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HBM3(High Bandwidth Memory 3)

JackerLab 2025. 5. 6. 02:14
728x90
반응형

개요

HBM3(High Bandwidth Memory 3)는 기존 DRAM 기술을 뛰어넘는 초고속, 고대역폭, 저전력 메모리 기술로서, AI, 고성능 컴퓨팅(HPC), 그래픽 처리, 데이터센터 분야의 차세대 워크로드를 위한 핵심 메모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HBM3는 JEDEC 표준 기반으로, HBM2E 대비 대역폭과 용량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으며, GPU 및 DPU, AI 가속기에 통합되어 높은 연산 성능을 실현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HBM3다층 3D TSV(Through-Silicon Via) 스택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DRAM 인터페이스 기술입니다. 메모리 다이를 수직으로 적층하고, 초고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밀착 배치함으로써 기존 DDR 기반 메모리보다 수배 높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 목적: 메모리 병목 해소 및 초고속 연산 대응
  • 필요성: AI 모델 학습·추론, 시뮬레이션 등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처리량 대응
  • 기반 표준: JEDEC HBM3 사양 (2022년 발표)

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초고속 대역폭 HBM2E 대비 약 2배 이상 향상 최대 819 GB/s (1 stack 기준)
초저전력 고속 인터페이스에도 낮은 전력 소비 와트당 성능 우수
고집적 적층 12~16층 DRAM 스택 구조 TSV 기반 실리콘 인터커넥트
프로세서 근접 배치 GPU/DPU 옆에 직접 배치 고성능 연산 가속에 유리

HBM3는 메모리-연산 유닛 간의 물리적 거리를 줄임으로써 레이턴시를 최소화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HBM3 DRAM Stack 3D TSV 기반의 적층 메모리 모듈 12Hi, 16Hi 스택 구성 가능
Interposer 메모리와 GPU 간 통신을 위한 실리콘 브릿지 Passive/Active Interposer
Memory Controller HBM 인터페이스 제어 GPU 내 컨트롤러 내장형 구조
Substrate 전력 및 신호 연결을 위한 기반 패키지 CoWoS, EMIB, Foveros 등

HBM3는 고속성과 집적도를 위해 고난이도 패키징 기술과 결합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적용 사례
TSV(Through-Silicon Via) 수직 통로를 통한 데이터 연결 HBM, 3D NAND 등에서 활용
CoWoS TSMC의 고속 인터포저 기술 NVIDIA H100, AMD MI300 등
HBM PHY & Controller 고속 신호 송수신 및 제어 Synopsys, Rambus 솔루션 활용
ECC 및 RAS 기능 오류 수정 및 신뢰성 향상 기능 AI/HPC용 안정성 확보 핵심

HBM3는 단순 메모리 구성 요소가 아니라, 시스템 아키텍처를 바꾸는 혁신 요소입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기대 효과
대역폭 향상 기존 DDR 대비 수십 배 이상 속도 제공 메모리 병목 해소
전력 효율 와트당 성능이 매우 우수 전력 제한 있는 환경에 적합
면적 효율 수직 적층으로 패키지 면적 절감 소형 고성능 패키징 가능
AI/HPC 친화 GPU와의 고속 연계 최적화 트랜스포머 기반 LLM에 최적

HBM3는 LLM, GenAI, 고정밀 시뮬레이션, 영상 분석 등에서 핵심 성능 향상 요소로 작용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AI 가속기(GPU/DPU) LLM 학습용 고속 메모리 탑재 냉각 및 전력 설계 필수
슈퍼컴퓨터 HPC 계산 노드의 메인 메모리 패키징 일체화 기술 필요
차세대 그래픽 카드 실시간 고해상도 렌더링 소비자용 가격 부담 고려
서버형 AI 모듈 3D AI inferencing 장치 메모리 대역폭 기반 성능 설계 필요

도입 시 전력 예산, 발열 해소, 물리적 적층 한계 등 시스템 차원의 고려가 필요합니다.


7. 결론

HBM3는 고성능 연산의 병목 지점인 메모리 대역폭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차세대 AI, HPC, 데이터센터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GPU/DPU와의 통합 구조를 통해 더욱 강력한 연산 성능과 전력 효율을 제공하며, 앞으로의 컴퓨팅 성능 한계를 돌파할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 vs DDR  (0) 2025.05.06
DDR5(Double Data Rate 5)  (0) 2025.05.06
NVSwitch  (0) 2025.05.06
NVLink  (0) 2025.05.06
Programmable Data Plane  (0)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