, 삽입, 삭제, 최소값, 최대값, 선행자(predecessor), 후속자(successor) 연산을 모두 O(log log U) 시간에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많은 수의 빠른 정수 연산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1. 개념 및 정의vEB 트리는 우주 크기 U = 2^k에 대해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연산을 O(log log U) 시간에 지원합니다:insert(x): x를 삽입delete(x): x를 삭제member(x): x의 존재 여부 확인min()/max():..

Topic 2025.05.08

BOW (Bandwidth-On-Wire) Chiplet Link

개요BOW(Bandwidth-On-Wire)는 ODSA(Open Compute Project’s Open Domain-Specific Architecture) 이니셔티브에서 제안된 칩렛 간 고속, 저전력 연결을 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기존 인터포저 기반 통합 방식보다 더 단순하고 경제적인 다이-투-다이(die-to-die) 연결 방식으로, 칩렛 기반 SoC(System-on-Chip)의 대중화와 이기종 집적(Heterogeneous Integration)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BOW는 패키지 내부에서 **칩렛 간 고속 직렬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PHY)**입니다. 칩렛 간 연결을 위한 마이크로 범위 직렬 인터페이스로, 표준화된 신호 사양과 핀 아키텍처를..

Topic 2025.05.08

Co-Packaged Optics (CPO)

개요Co-Packaged Optics(CPO)는 고속 네트워크 장비에서 스위치 ASIC(칩)과 광 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를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하여, 기존 전기 신호 기반의 전송 구조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 대역폭 제한, 신호 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차세대 인터커넥트 기술입니다. 800G~1.6T 시대의 도래에 맞춰 초고속, 저전력, 고밀도 네트워킹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기존 광 모듈은 스위치/서버 칩셋 외부에 장착되어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었지만, CPO는 스위치/ASIC와 광 엔진이 같은 패키지 또는 인접한 기판 위에 직접 통합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 신호 전달 거리 축소, 신호 변형 최소화, 전력 효율성 향상이 가능해집니다.2. 기..

Topic 2025.05.08

Arm CCA (Confidential Compute Architecture)

개요Arm CCA(Confidential Compute Architecture)는 Arm이 제안한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로, 클라우드 및 엣지 환경에서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인프라 관리자까지 신뢰하지 않는 위협 모델을 전제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CCA는 **컨피덴셜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을 실현하기 위한 Arm 기반의 핵심 구성 요소로, 세계적인 보안 요구에 대응하는 신뢰 실행 환경(TEE)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Arm CCA는 CPU 내부에 **Realm(영역)**이라는 새로운 실행 환경을 도입하여, 기존 OS와 하이퍼바이저와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Topic 2025.05.08

SEV-SNP (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 - Secure Nested Paging)

개요SEV-SNP(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 – Secure Nested Paging)는 AMD가 개발한 차세대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술입니다. SEV 시리즈의 최신 기술로, 클라우드 및 멀티테넌트 환경에서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펌웨어까지 신뢰할 수 없는 위협 모델에서도 가상 머신(VM)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강력하게 보장합니다.1. 개념 및 정의SEV-SNP는 기존 SEV/SEV-ES(Encrypted State) 기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VM 메모리를 암호화하는 동시에, 메모리의 무결성(integrity) 및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한 구조입니다. 하이퍼바이저나 BIOS, 관리자 권한 침해 상황에서도 VM 내 데이터가 보호되도록 ..

Topic 2025.05.08

Elastic Fabric Adapter(EFA)

개요Elastic Fabric Adapter(EFA)는 AWS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및 기계 학습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고속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입니다. 전통적인 EC2 네트워크보다 더 낮은 지연(latency), 더 높은 처리량, 고속 메시지 전송 기능을 제공하여,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사용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에서 온프레미스 수준의 성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EFA는 EC2 인스턴스에 직접 탑재되어, EC2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인스턴스와 저지연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ENI(Elastic Network Interface)의 확장입니다. TCP/IP 스택을 우회(by..

Topic 2025.05.08

APNIC AS0

개요APNIC AS0 프로젝트는 인터넷 라우팅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글로벌 노력의 일환으로, RPKI(리소스 공인 인프라)를 활용해 허가되지 않은 IP Prefix가 글로벌 BGP 라우팅 테이블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정책입니다. 여기서 **AS0(Autonomous System 0)**는 “해당 Prefix는 어떤 네트워크에도 할당되지 않았으며 경로 광고되면 안 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정책은 라우팅 하이재킹 방지, 경로 무결성 보장 등의 목적을 갖습니다.1. 개념 및 정의AS0은 BGP와 RPKI 환경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AS 번호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AS0가 명시된 ROA(Route Origin Authorization)**는 해당 IP 블록이 인터넷 상에서 어떤 경..

Topic 2025.05.08

LISP (Locator/ID Separation Protocol)

개요LISP(Locator/ID Separation Protocol)는 인터넷의 기존 IP 주소 체계가 가진 식별자와 위치 정보의 결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프로토콜입니다. LISP는 네트워크 노드의 **식별자(ID)**와 **위치 정보(Locator)**를 분리하여, 트래픽 엔지니어링, IP 모빌리티, 멀티호밍 등을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LISP는 기존의 IP 주소를 단일한 의미(식별+위치)로 사용하던 구조에서, **EID(Endpoint Identifier)**와 **RLOC(Routing Locator)**로 역할을 분리합니다:EID: 호스트를 식별하는 주소 (논리 ID)RLOC: 라우팅에 사용되는 실제 위치 기반 주소이..

Topic 2025.05.08

SCION(Scalable, ControlleD, and IsolatEd ON-path routing)

개요SCION(Scalable, ControlleD, and IsolatEd ON-path routing)은 오늘날의 인터넷 구조가 가진 경로 제어 부족, 보안 위협, 장애 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차세대 인터넷 아키텍처입니다. 특히 경로 투명성(path transparency), 자율적 경로 제어, 도메인 간 격리성을 기반으로, 금융, 국가 인프라, 글로벌 기업 등 고신뢰성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 이상적인 네트워크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CION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라우팅의 근본적 재설계를 통해 다음을 실현합니다:경로 제어: 송신자가 경로를 직접 선택경로 검증: 수신자가 실제 경로를 검증 가능격리된 도메인(ISD): 자율 시스템을 격리 관리 SCION은 이러한 구조를 통해 ..

Topic 2025.05.08

Event Modeling

개요Event Modeling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벤트 중심(Event-Centric)**으로 설계하고 문서화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복잡한 시스템의 비즈니스 로직, 사용자 인터랙션, 데이터 흐름을 이벤트 시퀀스 기반의 타임라인 모델로 시각화하여 팀 전체의 이해를 높이고 일관된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이벤트 소싱, CQRS,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시스템 설계와 잘 맞물립니다.1. 개념 및 정의Event Modeling은 Adam Dymitruk이 제안한 설계 기법으로, 시스템을 상태(State)가 아닌 이벤트(Event) 단위로 기술합니다. 핵심은 사용자 행동, 시스템 반응, 데이터 저장/조회 등을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흐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는 ‘..

Topic 2025.05.08

CloudEvents

개요CloudEvents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이벤트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주도의 오픈 표준입니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서버리스(Functions),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등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의 구조를 통일하여 상호운용성과 이벤트 처리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CloudEvents의 개념, 구조, 활용 사례 및 기술적 적용 전략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CloudEvents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표준 메시지 형식(specification)**입니다. 이는 다양한 이벤트..

Topic 2025.05.08

Micro-kernel Architecture(마이크로커널 아키텍처)

개요Micro-kernel Architecture(마이크로커널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핵심 기능(Core System)**과 선택적 플러그인(Plugin)으로 구성하는 설계 패턴입니다. 이 구조는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며, 특히 IDE, 브라우저, 데이터 분석 도구, 플랫폼형 서비스 등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Plug-in 기반 아키텍처라고도 하며, 핵심 기능을 경량화하고 새로운 기능은 독립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1. 개념 및 정의Micro-kernel Architecture는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기능을 최소화된 커널(Kernel)**로 구현하고, 나머지 기능은 플러그인 형식의 외부 모듈로 독립적으로 개발 및 운영할 수 있게 설계된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사용..

Topic 2025.05.08

Platform Engineering

개요Platform Engineering은 내부 개발 플랫폼(Internal Developer Platform, IDP)을 구축하고 운영하여 개발자가 자율적이고 안전하게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입니다. DevOps를 넘어선 다음 단계로, 플랫폼팀이 개발자를 위한 '제품으로서의 플랫폼(Platform as a Product)'을 제공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복잡한 인프라 관리를 표준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Platform Engineering은 조직의 개발자들이 반복적인 작업이나 인프라 문제에 얽매이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과 가치 창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내부 플랫폼을 설계하고 제공하는 활동입니다. 이 플랫폼은 셀프서비스 기반의 배포, 모니터링, C..

Topic 2025.05.08

FitSM

개요FitSM은 ISO/IEC 20000 및 ITIL과 같은 복잡한 IT 서비스 관리(ITSM) 프레임워크에 비해 더 간단하고 실용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경량화된 ITSM 표준입니다. 특히 중소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 등에서 비용과 리소스를 최소화하면서도 표준 기반의 IT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고자 할 때 적합한 모델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FitSM의 개념, 구성 요소, ITIL과의 차이점, 적용 방식, 기대 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FitSM은 독립적인 오픈 표준으로, IT 서비스 관리 체계를 경량화하여 실용적인 수준에서 도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FedSM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이 프레임워크는 ISO/IEC 20000을 참고하면서도 문서화 및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줄이..

Topic 2025.05.08

Flow Framework

개요Flow Framework는 IT 및 소프트웨어 조직이 제품 중심 조직으로 전환할 때 업무 흐름(Flow)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체계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 Dr. Mik Kersten이 제안한 이 모델은 Value Stream을 기준으로 IT 투자, 개발 효율, 비즈니스 성과 간의 연결을 시각화하며, Project-to-Product 전환의 핵심 분석 도구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Flow Framework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핵심 작업들을 4가지 Flow Item으로 분류하고, 이들에 대한 진행 상태, 속도, 병목을 측정하여 비즈니스 가치 중심의 성과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 관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품 중심 DevOps..

Topic 2025.05.08

Project-to-Product

개요Project-to-Product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중심 IT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지속적 가치 제공 중심의 제품 중심(Product-Oriented) 모델로 조직을 전환하는 전략입니다. 이 접근법은 개발, 운영, 비즈니스 부서 간의 단절을 해소하고, 민첩한 제품 개발과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기업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roject-to-Product의 개념, 도입 필요성, 핵심 원칙과 구성 요소, 성공 사례 및 전략적 고려사항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roject-to-Product는 IT 작업을 일시적 과업(Project) 단위가 아니라, 지속적인 제품(Product) 중심으로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프로젝트는 목표 달성 후 해체되는 반면, ..

Topic 2025.05.08

PACE-Layered Application Strategy

개요PACE-Layered Application Strategy는 Gartner에서 제안한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관리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변화 속도에 따라 Systems of Record, Systems of Differentiation, Systems of Innovation의 세 가지 계층으로 분류합니다. 이 전략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기업에 효과적이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구조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ACE 전략은 “비즈니스 변화의 속도(Pace)”에 맞춰 IT 시스템을 계층화함으로써, 각 애플리케이션의 변화 필요성과 리스크 수준에 따라 적절한 개발 및 운영 전략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수명..

Topic 2025.05.07

OBASHI Framework

개요OBASHI 프레임워크는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IT 자산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정보 흐름 기반 모델링 기법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Ownership, Business, Application, System, Hardware, Infrastructure의 6단계 레이어로 구성되어, 비즈니스와 기술 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IT 투자, 위험 관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OBASHI는 정보가 조직 내에서 어떻게, 어디서, 왜 흐르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구조화된 프레임워크로, 복잡한 IT 시스템이 비즈니스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시각화합니다. 이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또는 비즈니스 IT 연계(BIT Al..

Topic 2025.05.07

Browser-in-the-Browser (BitB) Phishing

개요Browser-in-the-Browser(이하 BitB) 피싱은 웹 브라우저 내부에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브라우저 창을 생성해 사용자를 속이는 시각적 피싱 공격 기법입니다. 이 방식은 SSO(Single Sign-On) 또는 OAuth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모방하여 사용자가 무심코 자격 증명을 입력하게 만듭니다. 본 글에서는 BitB 피싱의 작동 방식, 특징, 사례, 보안 위협 및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BitB 피싱은 자바스크립트, CSS, HTML을 활용해 웹사이트 내에 브라우저 팝업처럼 보이는 UI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실제 브라우저 팝업처럼 동작하고 드래그 이동, 주소창, 자물쇠 아이콘까지 흉내낼 수 있어 사용자가 ..

Topic 2025.05.07

Model Watermarking

개요Model Watermarking은 딥러닝 모델 내부에 보이지 않는 식별 정보를 삽입하여, 모델의 소유권을 증명하거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AI 기술이 상업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학습 데이터, 모델 구조, 파라미터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법적 분쟁 시 소유권 입증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Model Watermarking의 개념, 기법, 활용 방식 및 보안적 중요성 등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Model Watermarking은 딥러닝 모델에 고유한 패턴이나 응답을 내재화시켜, 제3자가 해당 모델을 불법 복제하거나 오용했을 경우 식별 및 추적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소프트웨어 워터마킹과 유사하지만, 학습된 함수(모델)에 대한 워터..

Topic 2025.05.07

Adversarial Patch

개요Adversarial Patch는 이미지 인식 AI 모델에 물리적 오브젝트를 삽입해 오작동을 유도하는 적대적 공격(adversarial attack) 기법 중 하나입니다. 작은 이미지 조각 또는 스티커 형태의 '패치'를 실제 환경에 배치해 AI 모델이 잘못된 분류나 인식을 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본 글에서는 Adversarial Patch의 개념, 작동 방식, 연구 사례, 보안 위협 및 방어 전략을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Adversarial Patch는 입력 이미지 내 특정 위치에 인위적인 패턴(Noise)을 삽입하여, 딥러닝 모델 특히 CNN(합성곱 신경망)의 분류 결과를 교란시키는 공격 방법입니다. 기존의 픽셀 단위 조작 대신, 물리적 공간에 부착 가능하고 사람이 알아보기 어려운 시각 ..

Topic 2025.05.07

MFA Fatigue Attack 대응

개요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다중 인증)는 사용자 계정을 보호하는 효과적인 수단이지만, 최근 공격자들은 이를 우회하기 위한 MFA Fatigue Attack(다중 인증 피로 공격)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무차별 푸시 알림에 지쳐 실수로 인증을 수락하게 만드는 이 공격은 특히 푸시 기반 MFA 방식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본 글에서는 MFA 피로 공격의 개념, 사례, 대응 전략 및 보안 권장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MFA Fatigue Attack은 공격자가 탈취한 사용자 계정에 대해 반복적으로 MFA 요청을 보내, 사용자가 알림에 지치거나 실수로 승인하게 만드는 소셜 엔지니어링 기반 공격입니다. 특히 푸시 알림 기반 인증 방식에서 취약하..

Topic 2025.05.07

Honeytoken

개요Honeytoken은 공격자가 접근하면 알림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미끼 정보로, 사이버 침입을 조기에 탐지하고 내부자 위협을 추적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입니다. 문서, 자격증명, API 키, DB 엔트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 자산처럼 보이지만 사용되면 즉시 이상 행위로 감지됩니다. 본 글에서는 Honeytoken의 정의, 구성 방식, 기술 요소, 활용 방안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Honeytoken은 허위 자산으로 구성된 보안 탐지 기술의 일종으로,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배치되어 침입자가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접근할 경우 탐지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물리적 보안에서의 '도난 방지 태그'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행위 중심 보안을 가능하게 합니다.2...

Topic 2025.05.07

Deception Technology

개요Deception Technology(기만 기술)는 공격자를 속이기 위해 시스템 내에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포함한 자산을 배치하여, 악의적인 접근을 조기에 탐지하고 분석하는 능동적 보안 기술입니다. 허니팟(Honeypot), 허니토큰(Honeytoken), 가짜 시스템, 위장된 네트워크 자산 등을 통해 침입자의 활동을 유도하고 식별함으로써, 실제 자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협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eception Technology는 공격자의 심리를 역이용하여,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자산을 통해 공격 행위를 유도하고 분석하는 방식의 보안 전략입니다. 이는 정적 방어보다는 사이버 함정을 구축하여 위협 행위를 능동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기존 보안 솔루션이 침입..

Topic 2025.05.07

SPIFFE(Spiffe Identity Foundation)/SPIRE(SPIFFE Runtime Environment) Workload ID

개요SPIFFE(Spiffe Identity Foundation)와 SPIRE(SPIFFE Runtime Environment)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워크로드(workload) 간의 안전하고 표준화된 ID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Workload ID는 인증서 기반의 신뢰 체계를 통해 서비스 간 통신을 암호화하고, 사람 없이 자동화된 신뢰 기반 인증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SPIFFE/SPIRE의 Workload ID 개념과 기술, 구성 방식, 도입 장점 및 주요 활용 사례를 상세히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Workload ID는 사용자 대신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VM 등의 워크로드에 부여되는 고유한 디지털 ID입니다. SPIFFE는 이러한 식별을 위한 표준을 정의..

Topic 2025.05.07

Moving Target Defense(MTD)

개요Moving Target Defense(MTD)는 시스템 구성, 네트워크 경로, 실행 환경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공격자가 취약점을 식별하거나 악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보안 전략입니다. 기존의 정적 방어체계와 달리 MTD는 공격 면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합니다. 본 글에서는 MTD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메커니즘, 장점 및 도입 사례를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MTD는 '움직이는 표적 방어' 전략으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정적인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공격자에게 혼란을 주는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 즉, 공격자가 시스템의 내부 구조나 취약점을 탐지하고 악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늘리고, 공격 성공 가능성을 현저히 낮춥니다.2. 특징 특징 설명 기존 ..

Topic 2025.05.07

TiDB

개요TiDB는 OLTP와 OLAP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분산형 New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친숙한 SQL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도, 수평 확장이 가능한 아키텍처를 통해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와 실시간 분석 기능을 모두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TiDB의 개념, 아키텍처, 핵심 기술, 장점 및 주요 활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TiDB는 PingCAP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NewSQL 데이터베이스로, HTAP(혼합 트랜잭션 및 분석 처리) 기능을 갖춘 분산형 SQL 엔진입니다. MySQL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분산 구조를 특징으로 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교 MySQL 호환성MyS..

Topic 2025.05.07

HeatWave

개요HeatWave는 Oracle에서 제공하는 MySQL 데이터베이스용 인메모리 쿼리 가속기입니다. 이 기술은 복잡한 분석 쿼리를 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기존 MySQL OLTP 환경에 통합되어 운영 데이터와 분석 데이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HeatWave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 특징, 장점 및 활용 사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HeatWave는 MySQL 데이터베이스에 내장되어 동작하는 인메모리 분석 엔진으로, 대규모 데이터셋에 대한 실시간 분석 쿼리를 처리하기 위한 용도로 설계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MySQL은 분석 처리 성능이 제한적이었으나, HeatWave를 통해 OLTP + OLAP 통합 환경을 제공하여 HTAP 구..

Topic 2025.05.07

HTAP(Hybrid Transactional and Analytical Processing) Engine

개요HTAP(Hybrid Transactional and Analytical Processing)은 트랜잭션 처리(OLTP)와 분석 처리(OLAP)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이 두 가지 기능이 별도의 시스템에서 수행되었으나, HTAP 기술은 이를 통합하여 실시간 데이터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HTAP 엔진의 개념, 구성 요소, 기술적 특징, 장점 및 활용 사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HTAP은 Hybrid Transactional and Analytical Processing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입력과 동시에 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입니다. OLTP 시스템은 주로 금융 거래, 사용자 입력 등 빈번한 ..

Topic 2025.05.07

PEFT(Parameter-Efficient Fine-Tuning)

개요PEFT(Parameter-Efficient Fine-Tuning)는 기존의 파인튜닝처럼 전체 모델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아닌, 일부 모듈만 학습하거나 적은 수의 파라미터만 조정하여 LLM의 성능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파인튜닝 전략입니다. 특히 메모리, 연산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LLM(예: LLaMA, GPT-3/4 등)을 빠르고 저비용으로 파인튜닝할 수 있어, 오픈소스 생태계 및 기업 적용에서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EFT는 LLM의 대다수 파라미터를 고정하고, 일부 적은 수의 학습 가능한 파라미터만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미세 조정(Fine-Tuning)하는 기법군을 통칭합니다.학습 가능한 파라미터 수: 기존 대비 수천 배 감소효율성 초점: 메모리 절감 +..

Topic 2025.05.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