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자동화 6

In-band Flow Telemetry (iFIT)

개요In-band Flow Telemetry(iFIT)는 데이터 패킷 내부에 측정 정보를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수집 방식인 SNMP, NetFlow, sFlow 대비 지연이 적고 정밀한 품질 측정이 가능하여, 고신뢰 저지연 네트워크(High-Performance Networking), 5G, 데이터센터, 금융망 등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iFIT의 개념, 동작 방식, 구성 요소 및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iFIT는 사용자 트래픽과 함께 측정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in-band 방식의 텔레메트리 기술입니다.목적네트워크 상태(지연, 손실, Jit..

Topic 2025.05.14

Zero-Touch Provisioning(ZTP)

개요Zero-Touch Provisioning(ZTP)는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방화벽 등)를 수동 설정 없이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장 설치 시 관리자 개입 없이 초기 설정, 소프트웨어 설치, 구성 파일 배포를 자동화합니다. ZTP는 대규모 네트워크 운영에서 시간 절약, 오류 감소, 보안 강화에 기여하는 핵심 자동화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ZTP(Zero-Touch Provisioning)**는 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했을 때, 장비가 자동으로 부팅 후 중앙 서버에서 필요한 설정 정보를 받아 초기화, 구성, 등록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프로비저닝 방식입니다.핵심 목표: 사람 손이 닿지 않는(Zero-Touch) 자동 설정적용 장비: L2/L3 스위치, 라..

Topic 2025.05.06

Programmable Data Plane

개요Programmable Data Plane은 네트워크 장비의 데이터 플레인에서 패킷 처리 방식을 소프트웨어로 직접 정의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개념입니다. 이는 기존 하드코딩된 라우팅, 필터링, 포워딩 로직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동작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며, 5G, 클라우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등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rogrammable Data Plane(PDP)**는 네트워크 장비의 하드웨어가 수행하는 패킷 처리 로직을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패킷 파싱, 라우팅, 필터링, 트래픽 샘플링 등을 목적..

Topic 2025.05.05

In-band Network Telemetry (INT)

개요In-band Network Telemetry(INT)는 데이터 패킷 자체에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 경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관찰성 기술입니다. 기존 방식처럼 별도의 프로브나 샘플링 없이, 트래픽 자체가 가시성(VIsibility)을 제공하기 때문에 초저지연, 고성능 네트워크 환경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데이터 패킷에 각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 정보를 삽입하여 실시간 경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목적트래픽 흐름과 네트워크 성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필요성전통적 모니터링 방식의 지연, 샘플링 오류, 가시성 한계 극복INT는 데이터 패킷이 이동하는 동안 실시간 메타데이터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네..

Topic 2025.05.03

네트워크형 서비스(NaaS, Network as a Service)

개요네트워크형 서비스(NaaS, Network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입니다. 기존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연한 확장성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NaaS의 개념, 주요 기능, 장점,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사항을 살펴봅니다.1. NaaS란 무엇인가?NaaS는 네트워크 장비, 보안 기능, 연결성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여 조직이 네트워크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리소스를 확장하고,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1.1 기존 네트워크 관리 방식과 NaaS 비교 항목 기존 네트워크 NaaS 구축 방식온프레미스 하드..

Topic 2025.03.10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개요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은 네트워크의 제어(Control) 기능과 데이터 전달(Forwarding) 기능을 분리하여 중앙에서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와 달리 SDN은 유연성, 자동화, 비용 절감 및 보안성을 강화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DN의 개념, 주요 기술 요소, 활용 사례, 보안 이슈 및 미래 전망을 살펴봅니다.1. SDN이란?SDN은 기존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의 제어 기능을 중앙 소프트웨어 컨트롤러로 이동시켜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1.1 SDN의 주요 특징중앙 집중형 제어..

Topic 2025.03.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