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자동화 7

TSN 802.1Qcc (Centralized Configuration)

개요TSN(Time-Sensitive Networking) 기술은 결정적(Deterministic) 통신을 위한 IEEE 표준 집합이며, 그중 802.1Qcc는 TSN의 중앙 집중형 구성(Centralized Configuration)을 정의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 표준은 실시간 산업 제어, AVB(Audio Video Bridging), 자율주행 네트워크 등에서 필수적인 네트워크 설정 자동화 및 QoS 보장을 실현합니다.1. 개념 및 정의802.1Qcc는 TSN 네트워크 내의 스트림(Stream) 전송 경로, 리소스 할당, QoS 정책 등을 중앙 집중형으로 구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입니다.목표: TSN 스트림의 결정론적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자동 구성주요 기능: 스트림 예약, 경로 최적화, QoS ..

Topic 2025.06.25

Network Digital Twin

개요Network Digital Twin(NDT)은 실제 네트워크의 구성, 상태, 트래픽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는 가상 복제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의 설계, 시뮬레이션, 운영 자동화, 장애 대응 및 보안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Network Digital Twin의 개념, 기술 구성 요소, 주요 이점, 구축 전략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네트워크 운영 혁신을 탐구합니다.1. 개념 및 정의Network Digital Twin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밀하게 재현한 디지털 모델로, 가상 환경에서 정책 변경, 성능 분석, 장애 대응 시나리오 등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운영 환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목적: 위험 없는 변경 검증, 최적화 시뮬레이..

Topic 2025.06.17

NetDevOps

개요NetDevOps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운영 방식에 DevOps 문화와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더 빠르고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본 글에서는 NetDevOps의 개념, 도입 필요성, 핵심 구성요소 및 도구, CI/CD 파이프라인 적용 전략과 주요 실무 사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운영 혁신 방안을 제시합니다.1. 개념 및 정의NetDevOps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코드처럼 다루며, 변경을 자동화하고, 테스트하고, 배포할 수 있는 DevOps 원칙을 네트워크 영역에 적용한 개념입니다.목적: 수동 구성 최소화, 일관된 네트워크 운영, 빠른 배포와 복원력 확보대상: 네트워크 관리자, 시스템 엔지니어, 클라우드 운영자기반 철학: IaC(Infrastructure as ..

Topic 2025.06.17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

개요SDx(Software-Defined Everything)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등 모든 IT 인프라 요소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제어 및 운영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하드웨어 중심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자동화된 IT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클라우드 및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Dx는 "모든 것을 소프트웨어 정의"한다는 의미로, 인프라 전반을 소프트웨어로 통제하는 방식입니다.목적운영 자동화, 유연성 확보, 비용 절감 및 확장성 증대를 목표로 합니다.필요성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기반 환경에서 빠른 변화 대응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SDx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SDS(Software-Define..

Topic 2025.04.29

AI RA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adio Access Network)

개요AI RAN은 무선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의 다양한 제어 및 운영 요소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자동화된 네트워크 최적화와 지능형 운영을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5G 및 6G 시대의 네트워크 복잡도, 사용자 다양성, 실시간 제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Open 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아키텍처와 결합되며, AI는 RAN 지능화의 핵심 엔진으로 작동합니다.1. 개념 및 정의AI RAN은 무선기지국(BS), 분산유닛(DU), 중앙유닛(CU) 등 RAN 구성 요소에 AI 기반 모델을 적용하여 자율적인 자원관리, 트래픽 예측, 장애 감지 및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프레임워크입니다. 특히 RAN Int..

Topic 2025.04.29

ROADM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개요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은 광 전송망에서 특정 파장(채널)을 선택적으로 삽입(Add)하거나 삭제(Drop)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연한 파장 라우팅 장비이다. 기존의 고정형 OADM과 달리 원격 제어 및 동적 구성 기능을 제공하여, 100G/400G/800G 이상의 DWDM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경로 제어 및 트래픽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글에서는 ROADM의 개념, 구성, 기술 원리 및 활용 사례를 자세히 소개한다.1. 개념 및 정의ROADM은 광신호를 전기 변환 없이 파장 단위로 선택해 네트워크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원격으로 각 파장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필요한 파장을 새롭게 삽입하거나 제..

Topic 2025.04.25

OpenFlow

개요OpenFlow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핵심 구성 요소로, 데이터 플레인과 제어 플레인을 분리하여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를 중앙 컨트롤러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연하고 프로그래머블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졌으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5G 백본 네트워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OpenFlow는 SDN 구조에서 스위치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입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지만, OpenFlow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패킷 처리 정책을 컨트롤러가 내려주고, 스위치는 단순히 데이터 전달만 수행합니다..

Topic 2025.04.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