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메모리 컴퓨팅 3

FeFET In-Memory Compute

개요FeFET(Ferroelectric Field-Effect Transistor) In-Memory Compute는 전통적인 메모리-프로세서 간 데이터 이동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연산을 메모리 내에서 직접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AI 하드웨어 기술입니다. 강유전체 특성을 이용한 FeFET은 고속, 저전력, 비휘발성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차세대 인공지능 추론/학습용 가속기의 핵심 컴포넌트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강유전체 특성을 가진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메모리 내에서 직접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팅 방식Ferroelectric + FET 기반목적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 없이 연산 처리Von Neumann 병목 해소필요성AI 연산의 폭증, 에너..

Topic 2025.05.31

Near-Memory Compute (NMC)

개요Near-Memory Compute(NMC)는 전통적 프로세서 중심 컴퓨팅에서 벗어나, 메모리 근처 또는 메모리 내부에 연산 기능을 배치하여 데이터 이동 비용과 병목을 최소화하는 차세대 컴퓨팅 아키텍처입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 처리,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연산을 메모리 내부 혹은 인접한 영역에서 수행하여 데이터 이동 최소화 및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아키텍처목적데이터 이동에 따른 전력 소모 및 처리 지연 최소화필요성메모리-프로세서 간 전송 병목(Von Neumann Bottleneck) 극복NMC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혁신적..

Topic 2025.05.03

PIM(Processing in Memory)

개요PIM(Processing in Memory)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내에서 직접 연산을 수행하는 기술로, 기존의 CPU·GPU 중심의 연산 방식과 차별화된다. 이는 데이터 이동의 병목 현상을 줄이고,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PIM의 개념, 동작 원리, 장점과 한계, 그리고 주요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1. PIM(Processing in Memory)이란?PIM(Processing in Memory)은 메모리 내에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는 컴퓨팅 아키텍처이다. 기존의 컴퓨팅 모델에서는 CPU나 GPU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연산 후 다시 저장하는 방식이지만, PIM은 메모리 자체에서 연산을 수행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PIM은 대..

Topic 2025.03.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