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디지털트윈 13

Machine Native Design

개요Machine Native Design은 인간 디자이너가 아닌 '머신(기계)'이 생성, 최적화, 진화시키기 위한 전제 하에 설계되는 디자인 접근 방식이다. 전통적인 '사람을 위한 설계(Human-Centric Design)'에서 탈피해, AI 모델, 컴파일러, 3D 프린터, 생성 모델 등이 직접 이해·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디자인을 지향한다. 이는 특히 생성 AI, AI 에이전트, 자동화 시스템과의 통합성이 중요한 시대에 각광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인간이 아닌 기계(AI/모델/시스템)의 이해 및 실행 효율을 중심으로 설계되는 패러다임핵심 대상LLM, 생성 AI, 물리 시뮬레이터, 디지털 트윈, GPU 연산기반 알고리즘 등목적기계가 해석·변환·학습하기 최적화된 데이터 및 시스..

Topic 2025.06.20

PdM 4.0(Predictive Maintenance 4.0)

개요PdM 4.0(Predictive Maintenance 4.0)은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여 계획적으로 정비하는 차세대 유지보수 전략입니다. 기존의 정기 점검(TBM)이나 사후 수리(RBM)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정비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입니다.1. 개념 및 정의PdM 4.0은 IoT 센서, 엣지 디바이스, 클라우드 분석 플랫폼, 머신러닝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설비 고장을 사전에 감지하고, 최적의 시점에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예지 정비 체계입니다.목표: 계획되지 않은 다운타임 최소화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핵심 요소: ..

Topic 2025.06.17

Network Digital Twin

개요Network Digital Twin(NDT)은 실제 네트워크의 구성, 상태, 트래픽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는 가상 복제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의 설계, 시뮬레이션, 운영 자동화, 장애 대응 및 보안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Network Digital Twin의 개념, 기술 구성 요소, 주요 이점, 구축 전략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네트워크 운영 혁신을 탐구합니다.1. 개념 및 정의Network Digital Twin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밀하게 재현한 디지털 모델로, 가상 환경에서 정책 변경, 성능 분석, 장애 대응 시나리오 등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운영 환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목적: 위험 없는 변경 검증, 최적화 시뮬레이..

Topic 2025.06.17

MBSE(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개요MBSE(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는 문서 기반의 전통적 시스템 공학에서 탈피해, 모델을 중심으로 요구사항, 구조, 동작, 검증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입니다. SysML(Systems Modeling Language)은 이를 지원하는 핵심 표준 언어이며, 최근 발표된 SysML v2는 MBSE의 실용성과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표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MBSE의 개념과 필요성, SysML v2의 주요 특징 및 기술 구성, 산업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MBSE 도입의 전략과 효과를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MBSE는 복잡한 시스템의 전체 생애주기(요구 → 설계 → 분석 → 검증)에 걸쳐 모델을 주요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

Topic 2025.06.16

OpenUSD (Universal Scene Description)

개요Open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는 Pixar가 개발하고, NVIDIA, Apple, Autodesk, Adobe, Unity 등 주요 3D 생태계 기업들이 공동 지원하는 개방형 프레임워크입니다. 복잡한 3D 장면(Scene)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여 산업 전반의 3D 콘텐츠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 항목 설명 정의복합 3D 장면 표현, 공유, 상호운용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 교환 및 표현 프레임워크주요 목적대규모 3D 자산의 표현 일관성 확보 및 협업 최적화주도 조직Pixar 개발, Alliance for OpenUSD(AOUSD) 주도 관리OpenUSD는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영화 CG, 게임 등 다양한 3D 응용 분야..

Topic 2025.05.27

KubeEdge

개요KubeEdge는 Kubernetes 기반의 오픈소스 엣지 컴퓨팅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엣지 환경에 확장하여 분산된 장치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IoT, 산업 자동화, 스마트시티, 제조 등에서 클라우드와 엣지 간의 원활한 연산 분배와 네트워크 제약 극복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KubeEdge는 Kubernetes를 엣지 노드까지 확장하여, 클라우드와 엣지 간의 워크로드 오케스트레이션, 디바이스 통신, 상태 동기화 등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기본 아키텍처: Cloud Core(K8s 마스터) + Edge Core(에이전트 노드)개발 주체: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목표: 지연 ..

Topic 2025.05.23

Spatial Computing

개요Spatial Computing은 물리적 공간에 대한 컴퓨터의 인식, 해석, 상호작용 능력을 통합하는 차세대 컴퓨팅 패러다임입니다. 이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공간 센싱(LiDAR), 공간 매핑, 컴퓨터 비전, AI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 현실 공간을 디지털 환경과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합니다. Apple Vision Pro, Meta Quest, Microsoft HoloLens 등에서 구현되며, XR,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구분 설명 정의현실 공간을 인식·해석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컴퓨팅 방식목적인간의 물리적 동작과 공간을 컴퓨터가 이해하고 예측하도록 지원필요성디지털-물리 융..

Topic 2025.05.20

NeRF(Neural Radiance Fields)

개요NeRF(Neural Radiance Fields)는 2D 이미지로부터 사실적인 3D 장면을 복원하는 신경망 기반의 렌더링 기술입니다. 사진이나 비디오 프레임 몇 장만으로, 특정 시점의 시각적 정보를 학습하여 해당 장면을 자유로운 각도에서 재생성할 수 있어 컴퓨터 비전, VR/AR,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폭넓게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NeRF는 신경망을 활용해 장면 내의 각 지점에서의 광선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색상과 밀도를 추정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시점에 따른 픽셀 값을 계산하고, 다수의 시점으로부터 3D 장면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전통적인 기하 기반의 3D 모델링과 달리, NeRF는 광선(ray)을 따라 샘플링된 값을 누적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신경 렌더링(Neu..

Topic 2025.04.28

가트너 전략 기술(2025) - 연결된 생태계(Connected Ecosystem)

개요연결된 생태계(Connected Ecosystem)는 기업, 파트너, 고객, 시스템, 장치 등이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공동 창출하는 디지털 협업 구조입니다. API, 데이터 공유, 플랫폼 연동, IoT,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기술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Gartner는 이를 2025년 전략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 이제 기업은 단일 조직의 경쟁력을 넘어서 ‘생태계 기반 가치 창출’로 전략을 재편해야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다양한 이해관계자(조직, 시스템, 장치)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연결되어 실시간 상호작용과 협업이 가능한 상태핵심 키워드실시간 데이터 연동, API 경제, 플랫폼 연계, M2M 통신, 디지털 트윈목적정보 공유 기..

Topic 2025.04.23

스마트 SOC(Smart SOC)

개요스마트 SOC(Smart Social Overhead Capital)는 기존의 물리적 사회간접자본(도로, 철도, 항만, 교량 등)에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시스템을 융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실현하는 차세대 인프라 개념입니다. AI,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기술을 접목해 교통, 에너지, 재난 대응, 도시 인프라 등 공공 서비스를 스마트하게 혁신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IoT, AI, 데이터 분석 기반의 지능형 기술을 사회간접자본 시설에 융합한 스마트 인프라 체계목적시설물 안전 관리, 운영 효율 향상, 국민 체감형 서비스 제공구성 대상도로, 철도, 공항, 항만, 수자원, 교량, 터널 등 국가 기반시설2. 주요 기술 구성 요소기술 요소설명적용 기술IoT ..

Topic 2025.04.17

6G AI-Driven Networking(6G와 AI 융합 네트워크)

개요6G AI-Driven Networking은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6G 네트워크와 인공지능(AI)을 융합하여 네트워크의 자동화, 최적화,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개념입니다.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6G는 기존 5G보다 10~100배 빠른 속도와 1ms 이하의 초저지연, 수백억 개의 기기 연결을 지원하며, 여기에 AI가 결합될 경우, 지능형 네트워크 운영과 실시간 예측/적응이 가능한 초자동화 인프라가 구현됩니다.1. 개념 및 정의6G는 5G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초신뢰를 구현하는 미래 통신 인프라입니다. 여기에 AI를 융합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이 실현됩니다:자율 네트워크 관리: AI 기반의 네트워크 상태 예측 및 자가 치유(Self-healing)지능형 트래픽 제어: ..

Topic 2025.04.11

Metaverse for Business(기업형 메타버스)

개요Metaverse for Business(기업형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반의 3D 디지털 공간을 통해 기업의 업무, 회의, 교육, 브랜딩, 제품 시연 등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및 기술 생태계를 말합니다. 코로나19 이후 원격 근무와 디지털 협업이 보편화되면서, 메타버스는 단순한 게임·엔터테인먼트를 넘어 비즈니스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기업형 메타버스는 실제 기업 활동을 가상 공간에서 구현하거나 증강하는 방식으로, 다음의 형태로 구분됩니다:Virtual Office: 3D 가상 사무실에서 화상회의, 공동 작업 진행Digital Twin + Collaboration: 실제 사무 환경/제품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시뮬레이션Meta..

Topic 2025.04.11

HPC & 엑사스케일 컴퓨팅(High-Performance Computing & Exascale)

개요HPC(High-Performance Computing, 고성능 컴퓨팅)는 대규모 병렬 처리 시스템을 통해 복잡하고 방대한 계산을 신속히 수행하는 컴퓨팅 기술입니다. 과학 시뮬레이션, 기후 모델링,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데이터 집약적 분야에 필수적이며, 그 정점에 있는 것이 바로 **엑사스케일 컴퓨팅(Exascale Computing)**입니다. 엑사스케일은 초당 10^18번의 연산(ExaFLOPS)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성능으로, 기존 페타스케일(10^15 FLOPS)을 넘어서는 차세대 슈퍼컴퓨터의 기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 용어 정의 HPC고성능 서버, 슈퍼컴퓨터, 클러스터를 활용해 대규모 병렬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기술Exascale Computing초당 1엑사플롭스(10^18 FL..

Topic 2025.03.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