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가이드 v2.2

JackerLab 2025. 8. 2. 00:00
728x90
반응형

개요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은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보안 수준을 평가·인증하는 제도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며, v2.2는 2023년 개정된 최신 버전으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전환 확대와 SaaS 등 다양한 서비스 유형 대응을 위한 보안 기준과 심사체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보안 수준을 정부가 평가·인증하는 제도 인증 유효기간 3년, 연차점검 병행
목적 공공부문의 안전한 클라우드 활용 기반 조성 정부 디지털 전환 핵심 기반제도
적용 대상 IaaS, PaaS, SaaS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공공기관에 제공하려는 모든 사업자 대상

CSAP 인증은 공공 조달 요건이며, 기관의 신뢰 확보 및 시장 진입 필수 조건입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주요 개정사항(v2.2 기준)
서비스 유형별 보안 기준 세분화 IaaS, PaaS, SaaS 유형별 맞춤 요구사항 제시 SaaS 인증기준 최초 수립(2023)
117개 인증 기준으로 구성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보호조치 포함 기존 기준 보완 + 클라우드 특화 항목 반영
연차점검 및 갱신 체계화 연 1회 이상 사후관리로 신뢰성 유지 보완조치 미이행 시 인증 철회 가능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항목 수
관리적 보호조치 정책, 조직, 인적 보안, 사고대응 등 42개 항목
물리적 보호조치 물리적 접근통제, 시설보안 등 20개 항목
기술적 보호조치 접근통제, 암호화, 로그관리, 네트워크 보안 등 55개 항목

기준 총 117개 항목은 CSP의 서비스 환경에 맞게 자율 적용 가능하지만, 핵심 항목은 필수 이행해야 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예시
사용자 접근통제 체계 사용자 권한 최소화, 계정관리 자동화 IAM, RBAC, SSO 연계
데이터 암호화 저장/전송 시 개인정보 및 주요정보 암호화 DB 암호화, TLS 적용 등
가상화 기반 보안 하이퍼바이저 보안, VM간 격리 클라우드 가상 네트워크 분리 등
로그 및 이상행위 모니터링 통합로그 수집 및 실시간 이상 탐지 SIEM, ESM, FDS 등 연계 시스템 구축

기술 구현은 ‘보안 설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인증 통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공공시장 진입 가능 인증 없이는 공공 클라우드 사업 참여 불가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요건 충족
보안 신뢰 확보 제3자 평가를 통한 보안 수준 공식 인증 고객사·기관의 신뢰도 향상
기술력·조직력 개선 인증 과정에서 내부 보안체계 점검 가능 서비스 품질 향상과 사고 예방 기반 확보

CSAP은 단순 심사가 아닌 클라우드 보안역량을 제도화하는 수단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내용 유의사항
SaaS 기업의 공공 조달 진입 최초 SaaS 보안 인증 통과 후 나라장터 등록 SaaS 요구사항은 기능 범위 명확화 필수
IaaS 사업자의 다중 리전 운영 리전별 인증 분리 필요 시 각각 심사 위치정보 및 외국 리전 이슈 사전 확인 필요
인증 유지 위한 연차점검 대응 사후점검 결과에 따라 보완조치 제출 시정 불이행 시 인증 정지 가능

보안 수준 유지와 내부문서 증적 관리가 인증 지속의 핵심입니다.


7. 결론

CSAP 가이드 v2.2는 공공기관이 안심하고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 기준과 인증 절차를 체계화한 지침서입니다. 클라우드 기술의 확장과 함께 인증 기준도 SaaS, 멀티 클라우드, 제로트러스트, 공급망 보안 등으로 계속 고도화될 전망이며, 인증은 곧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