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개발 가이드 3.9

JackerLab 2025. 8. 2. 12:00
728x90
반응형

개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구축 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개발 가이드 3.9 버전은 2023년 공개된 최신 버전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 최신화, REST API 표준화, 개발 생산성 향상, 보안 패치 적용 등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공공 SW 품질 향상과 예산 절감,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기반 설계 지침서로 활용됩니다.


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 공공정보화 사업에서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Java 기반 개발 프레임워크 및 개발 지침 eGovFrame 이라고도 함
목적 표준화된 구조로 개발 효율성과 유지보수 용이성 확보 공공기관 SW사업 품질 고도화 목적
구성 요소 공통컴포넌트, 개발환경, 실행환경, 운영관리 도구 Eclipse 기반 개발툴 + WAS + DB 연계

2. 특징

특징 설명 버전 3.9 주요 변화
Spring Framework 5.x 기반 기존 3.x 기반에서 최신 구조로 전환 보안성과 개발 유연성 개선
REST API 기반 구조 강화 JSON 데이터 연계, 외부 시스템 연동 최적화 Swagger UI 예제 포함
배치 및 스케줄러 기능 개선 EgovBatch 통한 대용량 작업 처리 지원 Quartz 2.x 연계 강화
보안취약점 보완 OWASP Top 10 기반의 취약점 대응 코드 포함 SQL Injection, XSS 대응 강화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활용 예
공통컴포넌트 공공 SW 사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모듈화 사용자 인증, 권한관리, 로그관리 등
개발환경 Eclipse 기반 IDE(EgovDevStudio) 제공 Maven, Gradle 빌드 연계 가능
실행환경 WAS, DB, OS에 따라 다양한 설정 가능 Tomcat, WebLogic, PostgreSQL 등 지원
운영관리도구 배포, 로그분석, 모니터링 도구 포함 EgovMonitoring, Logback 연계 가능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버전 3.9 적용 기술
Spring 5.x, Spring Security 최신 스프링 기반 구조 인증·인가 처리 표준 제공
MyBatis DB 연동을 위한 ORM 프레임워크 XML 기반 SQL Mapper 구성
Jackson, Gson JSON 직렬화/역직렬화 지원 REST 응답 처리 구성
Gradle/Maven 빌드 모듈형 빌드 자동화 개발-배포 자동화 적용 가능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기술 진화를 반영한 지속 가능한 구조 설계가 강점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개발 표준화 일관된 설계·코딩·운영 기준 제공 유지보수 용이성 확보
재사용성 증대 공통 컴포넌트를 재활용하여 생산성 향상 중복 개발 방지
오픈소스 기반 확장성 민간 기술 생태계와 연계 쉬움 벤더 종속성 탈피
보안 내재화 보안 컴포넌트 및 코딩 규칙 제공 침해사고 예방 효과

공공 개발사업의 품질관리와 보안성 확보를 위한 사실상 표준 플랫폼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사례 내용 고려사항
행정기관 민원처리 시스템 구축 표준프레임워크 기반 민원접수 시스템 개발 프레임워크 버전과 요구사항 일치 확인 필요
지자체 통합 포털 구축 공통컴포넌트 재활용 및 사용자 권한 관리 강화 보안 점검 코드 반영 필수
공공기관 REST API 플랫폼 외부 시스템 연계 위한 API 서버 개발 API 보안(Authentication/Throttling) 구성 필요

표준프레임워크 기반 사업은 조달 입찰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7. 결론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개발 가이드 3.9는 공공 SW 개발의 품질과 효율, 보안성 확보를 위한 전략적 개발 표준서입니다. 향후에는 Kubernetes, 클라우드 네이티브, MSA 구조 등과의 정합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개선과, 민간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협업 강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