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공sw 4

공공 SW 제안요청서(RFP) 작성 가이드

개요공공 SW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 작성 가이드는 공공정보화사업의 발주기관이 사업 목적, 범위, 기술요건, 수행방식 등을 명확히 정의한 공식 문서(RFP)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서입니다. 이 가이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조달청 등이 제시한 표준RFP 양식을 기반으로 하며, 공정한 사업자 선정, 사업 품질 확보, 과업 명확화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RFP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사업 제안의 기준 문서공공SW사업 발주의 시작점목적제안사의 역량·방안 비교 평가를 위한 기준 제공객관적 사업자 선정 기준 확보적용 대상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SW·정보화사업SI, 구축, 고도화..

Topic 2025.08.03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개요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 가이드는 공공정보화사업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유지보수·구축·운영 등 다양한 사업 유형별 대가(비용)를 산정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지침서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운영하며, 표준품셈, 기능점수(FP), 투입공수방식, 유지관리비율 등 다양한 산정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공공기관의 SW 사업 예산 수립, 조달심사, 사업관리 시 핵심 근거자료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공공 SW사업의 대가(비용)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절차와 기준을 제시한 문서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7조 근거목적과다 산정 또는 과소 산정 방지, 사업자와 발주기관 간 투명한 계약예산 낭비 방지 및 품질 확보 목적적용 ..

Topic 2025.08.03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Software Industry Promotion Act)

개요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은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기술 개발, 기업 육성, 전문 인력 양성, 공공조달 혁신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2000년 제정되어 2020년 전면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SW서비스 등 디지털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 성장의 기반 법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소프트웨어산업의 진흥과 기업·인력·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종합 법률법률 제16964호 (2020년 개정)목적SW 기반 산업 경쟁력 확보와 공공서비스 디지털화 촉진디지털 대전환 정책과 연계적용 대상SW기업, 스타트업, 공공기관, 교육기관, 수요기업 등민간 및 공공 부문 모두 포함단순 소프트웨어 생산을 넘어 SW 융합·서비스..

Topic 2025.07.29

FPA SNAP

개요FPA SNAP은 소프트웨어의 기능 및 비기능 요구사항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모델로, Function Point Analysis(FPA)와 Software Non-functional Assessment Process(SNAP)를 결합하여 보다 정밀한 규모 산정과 프로젝트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FPA와 SNAP의 개념, 적용 방법, 도구, 실무 활용 사례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FPA(Function Point Analysis)사용자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소프트웨어의 크기를 측정SNAP(Software Non-functional Assessment Process)비기능 요구사항을 측정하는 국제 표준 방법 (IFPUG 제공)통합 목적기능+비..

Topic 2025.06.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