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ISO/IEC 17789 (클라우드 컴퓨팅 레퍼런스 아키텍처)

JackerLab 2025. 3. 16. 05:53
728x90
반응형

개요

ISO/IEC 17789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위한 레퍼런스 아키텍처(Reference Architecture, RA)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모델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17789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역할 모델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


1. ISO/IEC 17789이란?

ISO/IEC 17789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조적 모델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위한 표준화된 지침을 제공합니다.

1.1 주요 목적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모델 및 운영 모델 표준화
  •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주요 구성 요소 정의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역할 및 책임 명확화
  • 클라우드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구조적 접근 방식 제공

1.2 ISO/IEC 17789과 관련 표준 비교

구분 ISO/IEC 17788 ISO/IEC 17789 ISO/IEC 27017
역할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및 용어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설계 클라우드 보안 통제 가이드
초점 클라우드 서비스 및 배포 모델 클라우드 시스템 구성 요소 및 상호작용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리스크 및 대응
적용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 및 제공자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자 및 개발자 클라우드 보안 관리자

ISO/IEC 17789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레퍼런스 아키텍처 구성 요소

ISO/IEC 17789에서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3가지 핵심 요소를 정의합니다.

2.1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의 핵심 요소

구성 요소 설명
클라우드 역할(Cloud Roles)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 중개자의 역할 정의
클라우드 기능(Cloud Functions) 서비스 제공, 관리, 운영을 위한 핵심 기능
클라우드 상호작용(Cloud Interactions) 클라우드 시스템 내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및 데이터 흐름

이러한 구성 요소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서비스 운영 및 기술 구현을 지원합니다.


3. 클라우드 컴퓨팅 역할 모델 (Cloud Computing Role Model)

ISO/IEC 17789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요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3가지로 구분합니다.

역할 설명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loud Service Provider, CSP)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하는 주체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Cloud Service Customer, CSC)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기업 및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자(Cloud Service Broker, CSB)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 및 최적화하는 중개 역할

이 역할 모델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운영 시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및 운영 모델

ISO/IEC 17789은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구조적 접근 방식을 정의합니다.

4.1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기능

관리 영역 설명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Service Orchestration) 클라우드 인프라 및 서비스의 자동화 및 관리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Security & Compliance) 데이터 보호 및 규제 준수 방안 마련
서비스 모니터링(Service Monitoring) 클라우드 서비스 성능 및 상태 모니터링
리소스 최적화(Resource Optimization)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및 운영 비용 절감

이러한 관리 기능은 클라우드 환경의 운영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ISO/IEC 17789 도입의 장점

ISO/IEC 17789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장점 설명
클라우드 아키텍처 표준화 일관된 시스템 설계 및 운영 가능
클라우드 역할 및 책임 명확화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 중개자의 책임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최적화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비용 절감 가능
보안 및 규제 준수 강화 ISO/IEC 27017, GDPR 등의 보안 표준과 연계 가능

ISO/IEC 17789을 활용하면 클라우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6. ISO/IEC 17789 도입 시 고려사항

6.1 도전과제

  • 기존 클라우드 아키텍처와의 정합성 검토 필요
  • 클라우드 서비스 역할에 따른 책임 명확화 필요
  • 클라우드 보안 및 규제 준수 고려 필수

6.2 효과적인 도입 전략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지침 수립: 조직에 적합한 클라우드 환경 설계 ✅ 서비스 제공 및 운영 전략 강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 및 관리 ✅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고려: ISO/IEC 27017 및 GDPR과의 연계 강화 ✅ 정기적인 클라우드 환경 모니터링 수행: 서비스 성능 및 보안 지속적인 점검


7. 결론

ISO/IEC 17789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아키텍처를 체계적으로 정의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위한 표준화된 모델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클라우드 환경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ISO/IEC 17789을 도입하여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최적화하고, 보안 및 규제 준수를 강화하며, 비용 효율적인 운영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