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안테스트 10

IriusRisk

개요IriusRisk는 위협 모델링(Threat Modeling)을 코드와 프로세스로 자동화하는 데 초점을 둔 보안 설계 플랫폼이다.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정의하면, 해당 구성에 기반한 위협, 취약점, 보안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도출하고 대응책을 제시한다. DevSecOps 및 Agile 개발 환경에서 '보안 설계의 자동화'와 '협업 중심 보안관리'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IriusRisk는 보안 전문가가 아니어도 개발자 또는 아키텍트가 시스템 설계도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위협 시나리오와 대응 전략을 생성하는 SaaS 기반 위협 모델링 툴이다. OWASP Top 10, STRIDE, ISO 27001, NIST 800-53 등의 보안 표준 라이브러리를 활용..

Topic 2025.06.24

DAST(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개요DAST(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테스트하여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는 블랙박스 방식의 보안 진단 기법입니다. 코드 분석이 아닌, 실제 런타임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분석하여 입력 검증, 세션 관리, 인증/인가 등 다양한 공격 벡터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SAST와 함께 DevSecOps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배포 전/후 보안 검증을 담당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DAST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외부에서 공격 시나리오를 모의 적용하여 보안 결함을 탐지하는 기술입니다.목적배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제 사용자가 접속하는 환경에서의 취약점 검출필요성사용자 입력 기반의 동적 취약점을 탐지할 수 있는 ..

Topic 2025.04.29

SAST(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개요SAST(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는 소스 코드, 바이트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중간 코드 상태에서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정적 분석 기법입니다. 이는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수행되며, 보안 결함을 조기에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DevSecOps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며,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의 보안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AST는 정적 분석 도구를 이용해 코드 실행 없이 취약점을 찾아내는 보안 테스트 방식입니다.목적개발 초기 단계에서 보안 결함을 사전에 탐지 및 수정필요성비용 효율성과 보안 품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 가능SAST는 개발 단계에서 Shift Left Testing을 실현하며, 개발자 친화적..

Topic 2025.04.29

Seven Touch Points for Software Security

개요Seven Touch Points는 Gary McGraw 박사가 제안한 실천 기반의 소프트웨어 보안 개발방법론으로, 실제 개발 프로세스 속에 보안 활동을 자연스럽게 통합하기 위한 7가지 핵심 접점을 제시한다. 이는 전통적인 개발 생명주기(SDLC)나 DevSecOps와도 연계 가능하며, 조직이 개발 과정 중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보안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안내한다. 특히 보안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이고, 코딩 단계부터 운영 단계까지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접근법이다.1. 개념 및 정의Seven Touch Points는 보안이 개발자의 업무 흐름 속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각 개발 단계에 삽입 가능한 7가지 보안 활동을 정의한다. 이는 보안을 외부 감사 항목이 아닌 개발 품질의 핵..

Topic 2025.04.24

퍼징(Fuzzing)

개요퍼징(Fuzzing)은 프로그램의 입력값에 예상치 못한, 무작위 또는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주입함으로써 취약점이나 오류를 탐지하는 보안 중심의 동적 테스팅 기법입니다. 입력 검증이 미흡한 프로그램은 퍼징을 통해 충돌(crash), 무한 루프, 메모리 오류, DoS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AI 기반의 지능형 퍼저와 함께 DevSecOps 파이프라인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퍼징의 개념, 종류, 핵심 기술, 도구, 적용 사례를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퍼징은 테스트 대상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에 대하여 의도적으로 잘못된 또는 예외적인 입력값을 대량으로 자동 생성하고 투입하여, 프로그램의 이상 동작을 관찰하는 테스트 방법입니다.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

Topic 2025.03.27

RCE (Remote Code Execution)

개요RCE(Remote Code Execution, 원격 코드 실행)는 공격자가 취약한 시스템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입니다. RCE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격자가 악성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는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합니다. 본 글에서는 RCE의 개념, 주요 공격 방식, 실제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실무적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RCE란?RCE는 원격에서 악의적인 코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취약점으로, 주로 입력값 검증 부족, 보안 패치 미적용, 메모리 오버플로우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개념 설명 RCE 공격공격자가 원격에서 시스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취약한 입력 처리사용자의 ..

Topic 2025.03.24

XSS (Cross-Site Scripting)

개요XSS(Cross-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흔한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세션을 탈취하거나 피싱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XSS의 개념, 주요 유형, 실제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실무적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XSS란?XSS(Cross-Site Scripting)는 웹 페이지에서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가 검증 없이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개념 설명 XSS 공격악성 스크립트(JavaScript 등)를 삽입하여 웹 페이지에서 실행하는 공격 기법입력 검증 부족웹 애플리케이션..

Topic 2025.03.24

SQL 인젝션(SQL Injection)

개요SQL 인젝션(SQL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공격 기법입니다. 본 글에서는 SQL 인젝션의 개념, 공격 유형, 주요 사례, 방어 기법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실무적 접근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SQL 인젝션이란?SQL 인젝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베이스 쿼리(Query)로 전달하는 경우, 공격자가 악의적인 SQL 명령어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보안 공격입니다. 개념 설명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언어SQL 인젝션공격자가 SQL 쿼리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

Topic 2025.03.24

CWE (Common Weakness Enumeration)

개요CWE(Common Weakness Enumeration, 공통 취약점 목록)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표준 리스트입니다. 이는 개발자와 보안 전문가가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글에서는 CWE의 개념, 주요 분류, 활용 방법 및 보안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CWE란?CWE는 MITRE에서 관리하는 보안 취약점의 표준 목록으로, 보안 취약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념 설명 CWE ID취약점 유형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 (예: CWE-79)CWE 목록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취약점 유형을 정리한 데이터베이스CVE와의 차이점CWE는 취약점 유형을 정의하고, CVE는 개별적인 취약점..

Topic 2025.03.24

혼돈 공학 기반 보안 (Chaos Engineering Security)

개요혼돈 공학(Chaos Engineering)은 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장애를 유발하여 시스템의 반응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보안 영역에서도 이러한 접근법을 적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식별하고, 실전 공격 시나리오를 테스트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식을 혼돈 공학 기반 보안(Chaos Engineering Security)이라고 합니다. 본 글에서는 혼돈 공학 기반 보안의 개념, 주요 기법, 활용 사례 및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1. 개념 및 정의혼돈 공학 기반 보안이란?혼돈 공학 기반 보안(Chaos Engineering Security)은 실제 공격 시나리오를 모의 실험하여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접근 방..

Topic 2025.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