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

JackerLab 2025. 8. 2. 06:00
728x90
반응형

개요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은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필요한 절차, 보안요건, 평가기준 등을 제시하는 실무 지침입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과 정보자원 효율화를 위해 2021년 개정되었으며, CSAP 인증, 정보등급 분류, 보안 요구사항 검토 등 민간 클라우드 전환을 제도적·기술적으로 지원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할 때 준수해야 할 절차와 기준을 정한 지침 행정안전부, 과기정통부 공동 관리
목적 보안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클라우드 기반 정보시스템 운영 디지털 전환 핵심 수단
적용 대상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 모든 국가기관 포함

공공기관은 클라우드 활용 시 본 가이드라인에 따라 업무적합성 및 보안 적정성 판단을 수행해야 합니다.


2. 특징

특징 설명 관련 제도
정보등급 기반 분류 중요도에 따라 1~3등급 분류 후 적합한 클라우드 선정 전자정부법 시행령 제69조의2
CSAP 인증 서비스 우선 이용 민간 클라우드 선택 시 보안 인증 여부 필수 확인 CSAP SaaS, IaaS 기준 구분 적용
공공-민간 연계 프로세스 표준화 도입 절차·보안 점검·성능 기준 일괄 제시 클라우드 전환 로드맵 수립 시 활용

민간 클라우드의 안전성 확보와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동시에 강조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주체
정보자원 분석 및 등급 분류 전환 대상 자원의 보안등급 및 처리 유형 분석 기관 정보보호책임자(CISO)
클라우드 서비스 선정 정보등급별 허용 유형에 따라 CSAP 인증 여부 확인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서비스 기준
보안 요구사항 검토 암호화, 백업, 접근통제, 물리보안 등 49개 항목 검토 기관 자체점검 + 외부 전문가 자문 가능
계약 및 운영관리 방안 SLA, 유지보수, 장애 대응 체계 수립 계약서 내 보안 조항 명문화 필요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예시
가상화 기반 분산 인프라 VM, 컨테이너 기반 민간 클라우드 환경 활용 온프레미스→IaaS 이전 시 활용
클라우드 접근통제 시스템 이용자별 접근 권한·이력 관리 공공기관용 IAM, MFA 적용
이중화 및 DR 체계 장애 대비 이중 구성 및 백업 체계 설계 업무지속성 확보 위한 필수 요건
보안 로그 및 감시 체계 실시간 탐지·경보 시스템 운영 SIEM, NDR 솔루션과 연계 필요

기술 구성은 정보등급별 차등화가 가능하며 사전 설계가 핵심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예산 절감 및 민첩한 운영 민간 자원 활용으로 IT 비용 감소 인프라 운영 부담 최소화
공공-민간 기술 협력 CSP와의 협업 통해 신기술 적용 용이 AI, 빅데이터 분석 인프라 조성
보안·성능 기준 충족 제도화된 점검체계로 보안 불안 해소 국민 신뢰 기반 서비스 운영 가능

민간 클라우드는 공공기관의 디지털혁신을 가속화하는 전략 도구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내용 고려사항
교육청의 클라우드 기반 행정시스템 이전 민원처리 시스템을 CSAP 인증 클라우드로 전환 개인정보 보관 위치, 해외이전 가능성 확인 필요
지자체의 업무망 분리 환경 전환 행정업무 클라우드 기반 PC 가상화 보안 USB, 망분리 정책 연계 고려
공공기관의 AI 분석환경 도입 빅데이터 플랫폼을 민간 클라우드에서 운영 데이터 전송구간 암호화, DR 센터 구축 필수

사례별로 정보등급, 보안요건, 기술수준을 종합 판단해야 성공적인 도입이 가능합니다.


7. 결론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은 보안성과 유연성을 모두 갖춘 공공 클라우드 정책의 실천 도구입니다. 기관 특성에 맞는 정보자원 분류와 적정 기술 선정, 계약 관리 역량 확보가 성공적 도입의 핵심이며, 앞으로는 제로트러스트, 멀티 클라우드, 국산 SaaS 확산 등 트렌드에 맞춘 지침 고도화가 요구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