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ISO/IEC 22123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과 용어 – 확장판)

JackerLab 2025. 3. 16. 06:55
728x90
반응형

개요

ISO/IEC 22123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용어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으로, 기존 ISO/IEC 17788을 확장하여 최신 클라우드 기술과 개념을 포함한 표준화된 정의를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공통된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ISO/IEC 22123의 개념, 주요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배포 모델 및 기업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


1. ISO/IEC 22123이란?

ISO/IEC 22123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및 용어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개념과 서비스 모델을 정의하며, 최신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 트렌드를 반영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1 주요 목적

  •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을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게 확장
  • 일관된 클라우드 용어 사용 촉진
  •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및 배포 모델 명확화
  • 멀티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과 같은 최신 개념 반영

1.2 ISO/IEC 22123과 관련 표준 비교

구분 ISO/IEC 17788 ISO/IEC 22123 ISO/IEC 17789
역할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 개념 및 용어 정의 클라우드 개념 확장 및 최신 기술 반영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정의
초점 클라우드 서비스 및 배포 모델 멀티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등 최신 개념 포함 클라우드 시스템 구성 요소 및 상호작용
적용 대상 모든 클라우드 사용자 및 제공자 최신 클라우드 기술 활용 조직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자 및 개발자

ISO/IEC 22123은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반영한 확장판으로, 멀티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 개념이 포함됩니다.


2.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Cloud Service Models)

ISO/IEC 22123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 모델을 기존 정의와 함께 확장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2.1 서비스 모델 정의

서비스 모델 설명 예시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IT 인프라 제공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실행 환경 제공 Microsoft Azure App Service, Google App Engine
SaaS (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 Google Workspace, Microsoft 365
FaaS (Function as a Service) 서버리스(Serverless) 환경에서 이벤트 기반 컴퓨팅 제공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CaaS (Container as a Service)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및 배포 환경 제공 Kubernetes, AWS Fargate

ISO/IEC 22123에서는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확장하여 FaaS 및 CaaS와 같은 최신 개념을 포함합니다.


3. 클라우드 배포 모델 (Cloud Deployment Models)

ISO/IEC 22123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방식에 따라 5가지 배포 모델을 정의합니다.

배포 모델 설명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다수의 사용자(기업 또는 개인)가 공유하는 클라우드 환경 (예: AWS, Google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단일 조직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혼합하여 운영
커뮤니티 클라우드(Community Cloud) 특정 조직 그룹(예: 공공기관, 연구기관)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Multi-Cloud)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조합하여 운영

ISO/IEC 22123에서는 멀티 클라우드 개념을 포함하여 다양한 클라우드 배포 방식을 정의합니다.


4. ISO/IEC 22123 도입의 장점

ISO/IEC 22123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장점 설명
최신 클라우드 개념 반영 멀티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서버리스 등을 포함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및 용어 표준화 IT 전문가 및 기업 간 원활한 소통 가능
클라우드 서비스 및 배포 모델 이해 향상 적절한 클라우드 전략 수립 가능
국제 표준 준수를 통한 신뢰 확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 표준화된 접근 방식 적용

ISO/IEC 22123을 활용하면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5. ISO/IEC 22123 도입 시 고려사항

5.1 도전과제

  • 최신 클라우드 용어 및 개념에 대한 내부 교육 필요
  • 기존 IT 인프라와의 정합성 검토 필요
  • 적절한 클라우드 서비스 및 배포 모델 선택 필요

5.2 효과적인 도입 전략

경영진 및 IT 팀의 교육 강화: 클라우드 기술과 관련된 표준 용어 및 개념 숙지 ✅ 클라우드 전략 수립: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선택 ✅ 보안 및 규제 준수 고려: ISO/IEC 27017, GDPR 등 클라우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표준 준수 ✅ 정기적인 클라우드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성능 및 비용 최적화 수행


6. 결론

ISO/IEC 22123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용어를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춰 확장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멀티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서버리스 등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ISO/IEC 22123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표준화하고, 원활한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