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악성코드분석 3

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

개요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는 소스 코드 또는 바이너리의 구조와 가독성을 인위적으로 복잡하게 만들어 리버스 엔지니어링, 악성 코드 분석, 무단 복제 및 공격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 보호 기술입니다. 특히 악성코드 은폐, 정적 분석 회피, DRM 보호 등 다양한 보안 목적에서 활용되며, 동시에 분석가 입장에서는 위협 탐지의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장애 요소입니다.1. 코드 난독화의 개념 및 목적코드 난독화는 실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코드의 의미나 구조를 왜곡하여 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목적 설명 보안 강화내부 알고리즘, 키, 인증 로직 보호역공학 방지리버싱 도구(Ghidra, IDA 등) 분석 차단지적재산권 보호코드 도용·재사용 방..

Topic 2025.04.14

악성코드 프로파일링(Malware Profiling)

개요악성코드 프로파일링은 악성코드의 정적·동적 속성, 행위 패턴, 공격 방식 등을 분석하여 위협 유형을 식별하고, 위협 그룹이나 공격 캠페인과 연계할 수 있는 고급 보안 분석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 조직은 탐지 정확도를 높이고, 사후 대응 속도 및 위협 추적 능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악성코드 프로파일링은 단순 탐지를 넘어, 악성코드의 전반적 속성(해시, 공격 행위, 통신 방식 등)을 정량화·구조화하여, 유사 군집 분류 및 위협 그룹 맵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 활동입니다. Threat Intelligence의 핵심 자료로 활용되며, 보안 관제, 대응 체계, 침해사고 분석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됩니다.2. 분석 항목 및 구성 요소 항목 설명 예시 악성코드 유형(Malware Typ..

Topic 2025.04.10

Reverse Engineering(역공학)

개요역공학(Reverse Engineering)은 기존 제품이나 시스템의 구조, 기능, 동작 원리를 분석하여 원천 설계나 구현 방식을 도출하는 기술적 접근 방법입니다.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바이너리, 네트워크 프로토콜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보안 분석, 호환성 확보, 시스템 복구 및 혁신의 기반으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역공학은 완성된 시스템을 분해하고 분석하여 그 설계 및 구현 로직을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제품의 소스 코드나 설계도가 없는 상태에서 기능을 복원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며, 제조사와 관계없이 비표준 또는 오래된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 보안 패치, 기능 개선 등에 폭넓게 사용됩니다.2. 특징 구분 설명 예시 하향식 분석최종 제품에서 구조를 거꾸로 도출펌웨어..

Topic 2025.04.09
728x90
반응형